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樂 - 나무위키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Stray Kids의 노래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락(落) (樂)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노래 악(惡), 즐길 락(落), 좋아할 요
부수(附隨)
나머지 획수(劃數)
, 11획(劃)
총(總) 획수(劃數)
15획(劃)
중학교(中學校)
?
일본어(日本語) 음독(飮毒)
ガク, ラク, ギョウ, ゴウ
일본어(日本語) 훈독(訓讀)
たの-しい, たの-しむ,
かな-でる, この-む
?
표준(標準) 중국어(中國語)
yue, le, yao, lao
  • 연(軟)한 빨간색(빨간色) 으로 표기(表記)된 신자체(神自體)는 본래(本來) 한자(漢字)가 비상용한자(非常用漢字)임을 나타냄
  • 괄호(括弧)를 친 독음(讀音)은 특이(特異)한 상용독음(商用讀音)을, 연(軟)한 빨간색(빨간色) 으로 표기(表記)된 독음(讀音)은 비상용독음(非常用讀音) 또는 본래(本來) 한자(漢字)가 비상용한자(非常用漢字)임을 나타냄
1 . 개요(槪要)
1.1 . 이체자(移替者)
2 . 용례(用例)
2.1 . 단어(單語), 고사성어(故事成語)
2.1.1 . 악(惡) 2.1.2 . 락(落)(낙(樂)) 2.1.3 . 요
2.2 . 인명(人命), 지명(地名), 캐릭터명(名), 작품명(作品名) 등(等)
3 . 유의자 4 . 상대자(相對者)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음악(音樂) 악(惡), 즐거울 락(落), 좋아할 요. 유래(由來)에 대(對)해서는 현악기(絃樂器)를 본뜬 글자(글字), 신(神)을 모시는 춤을 출 때 손에 가지는 방울을 본뜬 글자(글字), 북 따위의 타악기(打樂器)를 본뜬 글자(글字) 등(等)의 설이 존재(存在)한다. 어느 쪽이든 상형자(象形字) 라는 추측(推測)엔 이견(異見)이 없다.

기본(基本) 음가(音價)는 '악(惡)'이고, 파생(派生)된 음가(音價)로 '락(落)'과 '요'가 있다. [1] '락(落)'은 주로(主로) 형용사(形容詞)로 사용(使用)될 때, '요'는 좋다는 뜻으로 사용(使用)된다. '락(落)'이 두음(頭音) 법칙(法則)이 적용(適用)되면 '낙(樂)'으로 표기(表記)된다(예: 낙원(樂園) 樂園).

이 외(外)에 잘 사용(使用)되지 않는 음가(音價)로 '료(料) [2] ', '록 [3] ', '로 [4] '가(價) 있다.
  • '료(料)'는 시경(市警) 의 진풍(秦風)(陳風) 중(中) 형문(刑問)(衡門) [5] 의 可以樂飢라는 구절(句節)을 '가이 료(料) 기(基)'라고 읽는 데 쓰인다. [6]
  • '록'은 육도(六道)의 하략(下略)의 國乃安樂이라는 구절(句節)을 '국내(國內)안 '이라고 읽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 '로'는 광운(廣韻)의 伯樂 相馬(백(百) [7] 상마(상馬))와 효경(孝經)의 '莫善于樂'(막(幕)선우 )에서 그 기록(記錄)이 보인다.

이렇게 음가(音價)가 다양한 이유(理由)는 상고한어(上告漢語) 시절(時節)의 발음(發音) 때문이다. 당시(當時)의 발음(發音)은 ŋrawks(백스터 기준(基準)). 여기에서 일부(一部) 발음(發音) [8] 이 탈락(脫落)되면서 다른 음가(音價)가 파생(派生)된 것 같다. 중국어(中國語) 독음(讀音) yue, le, yao는 각각(各各) 한국어(韓國語)의 '악(惡)', '락(落)', '요'에 대응(對應)되고 lao [9] 라는 독음(讀音)은 일부(一部) 지명(指名)에 사용(使用)된다. (예: 허베이성(허베이省) 탕산시 의 ?亭/樂亭(Laoting) 현(現), 산둥성(산둥省) 더저우시(視) 의 현급(現級) 시(時) ?陵/樂陵(Laoling) 시(時)) [10]

참고(參考)로 완성형(完成型) 에서 가장 많이 중복(重複)된 한자(漢字) 로 무려(無慮) 4번(番)이나 중복(重複) 배당(配當)되었다.

1.1. 이체자(移替者) [편집(編輯)]

?(유니코드 697D, 木부(部) 9획(劃), XIOD(難戈人木))
?(유니코드 4E50, ?부(富) 4획(劃), HVD(竹女木))
?(유니코드 39A1, 心부(部) 15획(劃), PVID(心女戈木))

? 은 樂의 신자체(神自體)로 일본(日本) 에서 사용(使用)하고, ?은 樂의 간체자(簡體字)로 중국(中國) 에서 사용(使用)한다.

록 이체
아랫부분(아랫部分)을 삐쳐올리는 자형(字形)도 있는데 대만(臺灣)에서 자주 쓰인다.

2. 용례(用例) [편집(編輯)]

2.1.2. 락(落)(낙(樂)) [편집(編輯)]

2.2. 인명(人命), 지명(地名), 캐릭터명(名), 작품명(作品名) 등(等) [편집(編輯)]

  • 음악(音樂)
    • (노래 가)
    • (굽을 곡(曲)) - '굽다'라는 뜻 이외(以外)에 '음악(音樂)', '악곡(樂曲)'이라는 뜻이 있다.
    • (노래할 구(區))
    • (노래 요)
  • 즐기다/즐겁다
    • (즐거울 개(個))
    • (즐길 긍(肯))
    • (즐길 기(基))
    • (즐길 오)
    • (즐길 완)
    • (즐길 종(種))
    • (즐길 탐)
  • 좋아하다
    • (좋을 호(號))

4. 상대자(相對者) [편집(編輯)]

  • 즐기다
    • (쓸 고, 괴로울 고)
    • (번뇌(煩惱)할 뇌(腦))
  • 좋아하다
    • (꺼릴 기(基))
    • (싫어할 염(廉))
    • (악(惡)할 악(惡), 미워할 오)
    • (미울 증(增))
    • (싫어할 혐)
    • (꺼릴 휘)
[1] 현재(現在) 한국(韓國)에서는 '락(落)' 음(音)을 대표(代表) 음가(音價)로 인식(認識)하고 있는 듯. 사전(辭典)에서 대표음가(代表音價)가 '락(落)'으로 등재(登載)된 경우(境遇)가 많다. 다만 이는 한국(韓國)에서만 해당(該當)되는 것이니 주의(注意)할 것. 단적(端的)으로 중국(中國)이나 일본(日本)에서는 유니코드상(上) 樂(락(落))으로 입력(入力)하면 결과(結果)가 없다고 나온다. 樂(악)으로 입력(入力)해야 한다. [2] 집운(集韻)의 반절(半切)은 력조절(力調節)(力照切), 정운의 반절(半切)은 력소절(力小節)(力召切). 照, 召의 원래(元來) 발음(發音)은 죠, 쇼였다. [3] 운보(韻譜)의 반절(半切)은 로곡절(曲折)(盧谷切) [4] 당운(黨運)의 반절(半切)은 로도절(路鼗節)(魯刀切) [5] '형(兄)'의 발음(發音)이 횡(橫)(橫)과 같다는 주석(註釋)이 있으므로 횡문(橫文)이 바른 발음(發音)이지만, 관습적(慣習的)으로 형문으로 읽어왔다. 사실(事實) 고대(古代)에 衡과 橫은 발음(發音)이 비슷해 자주 혼용(混用)되었다. [6] 정시(定試)(鄭詩)에 료(料)(療)와 같은 발음(發音)이라고 주석(註釋)이 있다. 다만 모시(毛詩)에는 락(洛)과 같은 발음(發音)이라는 주석(註釋)이 있는데, 이 때엔 가(街)이락기 가 된다. 이미 정시(定時)보다 모시가 더 많이 읽혔고, 주자(走者) 또한 이를 이어받았다. 주자(朱子)의 위상(位相)이 절대적(絶對的)이었던 조선(朝鮮)이야 말할 것도 없고, 중국(中國)과 일본(日本)에서도 대부분(大部分) 가(街)이락기로 읽었다. [7]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목공 때 사람인데 말의 상(賞)을 잘 보기로 유명(有名)했다. 다만 시간(時間)이 지나면서 원래(元來) 발음(發音)은 잊히고, 한중일(韓中日) 모두 관습적(慣習的)으로 백락(百樂) 이라 읽어왔다. [8] ŋrawks > ŋrawk(> ŋ?awk), ŋraws(> ŋ?awH), rak(> lak) [9] 바로 위의 '로' 발음(發音). [10] 따라서 이 지명(地名)들을 한국(韓國) 한자음(漢字音)으로 읽을 경우(境遇)는 '낙정(落丁)/악정(惡政)/요정(妖精)', '낙릉(樂陵)/악릉(惡陵)/요릉(要陵)'이 아닌 '노정(路程)', '노릉(老陵)'으로 읽어야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