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光 - 나무위키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오토나시 코토리의 테마곡(曲)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光(아이돌 마스터)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명탐정(名探偵) 코난의 주제가(主題歌)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光(BREAKERZ)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Phigros의 수록곡(收錄曲)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光(Phigros)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RADWIMPS의 노래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光(RADWIMPS)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빛 광(狂)
부수(附隨)
나머지 획수(劃數)
? , 4획(劃)
총(總) 획수(劃數)
6획(劃)
중학교(中學校)
-
일본어(日本語) 음독(飮毒)
コウ
일본어(日本語) 훈독(訓讀)
ひか-る, ひかり
-
표준(標準) 중국어(中國語)
gu?ng
  • 연(軟)한 빨간색(빨간色) 으로 표기(表記)된 신자체(神自體)는 본래(本來) 한자(漢字)가 비상용한자(非常用漢字)임을 나타냄
  • 괄호(括弧)를 친 독음(讀音)은 특이(特異)한 상용독음(商用讀音)을, 연(軟)한 빨간색(빨간色) 으로 표기(表記)된 독음(讀音)은 비상용독음(非常用讀音) 또는 본래(本來) 한자(漢字)가 비상용한자(非常用漢字)임을 나타냄

1 . 개요(槪要) 2 . 상세(詳細) 3 . 용례(用例) 4 . 지하철역(地下鐵驛) 5 . 모양(模樣)이 비슷한 한자(漢字)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빛 광(狂)(光). 또는 빛나는 무언가를 일컬을 때 쓰이는 한자(漢字) 이다.

2. 상세(詳細) [편집(編輯)]

빛과 상관(相關) 있는 한자어(漢字語)에 들어가거나 아예 부수(附隨)처럼 한자(漢字) 자체(自體)에 들어가는 등(等) [1] 여러모로 쓰임새가 많은 글자(글字)이다. 한국어(韓國語)에는 '윤(潤)이 난다'는 뜻의 광(狂)(光)나다 라는 차용(車用) 표현(表現)이 있다.

일본(日本) 중국(中國) 에서도 예부터 지금(只今)까지 널리 쓰인다. 그런데 중국(中國)에서는 명나라(明나라) 홍무제(洪武帝) 시절(時節)에 금지(禁止)어 가 되기도 했다. 왜 그랬는지 궁금하다면 문서(文書)를 참고(參考).

光 字源
갑골문(甲骨文) 을 보면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서 횃불 을 들어 불을 밝히는 모습의 상형자(象形字) 다.

유독(唯獨)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에 있는 시설(施設)들에서 이 한자(漢字)를 모티브로 한 로고를 꽤 쓰고 있다.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로고, 광주광역시교육청(光州廣域市敎育廳) 로고, KBC 옛 로고 등(等).

백화문(白話文) 및 현대(現代) 중국어(中國語) 에서는 '남김없이 ~ 해버리다'라는 뜻의 결과보어(結果補語)로 사용(使用)된다. 삼광(三光) 작전(作戰) 항목(項目) 참조(參照). 掉도 비슷한 역할(役割)을 하는 결과보어(結果補語)이지만, 光과는 달리 '남김없이'의 뜻은 적으며 단순히(單純히) 어떤 행동(行動)을 해버린 상태(狀態)라는 사실(事實)만 나타낸다.

3. 용례(用例) [편집(編輯)]

3.3.1. 실존인물(實存人物) [편집(編輯)]

3.3.2. 가상인물(假想人物) [편집(編輯)]

4. 지하철역(地下鐵驛) [편집(編輯)]

5. 모양(模樣)이 비슷한 한자(漢字) [편집(編輯)]

[1] 輝(빛날 휘), 耀(빛날 요) 등(等).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