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그로버 클리블랜드 - 나무위키

그로버 클리블랜드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미국(美國) 야구(野球) 명예(名譽)의 전당(殿堂) 투수(投手)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초대(招待)
제(第)2대(代)
제(第)3대(代)
제(第)4대(代)
제(第)5대(代)
제(第)6대(代)
제(第)7대(代)
제(第)8대(代)
제(第)9대(代)
제(第)10대(代)
제(第)11대(代)
제(第)12대(代)
제(第)13대(代)
제(第)14대(代)
제(第)15대(代)
제(第)16대(代)
제(第)17대(代)
제(第)18대(代)
제(第)19대(代)
제(第)20대(代)
제(第)21대(代)
제(第)22대(代)
제(第)23대(代)
제(第)24대(代)
제(第)25대(代)
제(第)26대(代)
제(第)27대(代)
제(第)28대(代)
제(第)29대(代)
제(第)30대(代)
제(第)31대(代)
제(第)32대(代)
제(第)33대(代)
제(第)34대(代)
제(第)35대(代)
제(第)36대(代)
제(第)37대(代)
제(第)38대(代)
제(第)39대(代)
제(第)40대(代)
제(第)41대(代)
제(第)42대(代)
제(第)43대(代)
제(第)44대(代)
제(第)45대(代)
제(第)46대(代)
그로버 클리블랜드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招待)
조지 클린턴
제(第)2대(代)
존 제이
초대(招待) 2
조지 클린턴
제(第)3대(代)
모건 루이스
제(第)4대(代)
대니얼 D. 톰킨스
제(第)5대(代)
존 테일러
제(第)6대(代)
드윗 클린턴
제(第)7대(代)
조셉 C. 예이츠
제(第)6대(代) 2
드윗 클린턴
제(第)8대(代)
너새니얼 피처
제(第)9대(代)
마틴 밴 뷰런
제(第)10대(代)
에노스 T. 스루프
제(第)11대(代)
윌리엄 L. 마시
제(第)12대(代) 2
윌리엄 H. 수어드
제(第)13대(代)
윌리엄 C. 바우크
제(第)14대(代)
사일러스 라이트
제(第)15대(代)
존 영
제(第)16대(代)
해밀턴 피시
제(第)17대(代)
워싱턴 헌트
제(第)18대(代)
호레이쇼 시모어
제(第)19대(代)
마이런 H. 클라크
제(第)20대(代)
존 A. 킹
제(第)21대(代)
애드윈 D. 모건
제(第)18대(代) 2
호레이쇼 시모어
제(第)22대(代)
루번(壘番) 펜턴
제(第)23대(代)
존 T. 호프먼
제(第)24대(代)
존 애덤스 딕스
제(第)25대(代)
새뮤얼 J. 틸던
제(第)26대(代)
루시어스 로빈슨
제(第)27대(代)
알론조(組) B. 코넬
제(第)28대(代)
그로버 클리블랜드
제(第)29대(代)
데이비드 H. 힐
제(第)30대(代)
로스웰 P. 플라워
제(第)31대(代)
리바이 P. 모턴
제(第)32대(代)
프랭크 S. 블랙
제(第)33대(代)
시어도어 루스벨트
제(第)34대(代)
벤저민 오델
제(第)35대(代)
프랭크 W. 히긴스
제(第)36대(代)
찰스 에번스 휴스
제(第)37대(代)
호레이스 화이트
제(第)38대(代)
존 앨든 딕스
제(第)39대(代)
윌리엄 슐저
제(第)40대(代)
마틴 H. 글린
제(第)41대(代)
찰스 S. 휘트먼
제(第)42대(代)
앨 스미스
제(第)43대(代)
네이선 L. 밀러
제(第)42대(代) 2
앨 스미스
제(第)45대(代)
허버트 리먼
제(第)46대(代)
찰스 폴레티
제(第)47대(代)
토머스 E. 듀이
제(第)48대(代)
W. 애버럴 해리먼
제(第)49대(代)
넬슨 록펠러
제(第)50대(代)
맬컴 윌슨
제(第)51대(代)
휴(休) 캐리
제(第)52대(代)
마리오 쿠오모
제(第)53대(代)
조지 퍼타키
제(第)54대(代)
엘리엇 스피처
제(第)55대(代)
데이비드 패터슨
제(第)56대(代)
앤드루 쿠오모
제(第)57대(代)
캐시 호컬

미합중국 제(第)22·24대(代) 대통령(大統領)
그로버 클리블랜드
Grover Cleveland
Stephen Grover C...
본명(本名)
스티븐 그로버 클리블랜드
(Stephen Grover Cleveland)
출생(出生)
사망(死亡)
1908년(年) 6월(月) 24일(日) (향년(享年) 71세(歲))
재임기간(在任期間)
제(第)22대(代) 대통령(大統領)
제(第)24대(代) 대통령(大統領)
서명(署名)
그로버 클리블랜드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父母)
아버지 리처드 클리블랜드 (1804 ~ 1853)
어머니 앤 닐 (1806 ~ 1882)
형제자매(兄弟姊妹)
여동생(女同生) 로즈 클리블랜드 (1846 ~ 1918)
배우자(配偶者)
프랜시스 클리블랜드 프레스턴 (1864 ~ 1947, 1886년(年) 결혼(結婚))
자녀(子女)
루스 클리브랜드 (1891 ~ 1904)
에스더 클리블랜드 (1893 ~ 1980)
매리언 클리블랜드 (1895 ~ 1977)
리처드 F. 클리블랜드 (1897 ~ 1974)
프랜시스 그로버 클리블랜드 (1903 ~ 1995)
학력(學歷)
페이엣빌 아카데미
클린턴 리버럴 아카데미
종교(宗敎)
신체(身體)
정당(正當)
문장(文章)
Grover Cleveland...
external/upload....
백악관(白堊館) 공식(公式) 초상화(肖像畫)

1 . 개요(槪要) 2 . 약력(略歷) 3 . 생애(生涯)
3.1 . 초기(初期) 생애(生涯) 3.2 . 정계(政界) 입문(入門)과 대선(大選) 도전(挑戰) 3.3 . 대통령(大統領) 시절(時節)
3.3.1 . 1번째(番째) 임기(任期): 1885 ~ 1889 3.3.2 . 재선(再選) 실패(失敗) 후(後), 와신상담(臥薪嘗膽): 1889 ~ 1893 3.3.3 . 2번째(番째) 임기(任期): 1893 ~ 1897
3.4 . 이후(以後)
4 . 평가(評價) 5 . 한국(韓國)과의 관계(關係) 6 . 가족(家族)
6.1 . 아내
7 . 기타 8 . 선거(選擧) 이력(履歷)

제(第)24대(代)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의 육성(育成) [2]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미국(美國) 의 제(第)22대(代)·제(第)24대(代) 대통령(大統領) .

제(第)22대(代) 대통령(大統領)에 당선(當選)되어 4년간(年間) 재임(在任)한 뒤 재선(再選)에 도전(挑戰)하였으나 벤저민 해리슨 공화당 후보(候補)에게 패(敗)하였으며, 세 번째(番째) 대선(大選) 도전(挑戰) 때 해리슨의 재선(再選) 도전(挑戰)을 꺾고 승리(勝利)하여 제(第)24대(代) 대통령(大統領)으로 또 4년간(年間) 재임(在任)했다. 이에 따라 역대(歷代)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들 중(中) 유일(唯一)하게 두 번(番)의 임기(任期)를 나누어 수행(隨行) 한 소위(所謂) '징검다리 임기(任期)' 대통령(大統領)으로 기록(記錄)되었다. 다만 1950년대(年代)까지는 그냥 제22대 대통령(大統領)으로 인식(認識)되었다고 한다. 두 번째(番째) 임기(任期)인 제(第)24대(代) 대통령(大統領) 시절(時節)도 제(第)22대(代) 대통령(大統領)인 것으로 쳤다는 소리. 이 때문에 후임(後任)인 윌리엄 매킨리 는 제(第)24대(代), 시어도어 루스벨트 는 제(第)25대(臺)로 계산(計算)되는 식(式)으로 1950년대(年代)까지 대통령(大統領) 대수(臺數)를 올렸다고 한다.

본명(本名)은 스티븐 그로버 클리블랜드(Stephen Grover Cleveland)이지만, 소년(少年) 시절(時節) 스티븐 이란 이름을 버리고 죽을 때까지 미들네임 인(人) '그로버'를 자신(自身)의 대표(代表) 이름으로 사용(使用)했다.

2. 약력(略歷) [편집(編輯)]

  • 1871.1. 제(第)17대(代) 뉴욕 주(州) 이리 카운티 보안관(保安官) (1871.1.1. ~ 1873.12.31.)
  • 1882.1. 제(第)35대(代) 버펄로 시장(市場) (1882.1.2. ~ 1882.11.20.)
  • 1883.1. 제(第)28대(代) 뉴욕 주지사(州知事) (1883.1.1. ~ 1885.1.6.)
  • 1885.3. 제(第)22대(代)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 (1885. 3.4. ~ 1889. 3.4)
  • 1893.3. 제(第)24대(代)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 (1893. 3.4. ~ 1897. 3.4)

3. 생애(生涯) [편집(編輯)]

3.1. 초기(初期) 생애(生涯) [편집(編輯)]

1837년(年) 3월(月) 18일(日) 뉴저지 주(週) 콜드웰 에서 9남매(男妹) 중(中) 다섯째로 태어났다. 장로회(長老會) 목사(牧師)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콜드웰 지역(地域)에서 목회자(牧會者)로 나름 명성(名聲) 있는 가문(家門)이었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공부(工夫)를 좋아해 페이엣빌 아카데미(Fayetteville Academy)와 클린턴 리버럴 아카데미(Clinton Liberal Academy)에서 수학(數學)했지만, 16세(歲) 때 아버지가 세상(世上)을 뜨고 집안이 어려워지는 바람에 학업(學業)을 포기(抛棄) [3] 하고 숙부(叔父)와 함께 살며 잡화점(雜貨店) 점원(店員)으로 일했으며 한동안 뉴욕 맹인(盲人) 학교(學校)에서 교사(敎師)로 재직(在職)했다. 어려운 상황(狀況)을 극복(克服)하기 위해 바쁘게 일하면서도 변호사(辯護士) 가 되겠다는 꿈만은 포기(抛棄)하지 않았고, 숙부(叔父)의 배려(配慮)로 버팔로 시(市)의 한 변호사(辯護士) 사무실(事務室)에서 독학(獨學)으로 법학(法學) 공부(工夫)에 매진(邁進)하여 1859년(年) 변호사(辯護士) 가 되었다. [4]

변호사(辯護士)가 되었지만 아버지의 사망(死亡) 후(後) 과부(寡婦)가 된 어머니와 어린 동생들을 부양(扶養)해야 했기에 남북전쟁(南北戰爭) 중(中)에도 악착같이(齷齪같이) 돈을 벌어야 했다. 변호사(辯護士) 수임료(受任料)만으로는 소득(所得)이 부족(不足)하여 법조계(法曹界)에서 일자리를 얻으러 다닌 끝에 부지방검사(部地方檢事)로 재직(在職)했고, 1870년(年) 뉴욕주(뉴욕州) 이리 카운티 보안관(保安官) 에 당선(當選)되어 국장(國葬)으로 재임(在任)했다. 보안관(保安官)으로 일하던 이 시기(時期) 두 번(番)의 사형(死刑) 집행(執行)을 주관(主管)하기도 했다. [5] 남북전쟁(南北戰爭) 당시(當時) 북부연방(北部聯邦)에 적용(適用)된 징병법(徵兵法)에는 "본인(本人)이 병역(兵役) 의무(義務)를 수행(遂行)하지 못할 경우(境遇) 대리인(代理人)에게 보수(報酬)를 지급(支給)하여 병역(兵役)을 대신(代身)하게 하고 면제(免除)받을 수 있다"고 명시(明示)되어 있었는데, 당시(當時) 친형(親兄) 두 명(名)이 먼저 입대(入隊)해 복무(服務) 중(中)이어서 혼자 가족(家族)의 생계(生計)를 책임져야 했기에 이 법(法) 조항(條項)에 따라 150달러를 지급(支給)하는 대가(代價)로 폴란드 출신(出身)의 한 이민자(移民者)를 대리인(代理人)으로 입대(入隊)시키고 병역(兵役)을 면제(免除)받았다. 불법(不法)은 아니었지만 조국(祖國)의 명운(命運)을 건 전쟁(戰爭)에서 엄연히(儼然히) 병역(兵役) 의무(義務)를 지지 않은 것이었고, 이 점(點)은 훗날(後날)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국면(局面)에서 네거티브 공격(攻擊)의 빌미가 되기도 했다.

3.2. 정계(政界) 입문(入門)과 대선(大選) 도전(挑戰) [편집(編輯)]

1881년(年) 44세(歲)의 나이로 민주당(民主黨) 에 입당(入黨)하며 정계(政界)에 입문(入門)했고, 그 해 "공공(公共)의 신뢰(信賴)를 받는 공공기관(公共機關)"을 핵심(核心) 가치(價値)로 내걸고 민주당 후보(候補)로 출마(出馬)하여 버팔로 시장(市場)에 당선(當選)되었다. 2년(年) 뒤인 1883년(年)에는 뉴욕주(뉴욕州) 지사(支社) 선거(選擧)에 민주당 후보(候補)로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며 자신(自身)의 정치적(政治的) 입지(立地)를 한껏(限껏) 강화(强化)했다. 주지사(州知事) 재임(在任) 당시(當時) 공직사회(公職社會)의 부정부패(不淨腐敗)를 일소(一掃)하고 주정부(州政府) 개혁(改革)을 단행(斷行)해 꽤 성과(成果)를 거두었으며, '정직(停職)'함과 '성실(誠實)'함을 모토로 내세워 '소신(所信) 있는 원칙주의자(原則主義者)' 이미지로 호평(好評)받았다. 대중적(大衆的) 인지도(認知度)와 인기(人氣)가 크게 상승(上昇)하면서 대권주자(大權走者)로 급부상(急浮上), 뉴욕주지사(뉴욕州知事)로 임기(任期)를 시작(始作)한 지 1년여(年餘)밖에 되지 않은 1884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 야당(野黨)인 민주당(民主黨) 후보(候補)로 지명(指名)되었다.

상대(相對) 진영(陣營)인 집권(執權) 공화당(共和黨) 에선 대선후보(大選候補)로 체스터 A. 아서 대통령(大統領)이 아닌 제임스 G. 블레인 전(前) 국무장관(國務長官)을 선출(選出)했고 블레인과 본선(本選)에서 격돌(激突)하게 되었는데, 당시(當時) 공화(共和)-민주(民主) 양당(兩黨)의 정책(政策)과 공약(公約), 당론(黨論)은 관세법(關稅法) 찬반(贊反) [6] 외(外)에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때문에 1884년(年) 대선(大選)의 선거(選擧) 유세(遊說)는 정책(政策) 대결(對決)보다 상대(相對) 후보(候補)에 대(對)한 네거티브 공방전(攻防戰)으로 점철(點綴)되었고, 이는 서로를 향(向)한 무차별적(無差別的) 의혹(疑惑) 제기(提起)로 하나라도 더 흠집(欠집) 내고 트집 잡으려는 진흙탕 싸움으로 비화(飛火)하였다. 이로 인해 선거(選擧) 기간(期間) 내내 남북전쟁(南北戰爭) 당시(當時) 대리인(代理人)을 입대(入隊)시키고 병역(兵役)을 면제(免除)받은 전력(前歷)에 대(對)한 '병역(兵役) 기피(忌避)' 공격(攻擊) 등(等) 온갖 비난(非難)에 시달려야 했다. 심지어(甚至於) 공화당을 지지(支持)하는 일부(一部) 언론사(言論社)들로부터 "버팔로시(詩)에 사는 한 과부(寡婦)와 부적절(不適切)한 관계(關係)였고 아이까지 낳았다"는 스캔들 기사(記事)가 터지기도 했다.

external/charles...
당시(當時) 폭로(暴露)된 스캔들을 풍자(諷刺)한 만평(萬坪). 이 스캔들이 보도(報道)되자 블레인 후보(候補)와 공화당(共和黨)은 만평(萬坪) 속 울고 있는 아기의 말을 비틀어 "엄마, 엄마, 우리 아빠 어디 갔어요?(Ma! Ma! Where’s my pa)"라는 선전(宣傳) 구호(口號)로 쓰면서 도덕적(道德的)으로 깨끗하지 못하다며 맹비난(猛非難)을 퍼부었다. 그러자 민주당은 이를 부인(否認)하거나 회피(回避)하는 대신(代身) "백악관(白堊館)에 가셨단다, 하하하!(Gone to the White House, Ha! Ha! Ha!)" 라는 구호(口號)로 맞받아쳤다(...).

염증(厭症)이 날 정도(程度)의 혼탁(混濁)한 선거전(選擧戰)에 결국(結局) 그 과부(寡婦)와의 스캔들을 인정(認定)했는데, 당시(當時) 아직 결혼(結婚)하지 않은 상태(狀態)였고 상대(相對) 여성(女性)도 과부(寡婦)였기에 엄밀히(嚴密히) 말하면 불륜(不倫) 은 아니었다. 다만 19세기(世紀) 후반(後半) 미국(美國) 사회(社會) 분위기(雰圍氣)는 남녀(男女) 간(間) 성(性) 문제(問題)에 매우 보수적(保守的)이어서 그 자체(自體)로 트집 잡힐 일이 되었던 것. 혼외정사(婚外情事) 혼전임신(婚前妊娠) 을 매우 금기시(禁忌視)하던 것이 당시(當時) 사회(社會) 풍토(風土)였던 탓에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하지도 않고 관계(關係)를 맺어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事實) 자체(自體)가 남녀(男女) 간(間) 순리(順理)를 어긴 것으로 비쳐졌고, 이 역시(亦是) 선거(選擧) 기간(期間) 내내 논란(論難)이 되었다. 여하튼(如何튼) 스캔들을 사실(事實)이라고 인정(認定)한 뒤 책임(責任)을 지고 아기의 양육비(養育費)를 지급(支給)하겠다고 선언(宣言) [7] 하면서 정면돌파(正面突破)를 택(擇)하자 그 의연(毅然)함에 일부(一部) 유권자(有權者)들은 '정직(停職)'함을 내세운 모습에 부합(符合)한다며 오히려 지지(支持)를 보냈다. 게다가 병역(兵役) 면제(免除) 논란(論難)은 제임스 G. 블레인 후보(候補)도 똑같은 방식(方式)으로 남북전쟁(南北戰爭) 때 병역(兵役)을 면제(免除)받은 것이 드러나면서 큰 타격(打擊)을 입지 않을 수 있었다.

그렇게 의혹(疑惑) 제기(提起)와 폭로(暴露)로 얼룩진 1884년(年) 대선(大選) 개표(開票) 결과(結果) 박빙(薄氷) 승부(勝負) 끝에 간발(間髮)의 차이(差異) [8] 로 당선(當選)되어 백악관(白堊館)에 입성(入城)할 수 있었다. 민주당(民主黨) 으로서도 남북전쟁(南北戰爭) 이후(以後) 처음 집권(執權)하게 되는, 기념비적(紀念碑的)인 승리(勝利)였다.

3.3. 대통령(大統領) 시절(時節) [편집(編輯)]

3.3.1. 1번째(番째) 임기(任期): 1885 ~ 1889 [편집(編輯)]

그가 대통령(大統領)이었을 때 주된 문제(問題)는 관세(關稅) 무역(貿易)과 노동운동(勞動運動) 이었는데, 클리블랜드는 당론(黨論)인 관세인하정책(關稅引下政策)에 따라 관세(關稅)를 낮추고 자유무역(自由貿易) 을 장려(奬勵)하여 시장(市場)을 확장(擴張)하는 정책(政策)을 펼쳤으며 금본위제(金本位制) 를 정착시키는 데 노력(努力)했다. 또한 행정부(行政府)를 효율적(效率的)으로 조직(組織)하였고 그 강직(剛直)함으로 공직사회(公職社會)의 부패(腐敗)를 일소(一掃)한 점(點)은 그의 업적(業績) 중(中) 하나이다. 이 점(點)으로 첫 번째(番째) 임기(任期)를 수행(遂行)할 무렵에는 제법 인기(人氣)가 있었다.

노동자(勞動者)들의 노동운동(勞動運動)이 가장 격렬(激烈)하게 일어났던 시기(時機)도 바로 이 시기(時期)였다. 1886년(年) 미국노동총연맹(美國勞動總聯盟)이 결성(結成)된 이래(以來) 노동운동(勞動運動)은 조직화(組織化), 거대화(巨大化)되어갔으며, 특히(特히) 같은 해인 1886년(年) 일어난 헤이마켓 사건(事件) 은 그의 재임기(在任期)에 일어난 최대(最大)의 노동운동(勞動運動) 중(中) 하나였다. 그러나 클리블랜드의 정강정책(政綱政策)은 시장(市場)의 자유(自由)를 추구(追求)하여 정부(政府)의 개입(介入)을 막고 있었고, 클리블랜드 본인(本人) 역시(亦是) "국민(國民)이 정부(政府)를 돕더라도, 정부(政府)가 국민(國民)을 도와서는 안 된다." [9] 이런 말을 할 정도(程度)로 노동자(勞動者)에게 그닥 우호적(友好的)이진 않은 인물(人物)이었다.

또한 여러 정책(政策)을 펼쳤으면서도 국민(國民)의 교육(敎育)과 복지(福祉)를 위한 조치(措置)에는 큰 관심(關心)이 없어서 이 점(點)도 비판(批判)을 많이 받았다. 사실(事實) 이 당시(當時) 민주당 자체(自體)가 지금(只今)의 민주당(民主黨)하곤 결이 좀 다른 것도 있었고.. [10] 클리블랜드 다음 민주당(民主黨) 대선후보(大選候補)를 지낸 윌리엄 J. 브라이언 때부터 슬슬 기조(基調) 변화(變化)가 생기기 시작(始作)한다.

3.3.2. 재선(再選) 실패(失敗) 후(後), 와신상담(臥薪嘗膽): 1889 ~ 1893 [편집(編輯)]

1888년(年) 재선(再選)을 노리고 공화당(共和黨)의 벤저민 해리슨 과 격돌(激突)했는데, 이 때 클리블랜드는 득표수(得票數)에서는 해리슨을 5만(萬) 표(票) 차이(差異)(0.6%)로 눌렀지만 앨 고어 힐러리 클린턴 처럼 선거인단(選擧人團) 수(數)에서 뒤지는 바람에 백악관(白堊館)을 해리슨에게 내 줘야 했다. 이런 사태(事態)가 초래(招來)된 데는 당시(當時) 주미(駐美) 영국(英國) 대사(大使)였던 라이놀 웨스트의 발언(發言)도 한몫 했는데, 뭔 소린가 하면 공화당 측(側) 선거참모(選擧參謀)가 웨스트에게 선거(選擧)에 대(對)한 조언(助言)을 부탁(付託)했지만 웨스트는 "우리는 영국(英國)에 호의적(好意的)이고 자유무역(自由貿易)과 관세인하(關稅引下)를 모토로 하는 클리블랜드를 선호(選好)하는데 굳이..?" 라는 식(式)으로 조언(助言)을 거부(拒否)한다.

그러자 공화당 측(側)에서는 이를 역(逆)으로 이용(利用)해 "영국(英國)은 클리블랜드를 원(願)한다!"는 식(式)으로 대대적(大大的)인 프로파간다를 퍼뜨렸는데 이게 결국(結局) 클리블랜드에게 악재(惡材)가 되었다. 특히(特히) 당시(當時) 인구(人口)가 많던 뉴욕 주(州)에는 아일랜드계(系) 미국인(美國人) 유권자(有權者)들이 상당(相當)했는데, 알다시피 영국(英國)과 아일랜드는 (특히(特히) 당시(當時)에는 더) 숙적(宿敵)이었으니 클리블랜드에게 좋을건 없었다. 결국(結局) 이 선거(選擧)도 뉴욕주(뉴욕州)에서 고작 7187표(票)(0.54%)로 승부(勝負)가 갈렸다.

그렇게 '자연인(自然人)'이 된 클리블랜드는 이시기 뉴욕에 법률사무소(法律事務所)를 열고 지냈는데, 사무소(事務所) 일보다는 별장(別莊)에서 낚시 하는 걸 더 좋아했던 듯하다. 첫째 딸 루스를 얻은 것도 이때. 이 당시(當時) 정치활동(政治活動)은 1891년(年) 대통령(大統領) 벤저민 해리슨에게 매킨리 관세(關稅)와 셔먼 반독점법(反獨占法)에 항의(抗議)하는 공개서한(公開書翰)을 보내는 등(等)의 소소(小小)한 정도(程度)였다. 그래도 대통령(大統領) 재선(再選)을 포기(抛棄)한건 아니라 여전히(如前히) 준비(準備)를 하곤 있었다.

3.3.3. 2번째(番째) 임기(任期): 1893 ~ 1897 [편집(編輯)]

4년(年) 동안 와신상담(臥薪嘗膽) 하며 백악관(白堊館) 탈환(奪還)을 준비(準備)하던 클리블랜드는 1892년(年)의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민주당 후보(候補)로 지명(指名)되어 결국(結局) 당선(當選)에 성공(成功)했고 기어코(期於코) 두 번째(番째) 대통령직(大統領職)을 수행(遂行)한다. 그러나 그의 두 번째(番째) 임기(任期)는 그야말로 악순환(惡循環)이었다. 해리슨 정부(政府) 당시(當時)부터 악화(惡化)되던 경제상황(經濟狀況)이 결국(結局) 공황(恐慌)으로 확산(擴散)되면서 실업률(失業率)이 증가(增加)하고 디플레이션이 와 농업(農業)이 피폐화(疲弊化)된다. 그리고 이런 공황(恐慌)에 힘입어 압도적(壓倒的) 다수당(多數黨)을 4년간(年間) 차지했던 민주당은 중간선거(中間選擧)에서 다시 대패(大敗)하여 전체(全體) 의석(議席)의 1/3 이하(以下)로 쪼그라들고 만다.

6백개(百個)의 은행(銀行)이 파산(破産)하는 사태(事態)가 발생(發生)했고, 1895년(年)에는 국가보(國家洑)유금이 떨어져 급히(急히) 존 피어폰트 모건 등(等) 거대(巨大) 은행(銀行)그룹에 돈을 빌려야 했다. 그 와중(渦中) 광산(鑛山), 철도(鐵道) 노동자(勞動者)들의 파업(罷業)이 다시 일어났으며, 이에 대(對)한 클리블랜드의 강경진압(强勁鎭壓)에 여당(與黨)의 인기(人氣)는 더욱 곤두박질친다. 여기에 구강암(口腔癌)까지 발견(發見)되어 치과치료(齒科治療)를 명목(名目)으로 비밀리(祕密裏)에 암수술(癌手術)까지 받고 회복(回復)하는 등(等) 건강(健康)도 좋지 않았다. 결국(結局) 이런 위기(危機) 속에서 허덕이다가 두 번째(番째) 대통령(大統領) 임기(任期)를 마치게 된다.

3.4. 이후(以後) [편집(編輯)]

external/www.his...
1908년(年)의 모습. 사망(死亡)하던 해에 촬영(撮影)된 사진(寫眞)이라서인지 현역(現役) 시절(時節)에 비해 살이 많이 빠지고 해쓱해졌다.

퇴임(退任) 이후(以後) 뉴저지의 프린스턴 에서 살았으며, 1908년(年) 만(萬) 71세(歲)의 나이에 심장마비(心臟痲痹) 로 사망(死亡)했다.

4. 평가(評價) [편집(編輯)]

현재(現在) 대통령(大統領) 시절(時節) 업적(業績)에 관(關)한 평가(評價) 및 인기(人氣) 순위(順位)는 엄청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무난(無難)한 수준(水準)이다. 높이 평가(評價)받는 점(點)은 원칙(原則)과 소신(所信), 강직(剛直)함으로 부패(腐敗)를 근절(根絶)했다는 것이지만 위에서 언급(言及)된 노동운동(勞動運動) 탄압(彈壓)과 집권(執權) 2기(期) 경기침체(景氣沈滯)를 초래(招來)한 점(點)은 그에 대(對)한 평가(評價)를 깎이게 하는 부분(部分). 사실(事實) 경기침체(景氣沈滯)는 그가 초래(招來)했다기보다는 쌓이고 쌓이던 것이 그의 재임(在任) 시기(時期)에 터진 것이지만, 그렇다고 그가 이전(以前) 경제정책(經濟政策)을 딱히 수정(修正)한 것도 아니었다. 이래서 오즈의 마법사(魔法師) 에서 클리블랜드의 경제적(經濟的)인 무능(無能)함이 풍자(諷刺)받았다는 추측(推測)도 있다.

그래도 뒷날 28대(代) 대통령(大統領)인 우드로 윌슨 은 "링컨 사망(死亡) 이래(以來) 1894년(年) 사이의 대통령(大統領)들 중(中) 미국(美國)에서 가장 주도적(主導的)이며 결정적(決定的)인 역할(役割)을 한 유일(唯一)한 대통령(大統領)"이라고 높이 평가(評價)했으며, 미국(美國)의 몇몇 역사가(歷史家)들도 에이브러햄 링컨 부터 시어도어 루스벨트 사이의 대통령(大統領)들 중(中)에선 그나마 가장 중요(重要)하고 뛰어난 대통령(大統領)이었다는 평가(評價)를 한다. 실제로(實際로) 학자(學者)나 연구자(硏究者)에 따라서는 그를 꽤 높이 평가(評價)하는 사람도 있다.

다만 개혁(改革)을 앞세우며 행정부(行政府) 에서는 지도력(指導力)을 발휘(發揮)했지만, 입법부(立法府) 는 일정기간(一定期間) 여소야대(與小野大) 를 맞이하기도 해 태클거는 의회(議會)와 으르렁거리기도 했다. 지나치게 강직(剛直)했던 나머지 다소(多少) 독선적(獨善的)인 면(面)도 보여서 비전 없는 정책(政策)을 밀어붙이기도 했고, 1기(期) 행정부(行政府) 때는 의회(議會)의 가결(可決) 법안(法案)을 414개(個)나 거부(拒否)하기도 해 한 임기(任期)(4년(年)) 중(中)에 가장 거부권(拒否權) 을 많이 행사(行使)한 대통령(大統領)이 되었다. 연설(演說)이나 글도 서투른 편(便)이었고, 개혁(改革) 정책(政策)을 내세운다고는 했지만 그 정책(政策)도 장기적(長期的)인 비전이나 융통성(融通性)이 없었다는 점(點)에선 평가(評價)가 깎이는 편(便)이다.

그래도 정치적(政治的)으로 다소(多少) 답답한 점(點)은 있었지만, 자신(自身)의 모든 정책(政策) 결정(決定)에서 도덕적(道德的) 기초(基礎)를 생각했고 정직성(正直性)과 근면성(勤勉性)은 평가(評價)를 받았다 또 권위(權威)나 공직(公職)을 이용(利用)해서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추구(追求)하진 않았다. 전임자(前任者)인 체스터 A. 아서 와 함께 행정부(行政府)의 도덕성(道德性)에 대(對)한 미국(美國) 국민(國民)들의 신뢰(信賴)를 회복시킨 인물(人物)로 꼽힌다.

5. 한국(韓國)과의 관계(關係) [편집(編輯)]

한국(韓國) 역사상(歷史上) 최초(最初)의 주미공사(駐美公使)인 박정양 이 미국(美國)에 파견(派遣)된 것이 바로 그의 재임기(在任期)였다. [11] 1888년(年) 1월(月) 17일(日) 박정양(朴定陽)은 백악관(白堊館) 에 가서 클리블랜드를 만나고 국서(國書)를 제출(提出)했다. 이 때 박정양(朴定陽)은 사모(私募), 관대(冠帶)를 착용(着用)하고 신하(臣下)의 대례복(大禮服)인 흑단령(黑團領)을 입은 채로 백악관(白堊館)을 방문(訪問)했다고 한다. 고종(高宗)의 이름으로 된 당시(當時)의 국서(國書)는 이러했다.
대(大)조선국 대군주(大君主)는 대(臺)아미리가(大亞美里加, America의 음차(音叉))합중국(合衆國) 대(代)백리새천덕(大伯理璽天德, President의 음차(音叉))에게 글월을 올린다. 짐은 본국(本國)과 귀국(歸國)이 먼저 조약(條約)을 체결(締結), 우의(友誼)가 돈독(敦篤)하고 두터워 사절(使節)이 왕래(往來)한 지 여러 해가 되었다. ...(중략(中略))... 이에 짐은 신애(信愛)하는 종(種)2품(品) 협판내무부사 박정양을 뽑아 전권대신(全權大臣)으로 임명하여 귀국(歸國)에 파견(派遣), 바라건대 성실히(誠實히) 서로 믿고 종우접대(接待)하기 바라며, 아울러 수시로(隨時로) 입관(關)하여 짐의 간절(懇切)하고 애틋한 마음을 대신(代身) 아뢸 것이다. - 개국(個國) 496년(年)(서기(西紀) 1887년(年)) 8월(月) 7일(日)
이에 클리블랜드는 다음과 같은 답사(踏査)를 했다.
"미합중국 정부(政府)는 양국(兩國)이 조약(條約)에 규정(規定)된 바와 같이 상호외교교섭관계(相互外交交涉關係)의 확립(確立)을 확인(確認)함으로써 양국(兩國)이 바라던 우호적(友好的) 교섭(交涉)을 하게 되어 크게 만족(滿足)하는 바입니다."

6. 가족(家族) [편집(編輯)]

  • 아내 프랜시스 폴섬 클리블랜드 (1864~1947)
  • 장녀(長女) 루스 클리블랜드 (1891~1904)
  • 차녀(次女) 에스터 클리블랜드 (1893~1980)
  • 3녀(女) 매리언 클리블랜드 (1895~1977) 출처(出處) 타계(他界)를 알리는 기사(記事)
  • 장남(長男) 리처드 폴섬 클리블랜드 (1897~1974) - 시기(時期)를 보면 알겠지만 아버지가 대통령(大統領)에서 물러난 지 7달 후(後)에 태어났다. 즉(卽) 남동생(男동생)과 마찬가지로 백악관(白堊館)에서 어린 시절(時節)을 보내지 않았다. [12] 커서는 아버지처럼 변호사(辯護士)로 활동(活動)했으며, 한동안은 아버지의 당(黨)이었던 민주당을 응원(應援)했으나, 말년(末年)에는 반대(反對)로 공화당을 응원(應援)했다고 한다.
  • 차남(次男) 프랜시스 그로버 클리블랜드 (1903~1995) - 이 쪽은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5년(年) 전(前)에 태어났다.
external/upload....
프랜시스 폴섬 클리블랜드. [13]

클리블랜드의 행적(行跡)에서 이색적(異色的)인 것 중(中) 하나는 아내와의 나이 차이(差異)가 무려(無慮) 27세(歲) 라는 점(點)이다.

둘이 처음 만난 것은 1864년(年) 프랜시스 폴섬이 처음 태어난 해. 클리블랜드와 프랜시스 폴섬의 아버지인 오스카 폴섬은 동료(同僚) 변호사(辯護士) 사이로 친밀(親密)한 사이였다. 클리블랜드는 프랜시스 폴섬이 태어나자 선물(膳物)로 유모차(乳母車) 를 선물(膳物)했다고 한다. 그런데 1875년(年) 프랜시스가 11세(歲)가 되던 해 오스카 폴섬이 마차(馬車) 사고(事故)로 사망(死亡)하자 클리블랜드는 직접(直接) 폴섬 가(街)의 재산(財産)을 관리(管理)하고 가족(家族)을 부양(扶養)해줬다. 그는 프랜시스를 어린 시절(時節)부터 '프랭크'라는 애칭(愛稱)으로 부르며 귀여워했고 프랜시스의 교육(敎育)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프랜시스도(度) 이 뚱뚱한 아저씨를 '클리브 아저씨(Uncle cleve)'라고 부르며 따랐다고 한다. 프랜시스가 대학(大學)에 들어가자 클리블랜드는 프랜시스의 어머니인 에마 폴섬에게 "따님과 계속(繼續) 연락(連絡)해도 될까요?" 라고 물었고, 그날 이후(以後) 프랜시스의 방(房)에는 클리블랜드가 보낸 꽃다발로 넘쳐 흘렀다나...

external/www.pre...

1885년(年) 대통령(大統領)에 당선(當選)된 클리블랜드는 48세(歲)였다. [14] 그런데 그가 이 때까지도 총각(總角)이었기에 영부인(令夫人) 역할(役割)은 여동생(女同生)인 로즈가 대신(代身)했다. 그러나 이 해에 프랜시스에게 청혼(請婚)하여 곧 이듬해 6월(月)에 백악관(白堊館)에서 결혼(結婚)했다. 미국(美國) 역사상(歷史上) 최연소(最年少) 영부인(令夫人)으로 뉴욕의 웰스 칼리지를 졸업(卒業)한 당시(當時) 나이는 만(滿) 21세(歲) . 당시(當時) 언론(言論)들은 대통령(大統領)이 결혼(結婚)한다는 정보(情報)를 입수(入手)한 후(後) 클리블랜드와 폴섬가(價)의 친분(親分)을 알고 있어서인지 "분명(分明) 폴섬 가문(家門)의 미망인(未亡人)인 에마 폴섬이 상대(相對)겠지." 라고 예상(豫想)했지만 정작 대통령(大統領) 결혼식(結婚式)날에 대통령(大統領)의 딸뻘 되는 아가씨가 나타난 것을 보고 당황(唐慌)했다고 한다.

젊은 프랜시스는 영부인(令夫人)이 된 후(後)에도 언론(言論)의 스포트라이트를 계속(繼續)해서 받았고 인기(人氣)와 평판(評判)도 나쁘진 않은 편(便)이었는데 한편(한便)으론 당돌(唐突)한 면(面)도 있었던 모양(模樣)이다. 한 일화(逸話)를 소개(紹介)하자면, 1888년(年) 벤저민 해리슨 에게 백악관(白堊館)을 내어 주었을 때 직원(職員)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가구(家口)와 장식(裝飾)들을 잘 관리(管理)해 주세요. 4년(年) 뒤에 다시 돌아올 테니까요 ."

또한 클리블랜드가 아내를 구타(毆打)한다는 정적(政敵)들의 모함(謀陷)에 대(對)해 직접(直接) 언론(言論)에 나서서 사실(事實)이 아니라고 해명(解明)하기도 했다. 이로써 프랜시스는 최연소(最年少) 영부인(令夫人)이라는 것 외(外)에 직접(直接) 언론(言論)에 나서 공식해명(公式解明)을 한 최초(最初)의 영부인(令夫人) 이라는 기록(記錄)도 세웠다.

나이차(差)가 많은 결혼(結婚)이었지만 부부(夫婦)의 결혼생활(結婚生活)은 행복(幸福)했던 모양(模樣)으로 2남(男) 3녀(女)의 자식(子息)을 두었다. 부부(夫婦)는 1897년(年) 두 번째(番째) 임기(任期)를 마친 후(後) 뉴저지의 프린스턴 에서 살았으며, 1908년(年) 클리블랜드가 세상(世上)을 떠나고, 6년(年) 뒤 프랜시스는 프린스턴 대학교(大學校) 교수(敎授) 토머스 J. 프레스턴 주니어와 재혼(再婚)했으며 [15] 1947년(年)까지 살았다. 프랜시스는 클리블랜드 사후(事後) 여성(女性)은 아직 참정권(參政權)을 획득(獲得)할 만큼 현명(賢明)하지 못하다 고 주장(主張)하며 여성(女性) 참정권(參政權) 운동(運動)을 반대(反對)하기도 했다. [16]
$1000 front
  • 1934년(年) 1천(千)달러 지폐(紙幣) 속 초상화(肖像畫)
  • 클리블랜드는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 관련(關聯)해서 세운 기네스북 기록(記錄)이 몇 있는데, 유일(唯一)하게 임기(任期)를 두 번(番)으로 나눠 수행(遂行)한 인물(人物)이었다는 점(點) 외(外)에 미국(美國) 역대(歷代) 대통령(大統領) 중(中) 두 번째(番째)로 뚱뚱했다 는 점(點)이 있다. 현역(現役) 시절(時節) 몸무게가 무려(無慮) 125kg에 이르렀다. 참고(參考)로 1위(位)는 175kg을 자랑하는 부동(不動)의 윌리엄 태프트 . 물론(勿論) 둘 다 말년(末年)때는 살이 많이 빠졌다. 한편(한便), 클리블랜드는 가장 처음 취임(就任)한 역대(歷代) 3번째(番째) 뚱보 대통령(大統領) 아서 에 이어 후임(後任)으로 취임(就任)한지라 당시(當時) 미국인(美國人)들은 뚱보 대통령(大統領)을 2연속(連續)으로 보게 됐다. [17]
  • 미국(美國)을 상징(象徵)하는 랜드마크인 자유(自由)의 여신상(女神像) 과도(過度) 악연(惡緣)이 있는데 클리블랜드가 뉴욕 주지사(州知事)로 재직(在職)하고 있을 때 프랑스에서 자유(自由)의 여신상(女神像)을 제작(製作)해 독립(獨立) 100주년(周年) 기념(記念) 선물(膳物)로 미국(美國)에 보내자 "그딴 시답잖은 일에 돈을 낭비(浪費)할 수 없다"고 동상(銅像) 조립(組立)을 막았다. 그 때문에 여신상(女神像)은 해체(解體)된 상태(狀態)로 상자(箱子)에 담겨 하염없이 항구(港口) 하역장(荷役場)에 방치(放置)되고 있다가 이 소식(消息)을 알게된 조지프 퓰리처 가 주도(主導)한 성금(誠金) 캠페인 덕분(德分)에 우여곡절(迂餘曲折) 끝에 완공(完工)될 수 있었는다. 그런데 동상(銅像)이 완공(完工)되고 대통령(大統領)까지 참석(參席)한 제막식(除幕式)이 열렸을 때 참 얄궂게도 제막식(除幕式)에 참석(參席)한 대통령(大統領)이 바로 클리블랜드였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大統領)이 [18] 어린 시절(時節), 그의 아버지와 함께 클리블랜드를 만난 일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FDR의 아버지는 클리블랜드에게 자신(自身)의 아들을 위해 덕담(德談)을 해 줄 것을 요청(要請)했는데, 이때 클리블랜드는 농반진반(弄半眞半) "얘야, 매일(每日) 밤 잠자리에 들기 전(前) 기도(祈禱)할 때 '하나님, 부디 절(節) 대통령(大統領)이 되지 않게 해주세요.'라고 하거라." 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정작 FDR은 미국(美國) 역사상(歷史上) 최장기(最長期) 집권(執權) 대통령(大統領)이 되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 청년(靑年) 시절(時節) 때에 한 친구(親舊)와의 대(對)한 일화(逸話)의 주인공(主人公)으로 나오기도 한다. 문중호 저/꿈을 키우는 교실(敎室) 밖 이야기 1 2 에도 나오는 일화의 내용(內容)은 청년시절(靑年時節) 가난하던 시절(時節)에 나쁜 친구(親舊)와 어울리다가 어느날 한 교회(敎會) 의 전단지(傳單紙)를 우연히(偶然히) 보게 되고, 문득 마음이 이끌려 교회(敎會)로 들어갔는데 목사(牧師)의 설교(說敎)를 듣고 회개(悔改)해 나쁜 친구(親舊)와 인연(因緣)을 끊고 독학(獨學)하여 감옥(監獄)에서 간수장(看守長)으로, 일하게 되었고, 또한 이후(以後) 놀랍게도 버펄로시(市)의 시장(市場)에 올랐고, 뉴저지주(뉴저지州)의 주지사(州知事) 되었다는 것. 그리고 이때 함께 어울리던 나쁜 친구(親舊)는 훗날(後날) 살인(殺人)을 저지르고 사형수(死刑囚)가 되었는데, 클리블랜드가 당선(當選)된 기사(記事)가 나온 신문(新聞)을 보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逸話).
  • 역사상(歷史上) 최고(最高)의 투수(投手) 중(中) 한 명(名)인 피트 알렉산더 의 본명(本名)인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가 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퇴임(退任) 및 사망(死亡) 후(後) 120여(餘) 년(年)이나 지난 2020년대(年代) 중반(中盤)에 갑자기 언론(言論)의 관심(關心)을 받게 되었다.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候補)에게 패(敗)해 재선(再選)에 실패(失敗)한 뒤 세 번째(番째) 대선인(對先人) 2024년(年) 선거(選擧)에 다시 도전(挑戰)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전(前) 대통령(大統領) 때문. 만약(萬若) 트럼프가 2024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승리(勝利)해 백악관(白堊館)에 재입성(再入城)한다면 미국(美國) 역사상(歷史上) 두 번째(番째) '징검다리 임기(任期)' 대통령(大統領)이 탄생(誕生)하게 된다. 클리블랜드의 첫 '징검다리 임기(任期)' 이후(以後) 재선(再選)에 실패(失敗)한 모든 대통령(大統領)들은 그대로 정계(政界)를 은퇴(隱退)했기에 두 번째(番째) 사례(事例)가 오래도록 나오지 않았는데, 트럼프가 이 오랜 관행(慣行)을 깨고 다시 대선(大選)에 도전(挑戰)하면서 관심(關心)이 집중(集中)되고 있다. 심지어(甚至於) 트럼프의 공화당 후보(候補) 경선(競選) 승리(勝利)와 대선(大選) 본선(本選) 승리(勝利)가 가능성(可能性) 높은 주요(主要) 시나리오 중(中) 하나로 꼽히면서 더욱 주목(注目)받고 있는 상황(狀況).

8. 선거(選擧) 이력(履歷) [편집(編輯)]

연도(鳶島)
선거(選擧) 종류(種類)
선거구(選擧區)
소속(所屬) 정당(政黨)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필요시(必要時) 선거인단(選擧人團))
당선(當選) 여부(與否)
비고(備考)
1881
미국(美國) 뉴욕주(뉴욕州) 버팔로 시장(市長) 선거(選擧)
15,120 (56.74%)
당선(當選) (1위(位))
초선(初選)
1882
미국(美國) 주지사(州知事) 선거(選擧)
535,318 (58.47%)
1884
4,874,621 (48.49%, 219명(名))
1888
5,534,488 (48.62% , 168명(名)) [19]
낙선(落選) (2위(位))
1892
5,551,883 (46.05%, 277명(名))
당선(當選) (1위(位))
재선(再選)

[1] 고도비만(高度肥滿) 이다. [2] 두 번째(番째) 임기(任期)에 도전(挑戰)하던 1892년(年) 선거(選擧) 캠페인 당시(當時) 연설(演說). [3] 이로 인(因)해 클리블랜드는 훗날(後날) 정계(政界) 진출(進出) 이후(以後) 무학(舞鶴) 으로 알려졌는데, 두 아카데미를 다닌 것을 감안(勘案)하면 최소(最少) 고졸(高卒) 정도(程度)는 되는 학력(學歷)이다. 그럼에도 두 아카데미를 졸업(卒業)했다는 증명서(證明書)가 없어 무학(舞鶴) 취급(取扱)을 받았다. 클리블랜드는 일생(一生) 동안 세 번(番)의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를 치르면서도 한 번(番)도 자신(自身)의 학력(學力)을 입증(立證)할 서류(書類)(졸업장(卒業狀) 등(等))를 제시(提示)하지 못했다. 다만 이 점(點)이 정치적(政治的) 약점(弱點)으로 작용(作用)하지는 않았는데, 19세기(世紀)까지 미국(美國) 정치권(政治權)에서는 유력(有力) 정치인(政治人)의 무학(舞鶴) 이력(履歷)이 저학력(低學歷)이 아닌 자수성가(自手成家) 의 증거(證據)로 인식(認識)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 번(番)의 대선(大選) 내내 상대(相對) 정당(政黨)인 공화당(共和黨) 인사(人士)들은 이를 꼬투리 잡지 않았다. [4] 미국(美國) 역사상(歷史上) '독학(獨學)'으로 학업(學業)을 마친 대통령(大統領) 중(中) 한 명(名)이다. [5] 이 사형(死刑) 집행(執行) 이력(履歷)으로 인(因)해 훗날(後날) 공화당(共和黨) 정적(政敵)들에게 '버팔로 시(市)의 교수형(絞首刑) 집행인(執行人)'이라는 별칭(別稱)으로 불렸다. [6] 공화당(共和黨)은 높은 관세(關稅)를 부과(賦課)하여 미국(美國)의 산업(産業)을 지키는 보호무역(保護貿易)을, 민주당(民主黨)은 관세(關稅)를 인하(引下)하고 국가(國家) 간(間) 교류(交流)를 촉진(促進)하는 자유무역(自由貿易)을 주장(主張)했다. [7] 양육비(養育費)를 지급(支給)받으며 자란 이 아이는 훗날(後날) 의사(醫師)가 되었다고 한다. [8] 클리블랜드 자신(自身)의 정치적(政治的) 본거지(本據地)인 뉴욕주(뉴욕州) 에서조차 단(單) 575표차(票差)(0.05%p차(差)) 로 승리(勝利)했다. [9] "Though the people support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should not support the people." [10] 앤드루 잭슨 의 창당(創黨) 당시(當時)만 해도 농민(農民) 등(等) 서민(庶民) 을 대변(代辯)하는 정당(政黨)이었고 이때문에 노예제(奴隸制) 를 옹호(擁護)한 적도 있었으나, 남북전쟁(南北戰爭)에서 북부(北部)가 승리(勝利)한 후(後) 남부(南部)의 지지(支持)를 얻긴 해도 북부(北部) 출신(出身) 친자본(親資本)가 인사(人士)들이 장악(掌握)한다. 클리블랜드도(度) 그 중(中) 하나. 이때 공화당과 민주당의 차이(差異)는 기껏 보호무역(保護貿易)과 자유무역(自由貿易) 논쟁(論爭) 정도(程度)였다. [11] 보빙사(報聘社) 일행(一行)이 처음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을 만난 건 전임(前任)이었던 체스터 A. 아서 시기(時期). [12] 반대(反對)로 장녀(長女) 루스는 아버지가 낙선(落選)했지만, 재선(再選)을 준비(準備)하던 시절(時節)(23대(代) 벤저민 해리슨 시절(時節))에 태어났다. 그나마 차녀(次女) 에스터와 3녀(女) 매리언이 아버지의 재선(再選) 시절(時節)에 태어났으며, 딸들 모두 백악관(白堊館)에서 살았던 건 같다. [13] 영문(英文) 성명(姓名)은 Frances Folsom Cleveland. 생몰년(生沒年)도는 1864년(年) 7월(月) 21일(日) ~ 1947년(年) 10월(月) 29일(日) . [14] 당시(當時) 기준(基準) 율리시스 그랜트 전(前) 대통령(大統領) 이후(以後) 간(間)만에 당선(當選)된 40대(代) 대통령(大統領)인 셈이다. 물론(勿論) 이전(以前)에 가필드가 있긴 했지만, 가필드는 임기(任期) 중(中) 사망(死亡). [15] 미(美) 대통령(大統領)의 미망인(未亡人)이 재혼(再婚)한 첫번째(番째) 사례기도(事例祈禱) 하다. 2번째(番째)는 재클린 케네디 . [16] 참고(參考)로 미국(美國)에서의 여성(女性) 참정권(參政權)은 소위(所謂) 진보(進步) 시대(時代)라 불린 19세기(世紀) 말(末)과 20세기(世紀) 초(初) 각(各) 주(州)에서 점진적(漸進的)으로 실현(實現)되다, 1920년(年) 미국(美國) 수정(修正) 헌법(憲法) 제(第)19조(條)의 통과(通過)로 전국(全國)으로 확대(擴大)되었다. [17] 클리블랜드와 태프트의 중간(中間)에 재임(在任)한 대통령(大統領)들 중(中) 윌리엄 매킨리 시어도어 루스벨트 도 비만(肥滿)에 속(屬)하기 때문에(다만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운동(運動)을 좋아했다는 일화(逸話)나 각종(各種) 기행(紀行)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單純)한 비만(肥滿)이 아닌 체지방(脂肪)과?근육량이 모두 평균(平均) 이상(以上)으로 많은 경우(境遇)로 보인다.) 중간(中間)의 벤저민 해리슨 을 제외(除外)하면 1881년(年)부터 1913년(年)까지 거의 뚱뚱보 대통령(大統領)들만 재임(在任)한 셈이다. [18] 같은 민주당 소속(所屬)이었으나 이 당시(當時)만 해도 민주당은 보수(保守) 성향(性向)이 강(剛)했기에 클리블랜드가 노동운동(勞動運動)에 비판적(批判的)이었던 것과 달리, FDR은 뉴딜정책(政策)으로 지금(只今)의 리버럴 성향(性向) 민주당을 만드는 초석(礎石)을 다진 인물(人物)로 평가(評價)받는다. [19] 득표율(得票率) 1위(位), 선거인단(選擧人團) 2위(位)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