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상윤(1897) - 나무위키

김상윤(1897)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단장(團長)
고문(拷問)
황상규
단원(團員)
고인덕(故人德)
권정필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성숙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배동선
서상락
오성륜 변절(變節)
이구연
이병철(李秉喆)
정이소
황옥(黃玉) 불확실(不確實)
한봉인
공약(公約) 10조(兆)
① 천하(天下)의 정의(正義)의 사(社)(事)를 맹렬히(猛烈히) 실행(實行)하기로 함(函).
② 조선(朝鮮)의 독립(獨立)과 세계(世界)의 평등(平等)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犧牲)하기로 함(函).
③ 충의(忠義)의 기백(氣魄)과 희생(犧牲)의 정신(精神)이 확고(確固)한 자(者)라 함(函).
④ 단(段)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團員)의 의(義)에 급히(急히) 함(函).
⑤ 의백(義伯) 1인(人)을 선출(選出)하여 단체(團體)를 대표함(代表咸).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每月) 1차(次)씩 사정(事情)을 보고(報告)함.
⑦ 하시 하지(夏至)에서나 매 초회(初回)(招會)에 필응(筆應)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單義)에 진(陳)(盡)함(艦).
⑨ 1이 9를 위하여 9가(街) 1을 위하여 헌신(獻身)함.
⑩ 단의(單義)에 배반한 자(者)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破壞)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各) 경찰서(警察署)
⑤ 기타(其他) 왜적(倭敵) 중요기관(重要機關)
7가살
조선총독(朝鮮總督) 이하(以下) 고관(高官)
② 군부(軍部) 수뇌(首腦)
대만총독(臺灣總督)
④ 매국노(賣國奴)
⑤ 친일파(親日派) 거두(巨頭)
적탐(貪)(밀정(密偵))
⑦ 반민족적(反民族的) 토호열신(土豪劣紳)(土豪劣紳)
김상윤 선생
이명(耳鳴)
김옥(金玉, 金鈺)·김억(金億)(金億)·김옥산·김진정
호(號)
초산(初産)(楚山)
본관(本館)
출생(出生)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군(密陽郡) 상남면 기산리
(현(現)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密陽市) 상남면 기산리)
본적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군(密陽郡) 하남면 대사리
(현(現)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 하남읍 대사리) [2]
사망(死亡)
1927년(年) 10월(月) 19일(日) [3] (향년(享年) 30세(歲))
묘소(墓所)
국립서울현충원 제(第)1충혼당(忠魂當) 1층(層)-108실(室)-183호(號)
상훈(賞勳)
건국훈장(建國訓長) 애족장(愛族章) 추서(追敍)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3 . 사후(事後)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대한민국(大韓民國) 독립유공자(獨立有功者) . 1990년(年) 건국훈장(建國訓長) 애족장을 추서(追敍)받았다.

밀양군(密陽郡)에서 제(第)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 민주당(民主黨) )을 지낸 김정환(金正煥) 은 그의 장조카(長조카)이다.

2. 생애(生涯) [편집(編輯)]

1897년(年) 9월(月) 12일(日)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군(密陽郡)(현(現) 밀양시(密陽市)) 상남면 기산리의 양반가(兩班家)에서 아버지 김태영(金泰永, 1857. 7. 7 ~ 1904. 11. 3)과 어머니 밀양(密陽) 박씨(朴氏) 박인영(朴仁映)(朴仁永, 1858. 8. 17 ~ 1939. 8. 20) [5] 사이의 3남(男) 2녀(女) 중(中)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애국지사(愛國志士) 전홍표 가 교장(校長)으로 근무(勤務)하던 사립(私立) 동화학교(童話學校)를 졸업(卒業)하고 상경(上京)하여 경성부(京城府) 중앙학교(中央學校) 에 입학(入學), 졸업(卒業)하였다. 그는 전홍표 지사(知事)로부터 배일사상(排日思想)을 철저히(徹底히) 고취(鼓吹)받아 뒤에 독립운동(獨立運動)에 뛰어들 동기(動機)를 얻었다. #

1917년(年) 조국(祖國) 독립(獨立)을 위한 투쟁방안(鬪爭方案)을 모색(摸索)하며 만주(滿洲) 로 망명(亡命)하였고, 3.1 운동(運動) 을 목격(目擊)하고는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로 향(向)했다.

1919년(年) 11월(月) 9일(日), 그는 중화민국(中華民國) 길림성(吉林省) 에서 김원봉(金元鳳) 등(等) 13명(名)의 동지(同志)들과 함께 의열단(義烈團) 을 조직(組織)하였고, 창립단원(創立單元)으로서 의열단(義烈團)의 모든 거사(擧事)를 계획(計劃)하고 실행(實行)을 지휘(指揮), 대외(對外) 교섭(交涉), 자금(資金) 관리(管理)를 총괄(總括)하는 의열단(義烈團) 최고(最高) 의사결정기구(意思決定機構)인 5인(人) 참모부(參謀部)의 일원(一員)으로 활동(活動)하면서 의열단(義烈團)의 집단지도체제(集團指導體制)를 구축(構築)했다.

1920년(年) 2월(月), 상하이 에서 폭탄(爆彈)을 구입(購入)하여 국내(國內)로 반입(搬入)한 후(後) 황상규· 윤세주 등(等)의 동지(同志)들과 함께 국내(國內)에서 자금책(資金責)으로 활동(活動)하다가, 경기도경찰부(京畿道警察部)(京畿道警察部) 경부(京釜) 김태석 의 밀정(密偵) 김진규(金珍奎)와 안태익(安泰翊)의 밀고(密告)로 동지(同志)들이 체포(逮捕)되고 거사(巨事)가 실패(失敗)로 돌아가자 일본(日本) 경찰(警察)의 엄중(嚴重)한 경계망(警戒網)을 뚫고 상하이로 탈출(脫出)하는 데 성공(成功)하여 김원봉(金元鳳)과 다시 합류(合流)하였다.

이후(以後) 그는 최수봉 에게 의열단(義烈團) 가입(加入)을 권유(勸誘)하였으며, 그해 12월(月) 27일(日) 최수봉이 밀양경찰서(密陽警察署) 투탄(投炭) 의거(義擧)를 전개(展開)했을 때 배후(背後) 인물(人物)로 지목(指目)되어 일본(日本) 경찰(警察)에 수배(手配)되었으나 체포(逮捕)되지 않고 무사히(無事히) 상하이로 도피(逃避)하였다. 또 1922년(年) 3월(月) 김익상(金益相) · 이종암 등(等)이 다나카 기이치 일본(日本) 제국(帝國) 육군대장(陸軍大將)을 저격(狙擊)하고자 계획(計劃)할 때에도 의사결정(意思決定)에 깊이 관여(關與)했다.

그후(後)에는 상하이로 돌아가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 에서 활동(活動)하다가 1926년(年) 1월(月) 김원봉(金元鳳)이 의열단(義烈團) 활동(活動)을 잠시(暫時) 중단(中斷)하고 군사교육(軍事敎育)을 받기 위하여 상하이 황푸군관학교(軍官學校) 에 입교(入敎)하겠다는 제안(提案)을 강(强)하게 만류(挽留)했으나, 결국(結局) 요구(要求)가 받아들여지지 않고 의열단(義烈團) 간부(幹部) 다수(多數)가 군관학교(軍官學校)에 입교(入敎)하면서 조직(組織)은 해체(解體)되었다.

그는 이에 실망(失望)하고 이후(以後)에는 아나키스트 활동(活動)을 하는 데 전념(專念)하였으며, 복건성(福建省) 하문도(厦門道) 사명현(社名縣)(思明縣) [6] 에서 머물다가 복건성(福建省) 하문도 남안현(南安縣) 22도(度)(都) 하소(霞蘇) [7] 에 있던 설봉사(奉仕)(雪峯寺)로 들어갔다.

1927년(年) 10월(月) 19일(日) 이 절에서 31세(歲)의 나이로 별세(別世)하였다.

3. 사후(事後) [편집(編輯)]

1968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로부터 대통령표창(大統領表彰)이 추서(追敍)되었으며, 1990년(年) 건국훈장(建國訓長) 애족장(愛族章)이 추서(追敍)되었다.

1995년(年) 손자(孫子) 김기봉(金基鳳, 1944. 8. 16 ~ )·김기우(金基宇, 1947. 7. 28) 등(等)이 소문(所聞)을 좇아 유해(遺骸)를 찾으러 설봉사(奉仕)에 방문(訪問)했으나, 이미 김상윤 사후(事後) 68년(年)이란 세월(歲月)이 흘러 당시(當時) 상황(狀況)을 기억(記憶)하는 승려(僧侶)가 없을 뿐 아니라 30여년전(餘年前)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시절(時節) 사찰(寺刹)의 모든 기록(記錄)과 기물(器物)이 온전(穩全)하지 못했다는 당시(當時) 주지(住持)스님의 증언(證言)이 있어 결국(結局) 설봉사(奉仕)의 흙 한 줌만 가져올 수 밖에 없었다.

2005년(年) 6월(月) 11일(日), 출생지(出生地)인 상남면 기산리 마을 입구(入口)에 '독립투사(獨立鬪士) 초산(初産) 김상윤 선생(先生) 의열투쟁기념비(義烈鬪爭記念碑)'를 세우고 1995년(年) 당시(當時) 설봉사(奉仕)에서 가져온 흙을 기념비(記念碑) 밑에 묻었다. 그리고 2015년(年) 3월(月) 28일(日) 설봉사(奉仕)를 다시 찾아 후손(後孫)들이 '초산(初産) 김상윤 선생(先生) 기적비(紀跡碑)'를 건립(建立)하였다.

2020년(年) 6월(月) 17일(日)에는 당초(當初)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 하남읍 귀명리에 안장(安葬)되어 있던 부인(夫人) 여주(驪州) 이씨(李氏) 이동연(李東連, 1892. 8. 20 ~ 1949. 7. 5)의 유해(有害)가 국립서울현충원 제(第)1충혼당(忠魂當) 1층(層) 108실(室) 183호(號)에 이장(弛張)되었고, 이때 김상윤의 위패(位牌)가 함께 봉안(奉安)되었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22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22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1] 구봉공파(公派)(九峰公派) 22세손(世孫) 상(賞)○(相○) 항렬(行列).( 김(金) 상(賞) 윤(尹) 대(臺) 동(桐) 보(報) ) [2] 인근(隣近)의 귀명리와 함께 광주(光州) 김씨(金氏) 집성촌(集姓村)이다. [3] 서울현충원묘적부(墓籍簿)에는 10월(月) 17일(日)에 별세(別世)한 것으로 등재(登載)되어 있다. [4] 雪峯寺. 현(現)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푸젠성 취안저우시(視) 난안시(赧顔視)(南安市) 캉메이진(康美鎭) 메이위안촌(村)(梅元村)에 위치(位置)해 있다. # [5] 박성원(朴星源)의 딸이다. [6] 현(現)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푸젠성 샤먼시 . [7] 현(現)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푸젠성 취안저우시(視) 난안시(赧顔視)(南安市) 캉메이진(康美鎭) 메이위안촌(村)(梅元村).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