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거위 - 나무위키

거위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기생충(寄生蟲)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회충(蛔蟲)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라이브온 카드리버의 거위 몬스터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거위(라이브온)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거위 (게사니, 때까우)
鵝 | Domestic goose
domestic goose
Anser anser domesticus
Anser cygnoides domesticus

Linnaeus , 1758
분류(分類)
기러기목(기러기目) Anseriformes
오리과(科) Anatidae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A. anser
개리 A. cygnoides 등등(等等)
유럽거위 A. a. domesticus
중국(中國)거위 A. c. domesticus
1 . 개요(槪要) 2 . 특징(特徵)
2.1 . 배타성(排他性) 2.2 . 얻을 수 있는 산물(産物)
2.2.1 . 거위털
3 . 천적(天敵) 4 .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5 . 여담(餘談)
5.1 . 창작물(創作物)


1. 개요(槪要) [편집(編輯)]

/ goose(복수형(複數型) geese) [1]

서양거위
▲서양(西洋)거위의 야생종인(野生種人)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기러기 오리 과의 여러가지 조류(鳥類) 들을 통칭(統稱)해서 부르는 말. 좁은 의미(意味)로는 참기러기 (True geese)라 불리는 기러기속(Anser)과 흑기러기(黑기러기)속(Branta) 2가지 속의 새들만을 뜻한다. 참고(參考)로 흑기러기(黑기러기)속 중(中) 가장 유명(有名)한 새가 캐나다구스.

옛사람들이 개리 ( Anser cygnoides )와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 Anser anser )를 잡아다 길러내 식용(食用)으로 개량(改良)했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인류(人類) 최초(最初)의 조류(鳥類) 품종(品種) 개량(改良) 사례(事例)다. 동양(東洋)의 재래(在來) 거위는 개리를 길들인 것이고, 서양(西洋)의 거위는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를 길들인 것인데, 얼핏 보기에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동양(東洋) 거위는 야생종(野生種) 개리와 마찬가지로 부리 상단(上段)에 혹이 있다.

2. 특징(特徵) [편집(編輯)]

몸집은 오리보다 월등히(越等히) 크다. 대형종(大型種)에 속(屬)한 오리라 해도 거위에게는 미치지 못한다. 다만 고니 보다는 확연히(確然히) 작다. 몸집이 크고 무거워서 비행능력(飛行能力)은 많이 떨어진다. 그래도 20~30m 정도(程度)의 짧은 거리(距離)는 날 수 있다.

조류(鳥類)라서 수명(壽命)이 길다. 수명(壽命)은 20년(年) 정도(程度)지만 경우(境遇)에 따라 30년(年) 넘게 살기도 한다. 면역력(免疫力)이 매우 강(剛)해서 조류(鳥類) 인플루엔자 정도(程度)를 제외(除外)하면 쉽게 감염(感染)되지 않는다. 때문에 프랑스, 독일(獨逸), 폴란드, 러시아 등(等) 여러 국가(國家)에서 식용(食用) 가금류(家禽類) 로 많이 키웠다.

거위의 부리와 혀를 자세(仔細)히 보면 마치 이빨같이 날카로운 돌기(突起) 가 나 있지만 빨랫집게와 비슷한 구조(構造)이고 교합력(咬合力) 도 약(弱)해서 사람의 살을 물어뜯지는 못한다. 그래도 부리가 단단하기 때문에 물리면 꽤 아프다.

주로(主로) 수생식물(水生植物)과 풀, 곡물(穀物)을 먹으며, 간혹(間或) 곤충(昆蟲)이나 물고기, 개구리 등(等) 작은 동물(動物)도 먹는다. 여타(餘他) 조류(潮流)들 처럼 소화(消化)를 위해 작은 돌 따위를 집어삼킨다.

2.1. 배타성(排他性) [편집(編輯)]

거위주의
▲이(李) 문(門)으로 나갈 시(時) 거위가 공격(攻擊)하니 다른 문(門)을 사용(使用)하시오. [2]

거위는 지능(知能)이 높은 동물(動物)로 배타성(排他性)이 강(强)해 주인(主人)을 잘 따르고 밤에 자다가도 낯선 사람이 오는 기척이 느껴지면 깨서 울거나 날개를 활짝 펴고 다가가서 위협(威脅)한다. 그래서 옛날부터 과거(過去) 동서양(東西洋)을 막론(莫論)하고 번견(番犬) 대용(代用)으로 거위를 자주 길렀다. 이 때문에 과거(過去) 로마군(軍) 기록(記錄)이나 그림 동화(童話) 등(等)을 보면 거위 사육(飼育) 장면(場面)도 흔히 나온다. 특히(特히) 기원전(紀元前) 390년(年) 의 알리아 전투(戰鬪)에서, 신전(神殿)에서 키우던 거위들이 갈리아 인(人)의 침입(侵入)을 울음소리로 알려서 기습(奇襲)에 대처(對處)할 수 있었다. [3] 국내(國內)에서도 집을 지키는 용도(用途)로 쓰였다. 화가(畫家) 김점선이 지은 책(冊) <10cm 예술(藝術)>에 따르면 개성(開城) 지방(地方)에서도 개(個) 대신(代身) 많이 키웠다고 한다. 또한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 인(人) 발렌타인(Ballantine's) 의 숙성(熟成)고는 2012년(年)까지 거위떼를 동원(動員)해 지켰다고 한다. 현재(現在)도 브라질 교도소(矯導所)에서 번조(番組)로 사용중(使用中)이다. # 경비견(警備犬)보다 유지비(維持費)가 싸다는 장점(長點) 때문이다.

집 지키는 거위와 마주치면 꺼우 꺼우 하는 상상(想像) 이상(以上)으로 큰 울음소리를 내며 몹시 경계(警戒)해서 상당히(相當히) 무섭다. 특히(特히) 어린 아이들이 겁(怯)을 먹고 울음 터뜨리기 딱 좋은 포스를 자랑한다. 게다가 소리로만 위협(威脅)하는 게 아니라 가까이 접근(接近)하면 먼저 다가와 공격(攻擊)하는데, [4] 물리면 꽤 아프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부리로 찝는 거 말고는 별다른 대미지를 입히지 못한다. 부리가 뾰족하거나 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아프기야 하지만 개 같은 동물(動物)에 물리는 것처럼 다칠 일은 없다. 그래서 사람에게 부상(負傷)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심리적(心理的)으로 겁(怯)을 먹게 만들어 쫓아낼 수 있다는 큰 장점(長點)을 가지고 있기에 거위가 집 지키는 용도(用途)로 이용(利用)되는 것이다. 다만 부상(負傷)을 입히진(眞) 못해도 사람을 기습(奇襲)해서 넘어뜨릴 수는 있어서 유아(幼兒)나 노인(老人)의 경우(境遇) 거위의 공격(攻擊)이 원인(原因)이 되어 땅에 넘어져 피부(皮膚)에 상처(傷處)가 나거나 골절(骨折) 상(賞)을 입는 2차(次) 피해(被害)를 입기 쉬우므로 주의(注意)가 필요(必要)하다. 그리고 골다공증(骨多孔症) 환자(患者) 및 골절상(骨折傷)을 입어 깁스를 한 사람 그리고 한쪽 다리가 마비(痲痹)되거나 절단(切斷)되어 목발(木발) 에 의존(依存)하는 사람과 편마비(偏痲痹) 때문에 지팡이 에 의존(依存)하는 사람에게도 거위의 공격(攻擊)으로 인한 2차(次) 피해(被害)는 매우 치명적(致命的)이다. 거위의 위험성(危險性)은 개(個)와 달리 물기(물氣) 공격(攻擊) 그 자체(自體)보다는 물기(물氣) 공격(攻擊)이 원인(原因)이 되는 2차(次) 피해(被害)에 있는 셈이다.

MGSS8456456
낮선이(墡膩)를 쫒아내고 주인(主人)을 반기는 거위

배타성(排他性)이 높다는 것은 높은 경계심(警戒心)에 비례(比例)하여 자기(自己) 무리의 동물(動物)들 즉(卽) 주인(主人)이나 같은 무리의 거위들에게는 매우 살갑게 대(對)하며, 주인(主人)에게 애교(愛嬌) 부리는 거위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때문에 단순히(單純히) 경비(警備)용이 아니라 애완용(愛玩用)으로 키우는 경우(境遇)도 있다. [5] 애완조(愛玩鳥)로 키우면 주인(主人)을 알아보며, 목줄을 매달면 산책(散策)도 가능(可能)한데 지나가는 모든 것에 시비(是非)를 걸기 때문에 [6] 산책(散策)길이 사람이 없는 한적(閑寂)한 시골길이 아니라면 그닥 추천(推薦)하지 않는다. 할머니 보디가드 거위 4총사 오리들과 함께 기르면 대장(大將) 노릇을 하기도 한다고. 실제로(實際로) KAIST 에서 교내(校內)에 있는 연못(蓮못)에서 거위와 오리를 함께 키우는데, 평소(平素)에도 같이 다니고 잘 때도 같이 무리를 이루고 자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거위가 대장(大將)인데 연못(蓮못) 이름은 오리연못(蓮못) KAIST 교내(校內)에는 너구리도 자주 출몰(出沒)하고 고양이들도 많이 살고 있는데, 아마도 거위들이 오리들을 지켜주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의 일감호(號)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새들이 다 그렇듯 아침이 되면 닭처럼 크게 운다.

2.2. 얻을 수 있는 산물(産物) [편집(編輯)]

거위는 주로(主로) 알과 고기, 깃털을 위해 사육(飼育)된다. 거위를 활용(活用)한 요리(料理)에서 가장 유명(有名)한 것은 역시(亦是) 거위의 간(肝)으로 만든 푸아그라 이다. 거위의 사육비(飼育費)가 비싸게 드는 만큼 오리 를 대용(代用)으로 쓰기도 한다. 다만 만드는 방법(方法)이 영 좋진 않은데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해당(該當) 문서(文書) 참고(參考).

푸아그라 에 가려서 그렇지 거위의 고기도 상당(相當)한 별미(別味)다. 동서양(東西洋) 구분(區分) 없이 거위는 고급(高級) 식재료(食材料)로 각광(脚光) 받았다. 가까운 나라인 중국(中國)만 해도 거위 요리(料理) 종류(種類)가 제법 있을 정도(程度). 중국(中國)에서 가금류(家禽類) 고기의 서열(序列)이 거위>비둘기>오리>닭 순(巡)으로 메겨지는 만큼 거위고기에 대(對)한 선호도(選好度)가 높다. 거위 요리(料理) 중(中)에서 광동(廣東) 요리(料理) 인(人) 거위구이가 유명(有名)한데 갓 나온 거위구이를 따끈한 밥과 먹으면 일품(一品)이라고 한다. 북부(北部) 지역(地域)도 옛날부터 거위 요리(料理)가 유명(有名)했으며, 거란족 여진족(女眞族) 등(等) 북방(北方)의 유목민(遊牧民) 이나 수렵채집인(狩獵採集人) 등(等)도 거위를 사냥하여 잡아먹기도 해서 거위 요리(料理)가 발달(發達)되었다고 한다.

북한(北韓) 에서는 거위를 '게사니'라고 부르는데, 보양식(保養食)으로 인기(人氣)가 있다. 실제(實際), 북한(北韓)의 고급(高級) 식당(食堂)에는 게사니 구이, 찜 등(等)과 같은 요리(料理)가 꼭 메뉴에 올라 있다. 정확히(正確히)는 '게사니'를 많이 쓰는데 '거위'가 복수(複數) 표준어(標準語)다.

거위 중(中)에서 대형종(大型種)의 경우(境遇) 웬만한 대형(大型) 칠면조(七面鳥) 만큼 고기가 나온다. 하지만 가격(價格)은 칠면조(七面鳥)보다 비싸며 시중(市中)에 흔치 않다. 당연(當然)하지만 거위의 알도(알道) 식용(食用)할 수 있다. 풍미(風靡)는 계란(鷄卵)과 비슷하지만 흰자와 노른자 모두 계란(鷄卵)보다 점성(粘性)이 훨씬 높다. 조리(調理)하기 전(前)에는 슬라임마냥 끈적거리는 수준(水準). 완숙(完熟)으로 삶으면 흰자는 탄력(彈力)이 높아서 구운 계란(鷄卵)과 비슷한 식감(食感)이 되며, 노른자는 달걀보다 퍽퍽해서 목이 많이 막힌다. 미디엄 웰던 정도(程度)의 반숙(半熟)으로 삶으면 아스스한 식감(食感)이 예술적(藝術的)이고 달걀이나 오리알보다도 확실히(確實히) 고급스러운 맛을 볼 수 있다.

2.2.1. 거위털 [편집(編輯)]

오리처럼 털이 겨울철 의류(衣類)의 충전재(充塡材)로 널리 쓰인다. 오리의 털보다 잔털이 풍부(豐富)해서 같은 부피에서 더 가볍고 보온성(保溫性)도 뛰어나서 좀 더 비싸다. 거위 털은 깃대(旗대)가 달린 깃털도 함께 쓰지만 보온성(保溫性)의 주인공(主人公)은 Down이라고 부르는 속털이다. 오리털은 덕(德)다운, 거위털은 구즈다운 혹은(或은) 구스다운이라고 부르며, 아래쪽을 뜻하는 Down과는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다. 이 털은 물에 잠기는 부위(部位)에서만 나며, 물에 젖지 않고 부드럽고 매우 가벼운 특성(特性)이 있다.

깃털이 엄청 풍성(豐盛)하고 따뜻해서 패딩 재료(材料)로 많이 사용(使用)된다. 패딩 브랜드에 '구스'라고 쓰여 있다면 100% 거위털 패딩이라는 속설(俗說)이 있지만 캐나다 구스 와 같이 오리털 패딩을 주류(主流)로 판매(販賣)하면서도 '구스'라는 브랜드 명(名)을 가진 경우(境遇)도 흔하다.

3. 천적(天敵) [편집(編輯)]

이나 오리 보다는 적지만 그래도 천적(天敵)은 있다. 멧돼지 , 라쿤 , 불곰 [7] , 개과(個科) [8] , 고양이과 [9] , 맹금류(猛禽類) [10] , 악어(鰐魚) , 대형(大型) 등(等)이 천적(天敵)이다.

4.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편집(編輯)]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거위
(거위 아)
goose
가쵸-
ガチョウ??鳥
으어
( e )
키나아
Χ?να
칸제(第)
Ganzen
간스
gans
구시
гусь
그스카
gasc?
구(舊)스카
гуска
Ganso
기(基)
ge
가트
gate
우스카
гуска
오카
Oca
카스
Kaz
가즈
???
Ganso
겐시(詩)
g??
Oie
칸히
hanhi

5. 여담(餘談) [편집(編輯)]

  • 서양(西洋)에서 자주 기르던 가축(家畜)이기 때문에 서양(西洋) 문화권(文化圈) 곳곳에 밀접(密接)하게 연관(聯關)이 있다. 그래서 거위 인형(人形) 등(等) 생활(生活) 속에 거위를 모티브로 한 제품(製品)이 많다.
  • 울음소리가 포효(咆哮) 수준(水準)으로 굉장히(宏壯히) 큰데다 24시간(時間) 내내 꺼우꺼우 거리며 울어대기 때문에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共同住宅) 에서는 키우기가 거의 불가능(不可能)하다.
  • 캐나다 미국(美國) 에서 특히(特히) 자주 볼 수 있는 머리가 시꺼멓고 덩치 큰 거위들에 대(對)해서는 캐나다기러기 항목(項目)을 참조(參照)할 것. 흔히 "캐나다 거위"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가축화(家畜化)된 거위와는 전혀(全혀) 무관(無關)한 종(種)으로 이름 같지 기러기에 가깝다.
  • 거위처럼 키가 크고 목이 긴 사람을 '거위영장'이라고 한다.
  • 중국(中國) 동진(東晉) 시대(時代)의 중국(中國) 동진(東晉) 시대(時代)의 명필(名筆) 왕희지(王羲之) 는 거위 매니아였다. 즐겨 먹었다는 뜻이 아니라, 거위를 기르고 우는 소리를 좋아했다. 좋은 거위가 있다면 어디든지 찾아갔을 정도(程度)(...) 그래서 왕희지(王羲之)와 거위에 관련(關聯)된 에피소(蘇)들이 많다. 잘생긴 거위 한마리를 사기 위해 도덕경(道德經) 한권(卷)을 필사(筆寫)해서 줬다는 일화(逸話)도 있고, 어느 날 왕희지(王羲之)는 어떤 집에 목청 좋은 거위가 있다는 소식(消息)을 듣고 울음소리를 들으러 그 집에 갔는데, 거위 우는 소리가 들리지 않자 "왜 거위가 안 울죠?" 라고 물었더니 주인(主人) 왈(曰) "명필(名筆)께서 오셨는데 대접(待接)할 게 없어서 거위를 잡아서 요리(料理)를 했습니다." 그 얘기를 들은 왕희지(王羲之)는 놀라서 사색(死色)이 되었다나.
  • 금나라(金나라)의 황제(皇帝) 해릉(陵)양왕 은 거위 고기를 좋아했는데, 문제(問題)는 시(時)도 때도 없이 거위 고기를 찾다보니 나중에는?거위 가격(價格)이 크게 올라 신하(臣下)들이 황제(皇帝)에게 바칠 거위를 구(救)하러 고작 거위 1마리를 사는데 수(數)만 전(錢)을 들였으며, 또는 소 1마리를 끌고 가서 거위 1마리와 바꿔 오는 웃지 못할 일까지 일어났다. 물론(勿論) 거위를 구(求)하지 못하면 사형(死刑)이었다.
  • 각인(刻印) 현상(現象)을 발견(發見)한 오스트리아 의 동물행동학자(動物行動學者) 콘라트 로렌츠 가 연구(硏究)한 새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정확히(正確히)는 가축(家畜) 거위가 아니라 회색기러기(灰色기러기) (Greylag Goose, Anser anser )를 연구(硏究)한 것. 서양(西洋) 거위의 야생(野生) 원종(元宗)이긴 하지만 가축(家畜) 거위는 아니다.
  • KAIST 의 상징(象徵)으로 유명(有名)하다. 본원(本願) 오리 연못(蓮못)에 서식(棲息)하고 있다.
  • 옛 한글에서 거위(ㄱㅓㅿ위(位))는 회충(蛔蟲)이나 지렁이 를 뜻하고 조류(鳥類) 거위는 거유(巨儒)라고 발음(發音)하였다.
  • 2020년(年) 3월초(月初) 유튜버들이 개발자(開發者) 샘 치에트가 만든 "desktop goose" 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켠 채로 영상(映像)을 찍어 화제(話題)가 되는 중(中)이다. 거위 바이러스, 거위 랜섬웨어 등(等)으로 이름 붙였다. 마우스를 물어가거나 메모장(帳)을 꺼내서 말을 걸거나 발자국을 남기거나 사진(寫眞)을 물어오는 등(等) 바탕화면(畵面)을 혼돈(混沌)의 도가니로 만들어, 유저(유저)가 패닉에 빠지는 게 다반사(茶飯事). 배틀그라운드 플레이를 할 경우(境遇) 거위 발소리가 사람 발소리와 비슷해서 굉장히(宏壯히) 방해(妨害)가 된다. 그래도 귀여운 모습과 반전매력(反轉魅力)으로 힐링이 되기도 한다. 이 곳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거위의 발과 비슷한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물(構造物)을 거위발 (pes anserinus)라고 부른다.
  • MLB 에선 0점(點)을 거위알(Goose Egg)로 표현(表現)한다. 0의 모양(模樣)이 거위알 같이 보이기 때문인 듯. 양(兩)팀이 득점(得點) 없이 0의 행진(行進)이 계속(繼續)되어 전광판(電光板)에 0점(點)이 잔뜩 표시(標示)될 때 거위알이 나란히 늘어선 것처럼 보인다.
  • 미국(美國) 에서는 고속도로(高速道路) 에서 거위 가족(家族)들이 지나감으로써 교통체증(交通滯症)을 야기(惹起)하자 경찰(警察)들이 그를 호위(護衛)하는 장면(場面)이 화제(話題)가 됐다. #

5.1. 창작물(創作物) [편집(編輯)]

  • 작은 돌을 삼키는 습성(習性) 때문인지 보석(寶石)을 삼킨 거위의 배를 가르려는 주인(主人)과, 이를 말리는 사람 [11] 의 이야기가 동서양(東西洋)에 제법 퍼져있다. 동양권(東洋圈)의 설화(說話)는 물론(勿論) 셜록 홈즈 까지... 어차피(於此彼) 똥으로 나올 텐데 알 낳는 거위를 죽여서 뭐 하느냐며 주인(主人)을 말려서 해피엔딩. 혹은(或은) 보석(寶石)을 훔친 도둑으로 몰렸는데 거위가 죽임을 당(當)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참고 말하지 않았다가 이튿날 거위가 똥으로 배설(排設)한 뒤에 알려주었다고. 어떤 버전에서는 진주(晋州) 로 나온다. 하지만 사실(事實) 실제로(實際로) 이렇게 보석(寶石)을 삼킨다면 보석(寶石)은 위장(胃腸)을 거치는게 아니라 모래주머니에 머물기 때문에 대변(大便)으로 배출(排出)되기 힘들 뿐더러 지나간다 하더라도 석회질(石灰質)로 만들어진 진주(眞珠)가 위장(僞裝) 지나가면... 다른 버전으로는 거위가 보석(寶石)을 삼키자 지나가던 스님 이 같은 행위(行爲)로 살리려 하지만 결국(結局) 거위는 죽는 것도 있다. 프렌즈 에서 조이가 키우는 오리도 로스의 반지(半指) 를 먹은 전력(前歷)이 있으며 귀귀 허황(虛荒) 낚시신공(神功) 의 초창기(草創期) 때 이 사건(事件)을 인용(引用)하면서 사용(使用)하려고 했으나 실패(失敗)했다. 셜록 홈즈 시리즈 의 단편중(短篇中) 하나인 푸른 카벙클 도 거위 뱃속에 들어가 있던 보석(保釋)에 얽힌 이야기다.
  • 호주(濠洲)의 게임 개발사(開發社) House House에서 거위 입장(立場)에서 인간(人間)들을 괴롭히는(...) 게임인 Untitled Goose Game 을 발매(發賣)했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를 패러디한 인디 게임 마이티 구스에 나오는 주인공(主人公)인 구스는 당연히(當然히) 거위이다. 라이벌이자 마지막으로 합류(合流)한 동료(同僚)인 까마귀의 경우(境遇) 주인공(主人公) 구스를 뚱땡이라고 놀린다.
  • 쿵푸팬더 시리즈 역시(亦是) 거위이다. 그 외(外)에도 작중(作中)에 나오는 마을 주민(住民)들 대부분(大部分)이 거위, 오리, 토끼, 돼지, 양(羊), 영양(營養) 등(等)이다.
[1] 이 단어(單語)는 기러기 도 뜻한다. 다만 가금류(家禽類) 인(人) 거위와 구분(區分)하여 야생종(野生種)이라는 의미(意味)로 wild goose/wild geese라고 표기(表記)하기도 한다. [2] 사진(寫眞) 속의 새는 엄밀히(嚴密히) 말해 거위가 아니라 야생(野生)거위, 즉(卽) 캐나다기러기 이다. 위에도 언급(言及)된 것처럼 기러기는 거위의 조상(祖上)이며 기러기도 영어(英語)로는 Goose, Geese(복수형(複數型))라고 부른다. 참고(參考)로 캐나다기러기는 일반(一般) 거위보다 더 성질(性質)머리가 훨씬 더러운 새다. [3] Geese: the underestimated species [4] 보통(普通) 천천히 걸어오지만 거리(距離)가 멀다 싶으면 날아서 쫓아온다. 비록 기러기에 비해 비행능력(飛行能力)이 퇴화(退化)되긴 했지만 20~30m 정도(程度)의 거리(距離)는 문제(問題) 없이 날아올 수 있다. [5] 여느 조류(潮流)와 마찬가지로 새끼 때는 귀엽다. [6] 맹수(猛獸)인 호랑이(虎狼이)나 사자(獅子)에게도 새끼 한정(限定)으로 시비(是非)를 건다. 물론(勿論) 성체(聖體) 앞에선 알짤없지만. [7] 북극곰(北極곰) 불곰 을 제외(除外)한 모든 곰들은 초식(草食) 위주(爲主)의 식단(食單)을 가진다. [8] 늑대 , 코요테 , 너구리 , 자칼 , 여우 . [9] 모든 고양이과 동물(動物)들. [10] 부엉이 올빼미 , 수리(修理) , . [11] 윤회(輪廻) 의 일화(逸話)로 인용(引用)되기도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