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대중컨벤션센터역(驛) - 나무위키

김대중컨벤션센터역(驛)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 (마륵(勒)) 역(驛)
광주 1호선 아이콘
평동 방면(方面)
공 항(港)
하저(河底)터널 통과(通過) →
2.9 km →
역명(驛名) 표기(表記)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キム?デジュン コンベンションセンタ?
주소(住所)
운영(運營) 기관(機關)
개업(開業)일
2008년(年) 4월(月) 11일(日)
역사(歷史) 구조(構造)
지하(地下) 2층(層)
승강장(乘降場) 구조(救助)

金大中컨벤션센터(馬勒)驛 /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Mareuk) Station


1 . 개요(槪要) 2 . 역(逆) 정보(情報)
2.1 . 승강장(乘降場)
3 . 역(驛) 주변(周邊) 정보(情報) 4 . 일평균(日平均) 이용객(利用客) 5 . 연계(連繫) 교통(交通) 6 . 기타 7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광주(光州) 도시철도(都市鐵道) 1호선(號線) 114번(番).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서구(西區) 상무(常務)대로 지하(地下)705 ( 마륵동 ) [1] 에 위치(位置)해 있다. 이 역(役)부터 평동역(坪同役) 까지를 이 역(驛)에서 관할(管轄)한다.

2. 역(逆) 정보(情報) [편집(編輯)]

170225020839659 ...
대합실(待合室)
공사(工事) 당시(當時) 역명(逆名)은 지역명(地域名)을 딴 서창 역(驛) [2] 이었으나 인근(隣近)에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 [3] 가 있어서 2007년(年) 6월(月) 1일(日) 김대중컨벤션센터역(役)이 됐다. 병기역명(倂記逆名)은 마륵(勒). [4] 이 쪽은 해당(該當) 지역(地域)의 법정동(法定洞) 명(名). 참고(參考)로 로마자(로마字) 역명(逆名)은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Station. 정말(正말) 길다.

대한민국(大韓民國) 도시철도(都市鐵道) 중(中)에서 유일(唯一)하게 역대(歷代)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통령(大統領) 의 이름이 들어간 역(役)이라 개통(開通) 당시(當時) 적잖은 관심(關心)을 받았다. [5] 이것이 일부(一部) 커뮤니티에서는 ‘전라도(全羅道)에는 김대중역(逆), 김대중공항(金大中空港)이 있다’라는 식(式)으로 정치적(政治的) 목적(目的)으로 와전(訛傳)되기도 했는데, 실상(實狀)은 인근(隣近)에 위치(位置)한 대형(大型) 전시장(展示場) 이름을 역명(逆名)으로 채택(採擇)한 것 [6] 이고 마침 그 전시장(前市長) 이름에 김대중(金大中) 前 대통령(大統領)의 이름이 있었을 뿐이다. 참고(參考)로 사람 이름을 딴 역(驛) 으로는 경춘선(京春線) 김유정역(金裕貞驛) [7] , 용인(龍仁) 에버라인 김량장역(長驛) [8] 이 있다. 강감찬 을 부역명(賦役名)으로 가진 낙성대역 도 있다. 수로왕릉역(首露王陵驛) 이나 세종대왕릉역(世宗大王陵驛) 과 같이 국사(局社) 속 왕(王)의 이름이 들어간 역(驛)도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東大門歷史文化公園驛) 이 등장(登場)하기 전(前)까지 디지털미디어시티역(驛) 과 함께 가장 이름이 긴 역(驛) [9] 이었으나, 국제금융(國際金融)센터·부산은행역(釜山銀行驛) (한글로는 10자(字), 로마자(로마字)로는 40자(字))이(李) 등장(登場)했으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東大門歷史文化公園驛) 도 밀렸다.

JUC 페스티벌 이 열리면 코스프레 복장(服裝)을 한 코스어 들이 역(驛)에 등장(登場)하는 진풍경(珍風景)을 볼수 있다. [10]

2.1. 승강장(乘降場) [편집(編輯)]

3. 역(驛) 주변(周邊) 정보(情報) [편집(編輯)]

역(驛) 주변(周邊) 시설물(施設物)은 500미터 떨어진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 와 몇몇 단독주택(單獨住宅), 5.18 기념공원(記念公園)과 상무시민공원(常務市民公園) 및 조각공원(彫刻公園), 결혼식장(結婚式場), 광주(光州)를 대표(代表)하는 호텔 중(中) 하나인 홀리데이 인(人) 호텔 등(等)이 있으나, 지하철(地下鐵) 연계(連繫)가 그다지 좋지 않아 주말(週末)이면 결혼식(結婚式)이나 공원(公園),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 에 방문(訪問)한 차량(車輛)들로 혼잡(混雜)하기도 하다.

4. 일평균(日平均) 이용객(利用客) [편집(編輯)]

연도(鳶島)
광주 1호선 아이콘
비고(備考)
2008년(年)
~
2015년(年)
자료(資料)없음
2016년(年)
2,268명(名)
2017년(年)
2,239명(名)
2018년(年)
2,210명(名)
2019년(年)
2,388명(名)
2020년(年)
1,604명(名)
2021년(年)
1,876명(名)
2022년(年)
2,333명(名)
2023년(年)
2,469명(名)
출처(出處)
  • 역명(驛名) 그대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제일(第一) 가까운 역(驛)이다. 그러나 역(驛)에서 도보(徒步)로 접근(接近)하기에는 은근히(慇懃히) 떨어져 있다. 게다가 광주(光州) 1호선(號線)이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部分)이 많고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버스망(網)이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컨벤션센터 철도분담률(鐵道分擔率)은 높은 편(便)은 아니다.
  • 상무지구(常務地區) 를 끼고 있지만 서쪽(西쪽) 끝자락에 붙어있어 상무지구(常務地區) 이용객(利用客)을 끌어오는 데 상당(相當)한 한계(限界)를 보인다. 따라서 상무지구(常務地區)를 낀 세(歲) 역(驛) [11] 중(中)에서 승하차량(乘下車量)이 제일(第一) 낮다. 게다가 남쪽(南쪽)으로는 아무런 시설(施設)이 없고 논밭 뿐이다. 다만 탄약고(彈藥庫)와 광주공항(光州空港) 문제(問題)로 개발(開發)이 막혀 그렇게 된 것이니, 이전(移轉)하고 개발(開發)하는 계획(計劃)이 마무리되면 이용객(利用客) 수(數)가 크게 늘어날 가능성(可能性)이 있다.

5. 연계(連繫) 교통(交通) [편집(編輯)]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마륵(勒))역(驛)(2131)
급행(急行)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순환(循環)01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全南大射距離) -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시청(視聽) -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좌석(座席)02
간선(幹線)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송정(松亭)19
도산동 - 광주송정역(光州松汀驛) - 전남대동문(全南大同門) - 장등공영차고지(長等公營車庫地)
일곡38
운림50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 염주(念珠)맨션 - 라인효친(孝親) - 무등산국립공원(無等山國立公園)(증심사)
지선(支線)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첨단(尖端)20
첨단공영차고지(尖端公營車庫地) - 광주우편집중국(光州郵便集中局) - 흑석사거리(黑石射距離) - 광주월드컵경기장
상무(常務)62
상무조각공원(常務彫刻公園) - 동천(洞天)마을3단지(團地) - 영광통(榮光桶) - 상무조각공원(常務彫刻公園)
상무(常務)64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 시청(視聽) -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展示館)
대촌(大村)69
칠석(七夕) - 서창동주민(住民)센터 -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市場驛)
송암73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白雲廣場) - 서광주역(曙光主役)
대촌(大村)270
매월공영차고지(每月公營車庫地) - 운천저수지 - 서창동주민(住民)센터- 구소(舊蘇)
나주(羅州)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160
영산포공용(共用)터미널 - 광주송정역(光州松汀驛) - 서구청(西區廳) - 전남대동문(全南大同門) - 문흥동
함평(咸平)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500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영광통(榮光桶) - 삼도(森島) - 월야(月夜) - 함평(咸平)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마륵(勒))역(驛)(2132)
간선(幹線)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송정(松亭)19
도산동 - 양동시장역(市場驛) - 전남대동문(全南大同門) - 장등공영차고지(長等公營車庫地)
운림50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 염주(念珠)맨션 - 라인효친(孝親) - 무등산국립공원(無等山國立公園)(증심사)
지선(支線)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첨단(尖端)20
첨단공영차고지(尖端公營車庫地) - 광주우편집중국(光州郵便集中局) - 흑석사거리(黑石射距離) - 광주월드컵경기장
상무(常務)62
상무조각공원(常務彫刻公園) - 동천(洞天)마을3단지(團地) - 영광통(榮光桶) - 상무조각공원(常務彫刻公園)
대촌(大村)69
칠석(七夕) - 서창동행정복지(行政福祉)센터 -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市場驛)
송암73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白雲廣場) - 서광주역(曙光主役)
대촌(大村)270
매월공영차고지(每月公營車庫地) - 운천저수지 - 서창동행정복지(行政福祉)센터- 구소(舊蘇)
나주(羅州)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160
영산포공용(共用)터미널 - 광주송정역(光州松汀驛) - 서구청(西區廳) - 전남대후문(後門) - 문흥동
함평(咸平)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500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영광통(榮光桶) - 삼도(森島) - 월야(月夜) - 함평(咸平)
김대중(金大中)컨벤션센터(마륵(勒))역(驛)(북(北))(2328)
급행(急行)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순환(循環)01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全南大射距離) -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시청(視聽) -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좌석(座席)02
간선(幹線)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지선(支線)버스
[ 경유지(經由地) 펼치기 · 접기 ]
상무(常務)64
세하공영차고지(公營車庫地) - 시청(視聽) - 광주종합(光州綜合)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展示館)
  • 이 역(驛)과 공항역(空港驛) 사이의 역간거리(力諫距離)는 2.9km로, 광주(光州) 도시철도(都市鐵道) 1호선(號線) 구간(區間)에서 역간거리(力諫距離)가 가장 먼 구간(區間)이다. [12] 단(單), 역간(力諫) 소요시간(所要時間)이 가장 긴 구간(區間)은 아니다. 소태역(驛) - 녹동역(綠瞳驛) 구간(區間)은 안 그래도 지상(地上) 구간(區間)이라 체감상(體感上) 더 느리게 느껴지고 역간(力諫) 거리(距離)도 먼 편(便)인데다 이 구간(區間)에서는 정말(正말) 느린 속도(速度)로 운행(運行)하기 때문에 [13] 여기가 가장 소요시간(所要時間)이 길다.
김대중 투명
김대중(金大中)
관련(關聯) 문서(文書)
[ 펼치기 · 접기 ]
일생(一生)
발언(發言)
논란(論難)
가족(家族)
정책(政策)
역대(歷代) 선거(選擧)
사건사고(事件事故)
기타
별도(別途) 문서(文書)가 없는 평가(評價) 및 논란(論難)은 해당(該當) 주제(主題) 관련(關聯) 문서(文書) 참고(參考)
국민(國民)의 정부(政府)와 관련(關聯)된 문서(文書)는 틀:국민(國民)의 정부(政府) 참고(參考)
[1] 마륵동 170-40 [2] 행정동(行政洞) 상(上)의 지역명(地域名)이자, 1988년(年) 이전(以前)에는 광산군 서창면(西窓面)이었다. 광주(光州) 편입(編入) 이후(以後)에도 광산구(光山區) 에 속(屬)했다가 1995년(年)에 서구(西歐)로 편입(編入)되었다. [3] 2005년(年) 9월(月) 6일(日) 개관(開館). [4] 2단계(段階) 개통(開通) 전(前)인 녹동(綠瞳)~상무(常務) 구간(區間)만 운행(運行)하던 시절(時節) 차내(車內) 노선도(路線圖)와 플랫폼 노선(路線)도 등(等)에 서창역(西窓逆)으로 표시(標示)되어 있었으나, 개통(開通) 직전(直前) 현재(現在)의 역명(逆名)이 확정(確定)된 뒤 모두 변경(變更)됐다. [5] 개통(開通) 후(後) 김대중(金大中) 前 대통령(大統領)은 이 역(役)의 개통(開通)을 지켜본지 1년(年) 후(後)인 2009년(年) 8월(月) 18일(日)에 세상(世上)을 떠났다. [6] 벡스코역(驛) , 킨텍스역(驛) 이 유사(類似) 사례(事例)이다. [7] 본래(本來) 이름은 '신남역(新南驛)'이었으나 소재지(所在地)인 신남면이 통폐합(統廢合)돼 사라졌고, 이에 춘천시가 김유정문학촌(金裕貞文學村) 조성(造成)에 발맞춰 역명(驛名) 변경(變更)을 추진(推進)해 2004년(年) 이름이 바뀌었다. [8] 동네(洞네) 이름이 '김량장동'인데, 김량장(長)이라는 지명(地名) 자체(自體)가 역(驛) 인근(隣近)의 '김량장(長)'이라는 시장(市場) 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고 김량장(長)이라는 이름 자체(自體)가 '김량'이라는 장수가 살던 지역(地域)에서 세워진 장(場)이라고 붙은 이름. [9] 한글 로 8자(字)(부역명(賦役名)을 포함(包含)하면 10자(字)), 로마자(로마字)로 26자(字)(부역명(賦役名)을 포함(包含)하면 32자(字)). 로마자(로마字) 명칭(名稱)은 국제금융(國際金融)센터·부산은행역(釜山銀行驛) , 경성대·부경대역(釜慶大驛) , 경기도청북부청사역(京畿道廳北部廳舍役)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東大門歷史文化公園驛) 에 이어 5위(位). [10] 서(鉏)코 행사장(行事場) 주변(周邊)의 학여울역 , 양재시민(市民)의숲역 부(不)코 행사장(行事場) 주변(周邊)의 센텀시티역(驛) 과 비슷한 모습이다. 환승역(換乘驛)인 종합운동장역(綜合運動場驛)(서울) 도 비슷하다. [11] 운천역(韻賤役) , 김대중컨벤션센터역(驛), 상무역 [12] 그 이유(理由)는, 서구(西歐)와 광산구(光山區)를 가르는 영산강(榮山江) 을 지하(地下)로 통과(通過)하고, 두 역(驛) 사이에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13] 그래도 가속(加速)하며 높은 속도(速度)를 유지(維持)하는 공항역(空港驛)-김대중컨벤션센터역(驛) 구간(區間)과 달리 여기서는 아예 엔진을 계속(繼續) 켜놓지 않고 켰다 껐다 하면서 탄력주행(彈力走行)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