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 나무위키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엠블럼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경상남도 휘장 경상남도(慶尙南道) 관내(管內) 종합병원(綜合病院)
[ 펼치기 · 접기 ]
경희의료원 교육협력(敎育協力) 중앙병원 (부도(不渡)로 운영(運營) 중단(中斷)) , 김해(金海)복음병원(病院), 갑을장유병원(甲乙張維病院), 조은금강병원, 강일병(姜一兵)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量産釜山大學校病院) , 베데스다병원(病院), 웅상(熊上)중앙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 진주(晋州)고려병원, 진주제일병원(晋州第一病院), 한일병원(病院)
성균관대학교 삼성(三星)창원병원 , 근로복지공단(勤勞福祉公團) 창원병원, 동마산병원(洞馬山病院), 에스엠지(地) 연세병원(病院), 연세(延世)에스병원(病院) , 창원(昌原)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 창원제일종합병원(昌原第一綜合病院), 창원(昌原)파티마병원 , 청아병원(淸雅病院), 한양대학교 교육협력(敎育協力) 창원(昌原)한마음병원(病院)
새통영병원(統營病院)
[ 펼치기 · 접기 ]
연번(連番)
권역(圈域)
개소(開所)수
응급의료기관(應急醫療機關)
1
서울서북(西北)
1
2
서울동북(東北)
2
3
서울서남(西南)
2
4
서울동남(東南)
2
5
부산(釜山)
3
6
대구(大邱)
2
7
인천(仁川)
3
8
광주(光州)
2
9
대전(大戰)
2
10
울산(蔚山)
1
11
경기서북(京畿西北)
2
12
경기동북(京畿東北)
1
13
경기서남(景氣西南)
3
14
경기동남(競技東南)
2
15
강원영동(江原嶺東)
1
16
강원춘천(講院春川)
1
17
원주충주(原州忠州)
1
18
충남천안(忠南天安)
2
19
충북청주(忠北淸州)
1
20
전북익산(全北益山)
1
21
전북전주(全北全州)
1
22
전남목포(全南木浦)
1
23
전(前)남순천
1
24
경북안동(慶北安東)
1
25
경북구미(慶北龜尾)
1
26
경북포항(慶北浦項)
1
27
경남창원(慶南昌原)
1
28
경남진주(慶南晉州)
1
29
제주(濟州)
1
29개(個) 권역(圈域)
44
* 닥터헬기 보유기관(保有機關)
[ 펼치기 · 접기 ]
연번(連番)
지역(地域)
기관명(機關名)
선정연도(選定鳶島)
지정일(指定日)
비고(備考)
1
‘12
‘14.2.21.
2
‘12
‘14.7.21.
3
‘12
‘14.11.13.
4
‘12
‘15.2.12.
5
‘13
‘15.9.17.
6
‘13
‘15.9.22.
7
(기선정(基選定)) ‘13
‘15.11.9.
8
‘13
15.11.24.
9
‘13
‘16.6.13.
10
‘15
‘17.12.28.
11
‘14
‘18.5.11.
12
‘14
‘18.7.16.
13
‘12
‘18.9.20.
14
‘15
‘19.10.31.
15
‘16
‘20.3.23.
16
기선정(基選定)
‘23.7.21.
17
‘17
‘23.12.29.
* 닥터헬기 보유기관(保有機關)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慶尙國立大學校病院
Gyeongsang National?University Hospital, GNUH
경상국립대학교병원 로고
국가(國家)
개원(開院)
주소(住所)
종류(種類)
병상(病床) 수(數)
893병상(病床) [1]
웹사이트
홈페이지 아이콘

1 . 개요(槪要) 2 . 본원(本願)
2.1 . 연혁(沿革) 2.2 . 홍보영상(弘報映像) 2.3 . 여담(餘談)
3 . 분원(分院)
3.1 . 창원(昌原)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3.2 . 경상남도마산의료원(慶尙南道馬山醫療院)(위탁운영(委託運營))
4 . 사건(事件) 사고(事故) 5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최상(最上)의 교육(敎育), 연구(硏究)와 진료(診療)를 통해 지역(地域)의 건강(健康)한 삶을 책임(責任)진다 [2]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은 '국립대학병원설치법(國立大學病院設置法)'에 의거(依據)한 대한민국(大韓民國) 교육부(敎育部) 산하(傘下) 기타공공기관(其他公共機關)으로 진주(晉州)와 창원(昌原)에 소재(所在)한 2개(個)의 병원(病院)과 위수탁(受託) 계약(契約)을 맺은 경상남도마산의료원(慶尙南道馬山醫療院)까지 3개(個)의 병원(病院)을 운영(運營)하는 특수법인(特殊法人)이다. 병원(病院)의 설립목적(設立目的)은 다른 국립대학병원(國立大學病院)과 동일(同一)한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에 의거(依據)해 의학(醫學)에 관(關)한 교육(敎育) 및 연구(硏究) 진료(診療)를 통하여 의학발전(醫學發展)을 도모(圖謀)하고, 국민보건(國民保健) 향상(向上)에 기여(寄與)함으로 경상국립대학교(學校) 의과대학(醫科大學) 의 교육연구(敎育硏究) 및 임상병원(臨床病院)의 역할(役割)을 하고 있다고 보면된다. 교육부(敎育部) 산하(傘下) 공무원(公務員) 조직(組織)으로서 국립대(國立大)인 경상국립대학교(學校) 와 분리(分離)된 법인(法人)이지만 경상국립대학교(學校) 총장(總長)이 당연직(當然職) 이사장(理事長)으로서 보임(補任)되기에 법인(法人)으로서의 운영(運營)의 자율성(自律性)을 위해서 별도(別途)로 분리(分離)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2. 본원(本願) [편집(編輯)]

external/www.gnn...
▲ 경상남도(慶尙南道) 진주시 칠암동에 위치(位置)한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경상남도(慶尙南道) 진주시(晋州市) 강남(江南)로 79 ( 칠암동 )에 위치(位置)한 경상남도(慶尙南道) 최대(最大) 규모(規模)의 의료기관(醫療機關)으로 일반적(一般的)으로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은 이곳을 가리킨다. 경상국립대학교(學校) 병원장(病院長)은 적법(適法)한 절차(節次)를 거쳐서 이사회(理事會)를 통해 선임(選任)되며 병원장(病院長)은 분원인(分院人) 창원(昌原)경상국립대병원장(病院長)의 인사권(人事權)까지 가지기에 분원(分院)을 포괄(包括)하는 법적(法的)인 소재지(所在地)이기도 하다.

서부경남권(西部慶南圈)의 유일(唯一) [3] 상급종합병원(上級綜合病院) 으로 2023년(年) 7월(月) 현재(現在) 880병상(病床) 규모(規模)이며, 경남지역(慶南地域) 암(癌)센터를 비롯한 각종(各種) 전문(專門)센터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4]

2.1. 연혁(沿革) [편집(編輯)]

1981년(年) 경상국립대학교(學校) 의예과(醫豫科) 가 신설(新設)되면서 병원(病院) 건립(建立)이 추진(推進)되었고 1회(回) 졸업생(卒業生)이 배출(排出)되기 직전(直前)인 1987년(年) 개원(開院)하였다. 원래(元來)는 경상국립대학교(學校) 의과대학(醫科大學) 부속병원(附屬病院)이였으나 법(法)으로 인해 1995년(年) 10월(月) 현재(現在)의 특수법인(特殊法人)으로 전환(轉換)되었다. 개원(開院) 당시(當時)에는 400병상급(病床級)의 2차(次) 의료(醫療) 기관(機關)이었으나 1996년(年) 응급(應急) 의료(醫療)센터를, 2007년(年) 암(癌)센터를 개소(開所)하면서 세 개(個)의 독립(獨立) 건물(建物) 규모(規模)로 증축(增築)되었다.

2.2. 홍보영상(弘報映像) [편집(編輯)]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공식(公式) 홍보영상(弘報映像)

2.3. 여담(餘談) [편집(編輯)]

  • 병원부지(病院敷地)가 굉장히(宏壯히) 넓다. 병원(病院)이 있는 의과대학(醫科大學) 캠퍼스가 경상국립대학교(學校)의 전신(前身)인 진주농과대학(晋州農科大學) 캠퍼스였기 때문이다. [5] 가좌동(加佐洞)의 새 캠퍼스로 옮긴 이후(以後) 한 동안 의대(醫大), 간호대(看護隊) 이외(以外)에도 사범대(師範大)가 남아 있었고 사범대학교(師範大學校) 부설중학교(附設中學校)와 부설고등학교(附設高等學校) 는 2000년대(年代) 초반(初盤)까지 칠암동에 있다가 가좌동(加佐洞)으로 이전(移轉)했다.
  • 현재(現在)는 이전(移轉)된 사범대(師範大) 부설고등학교(附設高等學校) 운동장(運動場)을 주차장(駐車場)으로, 부설(附設) 중학교(中學校) 건물(建物)을 도서관(圖書館)으로 사용(使用)하는 중(中)인데 확장(擴張)하려고 하면 2,000병상(病床)까지도 확장(擴張)이 가능(可能)할 것이라고 한다. 물론(勿論) 진주(晉州)와 그 인근(隣近)의 인구(人口)를 감안(勘案)하면 어려운 일이고, 창원(昌原)에 창원(昌原)경상국립대병원(病院)이 개원(開院)했으니 경상국립대병원(病院) 본원(本院)을 더 확장(擴張)할 가능성(可能性)은 낮은 편(便)으로 보고 있다.
  • 상대적(相對的)으로 낙후(落後)된 지역(地域)인 서부경남(西部慶南)의 의료(醫療) 중심지(中心地) 역할(役割)을 잘 하고 있으며 칠암동 일대(一帶)는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을 중심(中心)으로 수많은 종합병원(綜合病院) 들이 모여 있어 서부경남(西部慶南) 전체(全體)의 의료(醫療) 중심지(中心地) 역할(役割)도 하고 있다.

3. 분원(分院) [편집(編輯)]

2016년(年) 개원(開院)한 경상국립대학교(學校) 병원(病院)의 분원(分院)으로 700병상(病床) 규모(規模)의 대형종합병원(大型綜合病院)이다.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창원(昌原)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3.2. 경상남도마산의료원(慶尙南道馬山醫療院)(위탁운영(委託運營)) [편집(編輯)]

img 201611011340...
▲ 경남(慶南) 창원시(昌原市) 마산합포구(馬山合浦區)에 위치(位置)한 경상남도마산의료원(慶尙南道馬山醫療院)

경상남도(慶尙南道) 도립병원(道立病院)으로 1914년(年) 진주(晋州) 자혜병원(慈惠病院) 마산(馬山)분원으로 개원(開院)한 이후(以後) 1919년(年) 도립(道立) 마산병원(馬山病院)으로 바뀌었다. 이후(以後) 발전(發展)을 거듭해 1975년(年) 마산의료원(馬山醫療院)으로 승격(昇格)되었으며 1983년(年) 도립(道立)에서 지방공사(地方公社)로 법적성격(法的性格)이 변경(變更)되었다.

그러나, 독립채산제(獨立採算制)로 변경(變更)한 이후(以後) 공공병원(公共病院)으로서의 당연(當然)한 재정악화(財政惡化)와 이에 따른 노사(勞使) 분규(紛糾)로 인해 1996년(年) 1월(月) 의료원(醫療院)의 의사(醫師) 전원(全員)이 사직(辭職)하는 바람에 결국(結局) 2월(月) 1일(日) 병원(病院)은 휴업(休業)되었다. 결국(結局) 문제해결(問題解決)을 위해 같은 해 11월(月) 경상대학교병원(病院) 측(側)과 위(位)·수탁(受託) 운영(運營) 협약(協約)을 체결(締結)하였고 다음해인 1997년(年) 4월(月) 14일(日)에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이 운영(運營)하는 병원(病院)으로 재개원했다.

이후(以後) 2006년(年) 9월(月)에 '지방(地方) 의료원(醫療院)의 설립(設立) 및 운영(運營)에 관(關)한 법률(法律)'에 의(依)해 현재(現在)의 명칭(名稱)인 '경상남도마산의료원(慶尙南道馬山醫療院)’으로 명칭(名稱)이 변경(變更)되었다.

현재(現在)의 병원(病院)은 기존(旣存) 부지(敷地)에 롯데물산(物産)이 기부채납(寄附採納)한 마산(馬山)크리스탈호텔 부지(敷地)에 인접(隣接)한 주택(住宅)을 매입(買入)해서 8,600평(坪) 부지(敷地)에 700억(億) 규모(規模)(국고(國庫) 50%)로 지하(地下) 2층(層), 지상(地上) 6층(層) 규모(規模)로 2016년(年) 신축(新築)되었다. 현창원지역(地域)에서 가장 고령자(高齡者) 인구비율(人口比率)이 높은 마산지역(馬山地域)의 공공의료기관(公共醫療機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진주의료원(晋州醫療院)이 폐원(廢園) 된 후(後) 유일(唯一)한 경상남도(慶尙南道) 산하(傘下) 공공병원(公共病院)이기도 하다.

현재(現在) 298병상(病床) [6] 운영(運營)하고 있으며,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과 창원(昌原)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과 함께 전공(專攻)의 수련병원(修鍊病院)으로 지정(指定)되어 있다.

주소(住所)는 경남(慶南) 창원시(昌原市) 마산합포구(馬山合浦區) 3·15대(臺)로 231 마산의료원(馬山醫療院). 창원시로 통합(統合)된지 10년(年) 이상(以上) 지났는데 창원의료원(昌原醫療院)으로 바꾸지 않고 마산의료원(馬山醫療院)으로 이름을 유지(維持)하고 있다.

4. 사건(事件) 사고(事故) [편집(編輯)]

5.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83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83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健康保險審査評價院) 2021.06. 입원병실(入院病室) 기준(基準) [2] 경상국립대학교병원(學校病院) 홈페이지에서 소개(紹介)하는 공식(公式) 미션이다. [3] 경남(慶南) 전체(全體)로 치면 양산부산대학교병원(量産釜山大學校病院)까지 2곳이 지정(指定)되어 있다. 단(單), 양산부산대병원(量産釜山大病院)은 경남(慶南)이라기보다는 부산권역(釜山圈域)에 가깝다고 보는게 타당(妥當)하다. 경남(慶南)은 부산(釜山)-울산(蔚山)과 권역(圈域)이 묶이기 때문에 경쟁(競爭)이 치열(熾烈)한 편(便)이다. 2020년(年) 12월(月)에 삼성(三星)창원병원이 상급종합병원(上級綜合病院)으로 지정(指定)되면서 경남(慶南)에 위치(位置)한 상급종합병원(上級綜合病院)은 3곳이 되었다. [4] 하지만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昌原輕傷國立大學校病院)이 미래(未來)에 1,200병상(病床)까지 확장(擴張)할 계획(計劃)이기 때문에 최대(最大) 타이틀은 창원(昌原)경상국립대학교(學校) 병원(病院)에 내어줄 가능성(可能性)이 높다. [5] 유사(類似) 사례(事例)로 대구(大邱) 영남대학교병원(病院) 이 있다. 영대병원(領帶病院) 부지(敷地)도 넓은 편(便)인데 현재(現在) 영대병원(領帶病院)과 영남대(嶺南大) 의과대학(醫科大學) 캠퍼스가 있는 곳은 영남대학교 경산시(慶山市) 로 이전(移轉)하기 전(前)에 영남대가 있었던 자리이기 때문이다.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健康保險審査評價院) 2021.06. 입원병실(入院病室) 기준(基準)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