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惱 - 나무위키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번뇌(煩惱)할 뇌(腦)
부수(附隨)
나머지 획수(劃數)
, 9획(劃)
총(總) 획수(劃數)
12획(劃)
고등학교(高等學校)
?
일본어(日本語) 음독(飮毒)
ノウ, ドウ
일본어(日本語) 훈독(訓讀)
なや-む, なや-ます
?
표준(標準) 중국어(中國語)
n?o
  • 연(軟)한 빨간색(빨간色) 으로 표기(表記)된 신자체(神自體)는 본래(本來) 한자(漢字)가 비상용한자(非常用漢字)임을 나타냄
  • 괄호(括弧)를 친 독음(讀音)은 특이(特異)한 상용독음(商用讀音)을, 연(軟)한 빨간색(빨간色) 으로 표기(表記)된 독음(讀音)은 비상용독음(非常用讀音) 또는 본래(本來) 한자(漢字)가 비상용한자(非常用漢字)임을 나타냄

1 . 개요(槪要) 2 . 상세(詳細) 3 . 용례(用例) 4 . 유의자 5 . 반대자(反對者) 6 . 모양(模樣)이 비슷한 한자(漢字)

1. 개요(槪要) [편집(編輯)]

惱는 '번뇌(煩惱)할 뇌(腦) '라는 한자(漢字) 로, ' 번뇌(煩惱) (煩惱)하다', ' 고뇌(苦惱) (苦惱)하다' 등(等)을 뜻한다.

2. 상세(詳細) [편집(編輯)]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의 언어별(言語別) 발음(發音)
훈(勳)
번뇌(煩惱)하다
음(陰)
뇌(腦)
n?o
nou 5
nau, nau, no
n?u
n??
lo [文] / nau [白]
nau (T3)
음독(飮毒)
ノウ, ドウ
훈독(訓讀)
なや-む, なや-ます
nao

유니코드 에는 U+60F1에 배당(配當)되어 있고, 창힐수입법(倉頡輸入法) 으로는 PVVW(心女女田)로 입력(入力)한다.

훈을 나타내는 (마음 심(審))과 음(音)을 나타내는 ?? (골 뇌(腦))가 합쳐진 형성자(形聲字) 이다.

3. 용례(用例) [편집(編輯)]

5. 반대자(反對者) [편집(編輯)]

6. 모양(模樣)이 비슷한 한자(漢字) [편집(編輯)]

  • (마노(瑪瑙) 노)
  • ? (짐승 이름 노)
  • (골/뇌수(腦髓) 뇌(腦))
  • ? (작은 산(山) 언덕 뇌(腦))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