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기러기 - 나무위키

기러기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태풍(颱風)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기러기(태풍(颱風))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50호(號)]?
?[51~100호(號)]?
?[101~150호(號)]?
?[151~200호(號)]?
?[201~250호(號)]?
  1. 백조(白鳥)( 고니 , 큰고니 , 혹고니 )
  1. 제주(濟州)한림용암동굴지대(鎔巖洞窟地帶)(소천굴, 황금굴 ,협재굴)
?[251~300호(號)]?
?[301~350호(號)]?
  1. 기러기류(類)( 개리 , 흑기러기(黑기러기) )
?[351~400호(號)]?
?[401~450호(號)]?
  1.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天然保護區域)
?[451~500호(號)]?
?[501~550호(號)]?
  1. 포천(抱川) 한탄강(漢灘江) 현무암(玄武巖) 협곡(峽谷)과 비둘기낭 폭포(瀑布)
?[551호(號)~]?
기러기
Wild goose
Anser
Brisson, 1760
분류(分類)
척삭동물문(動物門)(Chordata)
조강(鳥綱)(Aves)
하강(下降)
신악하강(神樂下降)(Neognathae)
상목(上木)
닭기러기상(賞)목(Galloanserae)
기러기목(기러기目)(Anseriformes)
오리과(科)(Anatidae)
기러기아과(亞科)(Anserinae)
기러기속(Anser)
거위 [2]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 A. anser )
개리 ( A. cygnoides )
쇠기러기 ( A. albifrons )
줄기러기 ( A. indicus ) [3]
큰기러기 ( A. serrirostris )
흰머리기러기 ( A. canagicus ) [4]
큰부리큰기러기 ( A.fabalis )
분홍발(粉紅發)기러기 ( A brachyrhynchus )
흰이마기러기 ( A erythropus )
작은흰기러기 ( A. rossii )
흰기러기 ( A. caerulescens )
wild goose
( yan )
( ガン )
(기러기 안), (기러기 홍(洪))

1 . 개요(槪要) 2 . 인간(人間)과의 관계(關係) 3 . 동요(童謠)
3.1 . 포스터 버전 3.2 . 박태준 버전
4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기러기목(기러기目) 오리 과 기러기속에 속(屬)하는 철새이다. 오리과(科)이므로 생긴 것은 오리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목이 길고 다리가 짧으며 강(江), 바다, 늪가에서 서식(棲息)한다. [5] 한국(韓國)에도 오는데 주로(主로) 가을에 와서 봄에 시베리아 , 사할린 , 알래스카 등지(等地)로 가는 겨울 철새이다. 조류(鳥類) 의 절대(絶對) 다수(多數)가 잡식(雜食) 이나 육식(肉食) 인데 비해 기러기는 십자매(十姊妹) , 타조(駝鳥) , 호아친(虎牙親) 과 함께 몇 되지 않는 초식(草食) 성(性) 조류(潮流)이다.

크기는 대략(大略) 122cm이고, 몸무게는 1.5kg 정도(程度) 나간다.[* 물론(勿論) 기러기도 종류(種類)가 여러가지이니 편차(偏差)가 좀 난다. 캐나다기러기 의 경우(境遇) 성체(聖體) 수컷은 최대(最大) 6.5 kg까지 몸무게가 나가기도 한다. 새끼는 여름까지 어미새의 보호(保護)를 받다가 가을이 되면 둥지를 떠난다. 전세계(全世界)에 총(總) 16종(種)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韓國)에는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흰기러기 , 흑기러기(黑기러기) , 쇠기러기 , 큰기러기 , 큰부리큰기러기 , 개리 , 캐나다기러기 , 줄기러기 , 흰얼굴기러기 , 붉은가슴기러기 , 흰머리기러기 등(等) 13종(種) [6] 이 찾아온다. 큰기러기와 쇠기러기 비교(比較) .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줄기러기 , 흰얼굴기러기 , 붉은가슴기러기 , 흰머리기러기 는 미조(迷鳥)이고 나머지 8종(種)은 겨울새이다. [7] 이 중(中) 개리 [8] 흑기러기(黑기러기) [9]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로 지정(指定)되어있다. 시베리아 동부(東部)와 사할린 섬, 알래스카 등지(等地)에서 번식(繁殖)하고, 대한민국(大韓民國) , 일본(日本) , 북부(北部) 중국(中國) , 몽골 , 서부(西部)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에서 겨울을 난다.

단체(團體)로 비행(飛行)할 때는 우연히(偶然히) 먼저 날게 된 기러기를 꼭지점(點)으로 맨 앞에 세운 v자(字) 혹은(或은) w자(者)의 형태(形態)로 날아간다. 흔히 맨 앞에서 나는 기러기가 대장(大將)이라고 알려졌지만 체력(體力) 소모(消耗)가 심해(深海)서 혼자서는 무리의 선두(先頭)를 계속(繼續) 이끌 수 없다. 그러므로 맨 앞쪽 자리는 계속(繼續)해서 교체(交替)된다. V자(字) 형태(形態)로 비행(飛行)하게 되면 앞에서 나는 기러기가 만드는 기류(氣流)를 뒤의 기러기가 탈 수 있게 되어 에너지를 아끼고 오래 날 수 있다. 이 날아가는 모습을 본따서 만든 진법(進法)이 안행진 (雁行陣)이다.

강화도(江華島) 연천군(漣川郡) , 철원군(鐵原郡) 등지(等地)에서는 대규모(大規模) 기러기 떼가 겨울에 날아오는데, 많을 때는 하늘이 새카매진다 는 의미(意味)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 정도(程度)로 많이 온다.

비행(飛行)하는 데에 딱히 시간대(時間代) 구분(區分)이 없어서 한밤중(한밤中)에 떼지어 날아다니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볼수 있다. 한밤중(한밤中)에 흑갈색(黑褐色)의 무언가가 꺼우꺼우 소리를 내며 때지어 날아다닌다면 높은 확률(確率)로 기러기이다.

천적(天敵)으로는 참수리 , 흰꼬리수리 , 흰머리수리(修理) , 검독수리 , 수리부엉이 같은 대형(大型) 맹금류(猛禽類)와 같은 고양이과 동물(動物)이 있다.

무도 우영우

똑바로 읽어도 거꾸로 읽어도 기러기이다.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印度人) 별똥별 제영재(第英才) 우영우

2. 인간(人間)과의 관계(關係) [편집(編輯)]

금슬(琴瑟)이 좋기로도 유명(有名)하다. 기러기가 습성상(習性上) 짝짓기를 처음으로 한 암수(暗數)는 한쪽이 죽어도 다른 기러기와 짝짓기를 하지 않는 습성(習性)이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古代) 중국(中國)에서는 기러기가 청혼(請婚) 예물(禮物)로 쓰였다고 한다. 한국(韓國) 전통(傳統) 혼례(婚禮) 에서도 신랑(新郞)이 기러기 인형(人形)을 주는 풍습(風習)이 있다. 하지만 기러기가 금슬(琴瑟)이 좋고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긴 하지만 배우자(配偶者)가 죽으면 재혼(再婚)한다.

철새라 대중적(大衆的)이진 못하지만, [10] 기러기 고기는 상당(相當)한 고급(高級) 식재료(食材料)라고 한다. 육질(肉質)과 맛이 소고기와 비슷해 궁중요리(宮中料理)에서 썼다고 한다. 다만, 그냥 굽거나 익히면 누린내가 장난이 아니라서 온갖 재료(材料)로 양념을 하여 조리(調理)하여 먹어야 한다. [11]

미국(美國) 등지(等地)에선 거대(巨大)한 기러기들이 시민(市民)을 괴롭히고 쓰레기 봉투(封套)를 마구 해집고(高) 다녀서 기러기철이 되면 사회적(社會的) 문제(問題)를 일으키곤 한다. 오죽하면 집밖으로 나가기가 두려울 정도(程度)라고. 사실(事實) 미국(美國)에선 이와같은 야생동물(野生動物) 문제(問題)가 매우 심각(深刻)한 편(便)이지만 이 기러기들은 무리지어 다니는 데다 사람에게 공격적(攻擊的)인 성향(性向)이 매우 강(剛)해서 특히(特히) 더욱 심(甚)한 편(便)이다.

거위 는 기러기 중(中)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와 개리 [12] 를 가금(家禽)으로 길들인 것이다.

3. 동요(童謠) [편집(編輯)]

3.1. 포스터 버전 [편집(編輯)]

달 밝은 가을 밤에 기러기들이
찬 서리 맞으면서 어디로들 가나요
고단한 날개 쉬어 가라고
갈대들이 손을 저어 기러기를 부르네
?
산(山) 넘고 물 건너 머나먼 길을
훨훨 날아 우리 땅을 다시 찾아왔어요
기러기들이 살러 가는 곳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너는 알고 있겠지

윤석중 작사(作詞)/ 스티븐 포스터 작곡(作曲), 기러기 (원제(原題):"Massa's in de Cold, Cold Ground") [13]
쟁반노래방(錚盤노래房) 2002년(年) 9월(月) 19일(日) 방영분(放映分)(강병규(姜炳圭), 이수영, 서지영) 의 도전곡(挑戰曲)이며 6소절(小節)(1,2절(節) 앞부분(앞部分), 1절(節) 후렴(後斂))로 나왔다.

3.2. 박태준 버전 [편집(編輯)]

47724plus
윤복진 작사(作詞), 박태준 작곡(作曲).
이 가사(歌詞)의 작사자(作詞者) 윤복진 시인(詩人)이 한국전쟁(韓國戰爭) 때 월북(越北)한 관계(關係)로, 이 작품(作品)은 금지곡(禁止曲)이 돼버렸다.
상세(詳細) 사항(事項)은 이곳을 참조(參照)할 것 .

4.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사진상(寫眞上) 기러기는 흰기러기이다 [2] 한 종(種)이 아니라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개리가 가축화(家畜化)된 것이다. [3] 인도(印度)기러기라고도 한다. 히말라야 산맥(山脈)을 넘는 극소수(極少數)의 철새들 중(中) 하나다. [4] 황제(皇帝)기러기라고도 한다. [5] 그래서인지 한국(韓國)에서는 별칭(別稱)이 "물오리"라고 불린다. [6] 흑기러기(黑기러기) , 캐나다기러기 , 흰얼굴기러기 , 붉은가슴기러기 흑기러기(黑기러기) 속이다. [7] 캐나다기러기는 거의 미조(迷鳥)라고 봐도 무방(無妨)할 정도(程度)로 희귀(稀貴)하다 [8]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325-1호(號) [9]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325-2호(號) [10] 이미 기러기를 가축화(家畜化)시킨 거위 라는 대체(代替)제가 있기 때문에 굳이 기러기를 잡아먹을 이유(理由)가 없다. [11] 이는 오리 도 마찬가지다. 가금류(家禽類)이면서도 붉은 고기이며 그냥 구우면 맛도 소고기 와 비슷하다. 맛은 칼로리에 비례(比例)한다. 철새에는 대략(大略) 시베리아 에서 적도(赤道)까지 이동(移動)할 지방(脂肪)을 저장(貯藏)해놨다. [12] 각각(各各) 서양(西洋) 거위와 중국(中國) 거위의 원종(元宗). [13] 원곡인(原曲人) Massa's in de Cold, Cold Ground은 미국(美國)의 노예(奴隸) 해방(解放) 이전(以前)을 배경(背景)으로 한 노래로, 흑인(黑人) 노예(奴隸)들에게 어질게 대(對)한 주인(主人)(Massa, 흑인(黑人) 영어(英語)로 Master를 뜻하는 단어(單語))의 죽음을 애도(哀悼)하는 흑인(黑人)의 마음을 그린 노래이다. 말 그대로 비극적(悲劇的)인 가사(歌詞).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