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 나무위키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迫性 性格障?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국제질병분류기호(國際疾病分類記號)
( ICD-10 )
F60.5
진료과(診療科)
관련(關聯) 증상(症狀)
관련(關聯) 질병(疾病)

1 . 개요(槪要) 2 . 언어별(言語別) 표기(表記) 3 . 설명(說明) 4 . 진단(診斷) 5 . 사례(事例) 6 . 행동치료(行動治療) 7 . 같이 보기 8 . 해당(該當) 인물(人物)
8.1 . 실제(實際)에서 8.2 . 창작물(創作物) 에서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는 매사(每事)에 완벽(完璧)을 추구(追求)하며 과도(過度)한 성취지향성(成就志向性)을 특징적(特徵的)으로 나타내는 정신질환(精神疾患)이다. 강박성 성격장애자(性格障礙者)는 겉보기에 성실한 모범생(模範生)으로 보이나, 지나치게 완벽주의적(完璧主義的) 인(人) 태도(態度)로 인해 정리정돈(整理整頓)과 자신(自身)만의 규칙(規則) 등(等) 세부적(細部的) 사항(事項)에 얽매여 오히려 비효율적(非效率的)인 삶을 산다. 이들은 감정(感情)을 배제(排除)하려 과(過)하게 애쓰나, 연인(戀人) 혹은(或은) 친구(親舊), 가족(家族)에게만 진심(眞心)을 내비침과 동시(同時)에 그들에게 지나치게 헌신(獻身)하는 탓에 사회적(社會的) 관계(關係)가 불안정(不安定)하며 자신감(自信感), 자존감(自尊感)이 아주 낮은 경우(境遇)가 많다.

2. 언어별(言語別) 표기(表記) [편집(編輯)]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강박성 인격장애(人格障礙)
?迫性 性格障?
?迫性 人格障?
强迫型 ( qi?ngpoxing ) 人格障碍 ( rengezhangai )
?迫性 ( きょうはくせい ) パ?ソナリティ 障害 ( しょうがい )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OCPD )
Zwanghafte Personlichkeitsstorung
Trouble de la personnalite anankastique
Trastorno obsesivo-compulsivo de la personalidad
Ананкастное расстройство личности
?????? ??????? ?????????

3. 설명(說明) [편집(編輯)]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는 비슷한 명칭(名稱)의 강박장애(强迫障礙) 와는 의미(意味)는 다르나, 강박성을 띤다는 것은 동일(同一)하다. [1] [출처(出處)] 강박장애(强迫障礙)가 행동(行動)에 강박(强迫) 성향(性向)을 가진다면,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는 자신(自身)의 성격(性格)에 강박(强迫) 성향(性向)을 지닌다. 이를 쉽게 구분(區分)하자면, 강박장애(强迫障礙) 환자(患者)는 자기(自己) 주변(周邊)의 사물(事物) 등(等)을 상대(相對)로 강박(强迫) 증상(症狀)이 나타나지만,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환자(患者)는 주변(周邊) 사람들을 상대(相對)로 강박(强迫) 증상(症狀)이 나타난다. 때문에 강박장애(强迫障礙) 환자(患者)에 대(對)한 사람들의 인식(認識)은 "너무 확인(確認)을 많이 한다.", "자주 불안(不安)해하는 모습이 거슬린다." 정도(程度)의 인식(認識)이지만,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환자(患者)에 대(對)한 사람들의 인식(認識)은 "사람을 너무 피곤(疲困)하게 만든다." 와 같이 인간관계(人間關係)에 있어서 안 좋은 인식(認識)을 받는다. [3]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환자(患者)들의 일상(日常) 증상(症狀)은 다음과 같다.
  • 자신(自身)의 행동(行動)이 완벽(完璧)하다는 확신(確信)이 들지 않으면 행동(行動)하지 않고 망설임.
  • 구체적(具體的)인 규칙(規則), 절차(節次)가 확실(確實)하지 않을 때는 결정(決定)하기 힘들어하고, 적응(適應)하지 못함.
  • 효율적(效率的)인 삶을 살고 싶어서 지나친 완벽주의(完璧主義) 적(敵) 성향(性向)과 세부적(細部的)인 내용(內容)에 집착(執着)해서 오히려 비효율적(非效率的)인 삶을 삶.
  • 계획(計劃)을 세우는 것에 너무 많은 시간(時間)을 씀.
  • 상황(狀況)을 자신(自身)의 방식(方式)대로 조절(調節)할 수 없게 되었을 때 불안(不安)해하고 분노(憤怒)를 느낌. [4]
  • 융통성(融通性)과 타협(妥協)이 필요(必要)한 상황(狀況)에서 쉽게 어려움을 겪고, 이로 인(因)해 부적응(不適應)을 겪기도 함.
  • 돈에 민감(敏感)하고, 인색함.
  • 약간(若干)이라도 쓸모가 있는 물건(物件)은 버리지 못함.
  • 감정(感情) 표현(表現)을 억제(抑制)하며, 부드러운 감정(感情)을 잘 표현(表現)하지 못하고, 칭찬(稱讚)이나 농담(弄談)을 거의 안 함.
  • 이성(理性)과 도덕(道德)을 중요시(重要視)함.
  • 감정(感情) 표현(表現)을 자유롭게 하는 사람, 충동적(衝動的)인 사람을 싫어함.

강박적(强迫的) 성격장애(性格障礙) 환자(患者)들은 자신(自身)의 이러한 완벽주의적(完璧主義的) 성향(性向)이 목표(目標)를 달성(達成)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점(長點)이라고 착각(錯覺)하는 경우(境遇)가 매우 많다. 그래서 일부(一部) 환자(患者)들은 '자신(自身)의 뛰어난 능력(能力)에 적응(適應)하지 못하는 주변인(周邊人)이 멍청할 뿐, 나에게는 아무 문제(問題)가 없다'는 생각을 하며 행동치료(行動治療)를 거부(拒否)하는 양상(樣相)을 보이기도 한다. 이를 부르는 호칭(呼稱)이 강박성 성격(性格) 장애(障礙) 라는 점(點)을 염두(念頭) 에 두어야 한다. 특히(特히) 가족(家族)이나 친구(親舊)에게 과(過)한 스트레스 를 부여(附與)하고, 특히(特히) '발작적(發作的) 분노(憤怒) 조절(調節) 장애(障礙) ' [5] 가 있는 사람은 주의(注意)를 요한다.

항상(恒常) 최악(最惡)의 경우(境遇)를 생각 하고 있기 때문에 조심성(操心性)이 많아서 신임(信任)을 받기도 하나, 사소(些少)한 실수(失手)에도 낙심(落心)한다. 미완성(未完成)이거나 애매모호(曖昧模糊)한 것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일을 완벽(完璧)하게 끝마치지 못하면 심각(深刻)한 불안(不安)과 우울(憂鬱)을 느낀다. 성과(成果)를 내지 못하면 자신감(自信感)을 상실(喪失)하기 때문에 성취(成就)해낼 수 없다고 판단(判斷)되는 일은 아예 시도(試圖)하려 들지 않는다 .

버림받거나 소외(疏外), 무시당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해서, 집단(集團)에 들어가면 공식적(公式的)이거나 암묵적(暗默的)인 규칙(規則) 을 전부(全部) 인식(認識)하려 애쓰며 자신(自身)과 다른 성격(性格)을 가지고 있거나 다른 행동(行動)을 하는 사람을 인정(認定)하지 않는 흑백논리(黑白論理) 를 가지고 있다. 사회적(社會的) 관습(慣習)(나이, 학력(學歷), 직업(職業))을 심(甚)하게 따져서, 자신(自身)이 윗사람인 경우(境遇), 자신(自身)에게 복종(服從)하지 않는 사람과는 같이 일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사회적(社會的) 관습(慣習)과 권위(權威)에 대(對)한 강(剛)한 의심(疑心)을 품는다. 순응(順應)하려는 태도(態度) 밑에 공격적(攻擊的)인 성향(性向)을 품고 있어서 평소(平素)에는 온화(溫和)하고 침착(沈着)한 사람이지만 순간(瞬間) 돌변(突變)하여 비판적(批判的)이고 분노(憤怒)에 찬 모습을 드러낸다.

타인(他人)의 평가(評價)와 시선(視線)에 몹시 예민(銳敏)하여 과도(過度)하게 양심(良心)과 도덕(道德)에 집착(執着)하고 타인(他人)에게 지나치게 겸손(謙遜)하다. 타인(他人)에게 충성(忠誠), 순응(順應)하려는 성향(性向)이 강(剛)하며, 타인(他人)과 자신(自身)을 비교(比較)하면서 자신(自身)을 비하(卑下)하며 부정적(否定的)으로 생각한다. 타인(他人)이 자신(自身)에게 내린 평가(評價)를 신뢰(信賴)하지 못하고 자신(自身)에게 낮은 평가(評價)를 내린다. 타인(他人)이 자신(自身)에게 한 행동(行動)은 물론(勿論), 자신(自身)이 타인(他人)에게 한 행동(行動)도 곱씹어 보며 항상(恒常) 그 행동(行動)을 한 의도(意圖)가 무엇이었는지 의심(疑心)하고 유추(類推)하는 데 집착(執着)한다.

우유부단(優柔不斷) 한 태도(態度) [6] 를 보이지만 일단(一旦) 결정(決定)하면 내린 결정(決定)을 절대(絶對) 바꾸지 않는다. 이때 주변(周邊)에 지배적(支配的)이거나 강압적(强壓的)인 사람(가족(家族), 동료(同僚), 상사(上司), 친구(親舊) 등(等))이 있으면 그들에게 결정(決定)을 떠맡겨 버리는 의존성(依存性) 성격장애(性格障礙) 의 양상(樣相)을 띠기도 한다. 상기(想起)한 특징(特徵)의 사람이 아니라도 그냥 신용(信用)하는 사람이라 맡기기도 한다. 즉(卽), Cluster B군(君) 혹은(或은) C군(軍)의 타 성격장애(性格障礙) 중(中) 하나 이상(以上)과 결합(結合)되면 대단히 어려운 성격장애(性格障礙)로 변모(變貌)한다. 특히(特히) 장애인(障礙人)은 아니지만 ADHD 등(等) 선천적(先天的)인 정실질환(情實疾患)과 결합(結合)될 경우(境遇) 사회(社會)에서는 자의식(自意識)이 낮아졌다가 스스로 편안(便安)한 공간(空間)에서는 자의식(自意識)이 높아지고 병식을 지우는 등(等) 인지(認知)하지 못하는 상태(狀態)가 되기 때문에 대단히 위험(危險)한 성격장애(性格障礙)로 봐도 무방(無妨)할 정도(程度). 주로(主로) 사회적(社會的)으로 자존감(自尊感)이 낮다면 의존성(依存性) 성격장애(性格障礙) 와 매우 높게 결합(結合)된다. 단(但), 이것 또한 예시(例示)로 봐야한다.

ADHD 인 사람과 함께하기 힘들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강박성 인격장애(人格障礙) 환자(患者)들은 ADHD와의 결합(結合) 증상(症狀)을 가지고 있는 경우(境遇)가 꽤나 있으므로 전문가(專門家)의 정확(正確)한 진단(診斷)이 필요(必要)하다. [7] , 이를 부연적(敷衍的)으로 설명(說明)하면 강박장애(强迫障礙) 의 청결강박(淸潔强迫), 저장(貯藏)강박증(호더)의 증상(症狀) 또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4. 진단(診斷) [편집(編輯)]

DSM -4-TR 진단(診斷) 기준(基準)은 다음과 같다.
  1. 융통성(融通性), 개방성(開放性), 효율성(效率性)의 상실(喪失)이라는 대가(代價)를 치르면서까지 정리정돈(整理整頓)에 몰두(沒頭)하고, 완벽주의(完璧主義) 적(敵)이며, 마음을 통제(統制)하고 대인관계(對人關係)를 통제(統制)하려고 노력(努力)하는 전반적(全般的)인 행동(行動) 양식(樣式)이 나타난다. 성인기(成人期) 초기(初期)에 시작(始作)되며 여러 다양한 상황(狀況)에서 이러한 특징(特徵)들이 나타난다. 다음 가운데 4개(個) 이상(以上)의 항목(項目)을 충족시킨다.
    1. 사소(些少)한 세부(細部) 사항(事項), 규칙(規則), 목록(目錄), 순서(順序), 시간(時間) 계획(計劃)이나 형식(形式)에 집착(執着)하여 일의 큰 흐름을 잃고 만다.
    2. 완벽주의(完璧主義)로 인하여 일을 완수(完遂)하는 데 방해(妨害)를 받는다. (예(例) : 자신(自身)의 지나치게 엄격(嚴格)한 기준(基準)에 맞지 않기 때문에 계획(計劃)을 완수(完遂)하지 못한다)
    3. 여가(餘暇) 활동(活動)과 우정(友情)을 나눌 시간(時間)을 배제(排除)하면서까지 지나치게 일과 생산성(生産性)에 몰두(沒頭)한다. 일에 대(對)한 몰두(沒頭)가 명백(明白)한 경제적(經濟的) 필요(必要) 때문으로는 설명(說明)되지 않는다.
    4. 도덕(道德), 윤리(倫理), 또는 가치(價値) 문제(問題)에서 문화적(文化的) 또는 종교적(宗敎的) 배경(背景)으로 설명(說明)되지 않을 정도(程度)로 지나치게 양심적(良心的)이고 고지식하며 융통성(融通性)이 없다.
    5. 감상적(感傷的)인 가치(價値)조차 없을 때라도 닳아 빠지거나 무가치(無價値)한 물건(物件)을 버리지 못한다.
    6. 타인(他人)이 자신(自身)의 방식(方式)을 그대로 따르지 않을 경우(境遇) 타인(他人)에게 일을 맡기거나 같이 일하는 것을 꺼린다.
    7. 자신(自身)과 타인(他人) 모두에게 돈을 쓰는 데 인색하다. 돈을 미래(未來)의 재난(災難)에 대비(對備)하여 축적(蓄積)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8. 경직성(硬直性)과 완고함(高喊)을 보인다.

5. 사례(事例) [편집(編輯)]

※ 출처(出處) ; 권석만 ( 1997 ), 인간관계(人間關係)의 심리학(心理學)에서 인용(引用).
Y씨(氏)는 고등학교(高等學校) 수학교사(數學敎師) 이다. 12년(年) 전(前) 부인(夫人)과 결혼(結婚)했다. 부인(夫人)은 친척(親戚)의 소개(紹介)로 만났을 당시(當時), 매우 성실하고 자상(仔詳)하고 유능(有能)한 사람으로 느껴져 6개월간(個月間) 사귀어서 결혼(結婚)했다. 결혼(結婚) 이후(以後) 12년(年)이 지나면서 아들(현재(現在) 초등학교(初等學校) 2학년(學年))과 딸(현재(現在) 유치원생(幼稚園生))을 두고 있으며 10년(年)만에 아파트도 마련했으나, 부인(夫人)은 이혼(離婚)을 고민(苦悶)하고 있다.
  1. 신혼(新婚)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하자, Y씨(氏)는 부인(夫人)에게 매일매일(每日每日) 가계부(家計簿)를 쓰게 했으며 생활비(生活費)를 1주일(週日) 단위(單位)로 주었다. 부인(夫人)은 처음에는 검소(儉素)하게 살자는 뜻으로 이해(理解)했으나, Y씨(氏)는 가계부(家計簿)를 일일이(一一이) 확인(確認)하고 500원 단위(單位)까지 적도록 시켰다. 부인(夫人)은 주말(週末)에 여행(旅行) 가거나 외식(外食)을 하고 싶었지만, Y씨(氏)는 '나가면 차(車) 막히고 바가지 쓰는데 뭐하러 나가서 먹어?'라면서 집에서 식사(食事)하기를 고집(固執)했다. 부인(夫人)은 Y씨(氏)가 낭만(浪漫)을 모르고 여유(餘裕)가 없다고 느껴서 불만(不滿)이었다. 부인(夫人)은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나중에 집을 장만하고 아이가 태어나면 달라지길 기대(期待)했다. 나중에 아파트도 마련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후(後)에도 Y씨(氏)는 계속(繼續) 생활비(生活費)를 주(州) 단위(單位)로 주면서 가계부(家計簿)를 일일이(一一이) 확인(確認)했다. 부인(夫人)은 12년간(年間) 번듯한 옷 한 벌 사 입지 못하고 외식(外食)도 거의 하지 못했고 생활비(生活費)를 매주(每週) 타 써야 하는 생활(生活)을 계속(繼續)하면서 비참(悲慘)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2. Y씨(氏)는 집안이 늘 깨끗이 정리(整理)되어 있길 바라고, 열심히(熱心히) 청소(淸掃)를 해도 구석구석에서 먼지를 찾아내서 불평(不平)했다.
  3. Y씨(氏)는 입맛이 까다롭고 건강(健康)에 예민(銳敏)했다. 짜고 매운 음식(飮食)을 먹기 싫어해서 부인(夫人)이 음식(飮食)을 할 때마다 조심스러웠다.
  4. Y씨(氏)는 집에서도 늘 수업(授業) 준비(準備)를 했으며 자신(自身)의 일에 완벽(完璧)했다.
  5. 초등학생(初等學生) 아들에게 Y씨(氏)가 매일(每日) 공부(工夫)할 분량(分量)을 정(定)해 주고, 수시로(隨時로) 진행(進行) 사항(事項)을 확인(確認)하고, 이에 대(對)해서 잔소리, 야단(惹端)을 친다. 아들은 아버지만 보면 잔뜩 긴장(緊張)해서 눈을 깜빡거리고 볼을 실룩거린다. 부인(夫人)은 어머니 입장(立場)에서 너무 화(火)가 난다.

6. 행동치료(行動治療) [편집(編輯)]

  1. 강박장애(强迫障礙) 인과(因果) 마찬가지로, 규범(規範)에서 어긋난 행동(行動)을 일부러 해서 고치지 않고 견디는 반응(反應) 치료(治療)를 한다.
  2. 낙관주의(樂觀主義) , 대충주의(注意)로 성향(性向)을 이끌기 위해 조절(調節)한다.
  3. 거짓말을 하지 않도록 유도(誘導)한다.
  4. 흑백논리(黑白論理) 에서 벗어나도록 노력(努力)한다.
  5. 성취(成就) 외(外)의 가치(價値)를 추구(追求)한다.
  6. 사물(事物), 사건(事件)을 세심(細心)하게 관찰(觀察)하지 말고 멀리 떨어져서 본다.

7. 같이 보기 [편집(編輯)]

8. 해당(該當) 인물(人物) [편집(編輯)]

8.1. 실제(實際)에서 [편집(編輯)]

8.2. 창작물(創作物) 에서 [편집(編輯)]

[1] 강박성이 특징(特徵)인 장애(障礙)는 충동성(衝動性) 관련(關聯) 장애(障礙)와 달리 DSM -IV-TR에서 별개(別個)의 범주(範疇)로 분류(分類)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임상심리학(臨床心理學) 계(界)에서는 강박장애(强迫障礙) ,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이인화 장애(障礙) 등(等)이 강박성과 관련(關聯)되어 있다고 본다. 충동성(衝動性)은 빠르게 반응(反應)하며 사려성(思慮性)이 부족(不足)한 성향(性向)을 지칭(指稱)하나, 아직 모든 심리학자(心理學者)들이 공감(共感)하고 납득(納得)할 만한 조작적(造作的) 정의(定義)가 이루어지지 못한 심리학(心理學) 적(敵) 개념(槪念)이다. [출처(出處)] 한국심리학회(韓國心理學會)지 일반(一般) 31(1), 2012 . 3 ., 171 page [3] 성격장애(性格障礙) 의 진단(診斷) 기준(基準) 가운데 하나는 'ego-syntonic(자아동조적(自我同調的))'이다. 간단(簡單)하게 설명(說明)하면, 환자(患者) 스스로는 자신(自身)에게 문제(問題)가 있다고 여기질 않는다 . 이는 강박장애(强迫障礙) 와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를 구분(區分)하는 단순(單純)한 기준(基準) 중(中) 하나다. 물론(勿論) 하나의 기준(基準)으로 구분(區分)하기에는 예외(例外)가 있긴 하나, 병리적(病理的)으로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 환자(患者)는 본인(本人)의 강박적(强迫的) 행위(行爲)를 주변(周邊)에서 이해(理解)하지 못하는 것을 주변(周邊)의 탓으로 돌리지만, 강박장애(强迫障礙) 환자(患者)는 자신(自身) 스스로에게 문제(問題)가 있다는 인식(認識)을 이미 갖추고 있는 경우(境遇)가 흔하다. [4] 단(單), 직접적(直接的)으로 표현(表現)하는 일은 드물다. [5] 좌절(挫折)이나, 성공(成功) 시(時)에도 만족감(滿足感)이 없는 감흥(感興) 등(等). [6] 어떤 결정(決定)을 내려야할지 지나치게 숙고(熟考)하기 때문. [7] 자신(自身)의 ADHD 증상(症狀)을 극복(克服)하기 위한 해결책(解決策)으로 강박성 성격장애(性格障礙)의 증상(症狀)들을 상정(想定)하는 경우(境遇)가 꽤 있다. 완벽주의(完璧主義) 적(敵)이고 계획적(計劃的)인 성향(性向)을 가지고 철저히(徹底히) 규칙(規則)과 절차(節次)에 따라 행동(行動)하면 되지, 주의력(注意力)이 산만(散漫)한 것 따위가 병(病)이 아니라고 착각(錯覺)하는 것. 당연히(當然히) ADHD의 특성상(特性上) 그게 제대로 될 리(理)가 없으니 자신(自身)의 계획(計劃)대로 되지 않을 때마다 스스로 자존감(自尊感)을 더 깎아내리고, 이후(以後) 자신(自身)을 더 몰아붙이고, 실패(失敗)하면 더 심해지고, 그로부터 우울증(憂鬱症) 등(等) 각종(各種) 증상(症狀)을 추가적(追加的)으로 얻는 파괴적(破壞的)인 악순환(惡循環)이 형성(形成)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最近) 변경(變更)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