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미디어 재단(財團)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

From Wikimedia Foundation Governance Wiki
This page is a translated version of the page Policy:Universal Code of Conduct and the translation is 100% complete.
위키미디어 재단(財團)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

왜 우리는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을 가지고 있습니까

우리는 가능(可能)한 많은 사람들이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참여(參與)하여 전(全) 세계(世界)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지식(知識)을 공유(共有)할 수 세상(世上)에 대(對)한 우리의 비전에 도달(到達) 할 수 있도록 권한(權限)을 부여(附與)한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기여자(寄與者)들의 집단(集團)이 가능(可能)한 다양하고, 포용적(包容的)이고, 어디서든지 접근(接近)이 가능(可能)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공동체(共同體)가 참여(參與)하는 (혹은(或은) 참여(參與)하길 원(願)하는) 모두에게 긍정적(肯定的)이고, 안전(安全)하며, 건강(健康)한 환경(環境)이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이 행동(行動) 강령(綱領)을 수용(受容)하고 필요(必要)에 따라 내용(內容)을 재검토(再檢討)하는 것을 포함(包含)하여 본 강령(綱領)이 유지(維持)되도록 최선(最善)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용(內容)을 훼손(毁損)하거나 왜곡(歪曲)하려는 이들로부터 우리의 프로젝트를 보호(保護)하기를 원(願)합니다.

위키미디어 사명(使命)에 따라,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와 공간(空間)에 참여(參與)하는 모든 사용자(使用者)는…

  •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모든 지식(知識)의 총합(總合)을 나눌 수 있는 세계(世界)를 이룩하는 것을 도와야 합니다.
  • 편견(偏見)과 고정관념(固定觀念)을 지양(止揚)하는 글로벌 공동체(共同體)에 참여(參與)해야 합니다.
  • 모든 기여(寄與)에 있어서 정확성(正確性)과 확인(確認) 가능(可能)을 지향(志向)해야 합니다.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Universal Code of Conduct; UCoC)은 허용(許容)되는 행동(行動)과 허용(許容)되지 않는 행동(行動)을 정의(定義)합니다. 이 강령(綱領)은 온·오프라인 상(上)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및 공간(空間)에서 다른 사용자(使用者)와 교류(交流)하고 기여(寄與)하는 모든 사용자(使用者)에게 적용(適用)됩니다. 여기에는 새 사용자(使用者)와 숙련(熟鍊)된 사용자(使用者), 프로젝트 내(內) 고급(高級) 권한(權限) 보유자(保有者), 행사(行事) 주최자(主催者) 및 참가자(參加者), 가맹단체(加盟團體)[협회(協會)] 회원(會員) 및 이사(理事), 위키미디어 재단(財團) 직원(職員)과 이사(理事) 등(等)이 포함(包含)됩니다. 이 강령(綱領)은 모든 직(職)·간접적(間接的)인 행사(行事), 기술적(技術的) 공간(空間), 그리고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와 위키에 적용(適用)됩니다.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은 다음을 포함(包含)합니다:

  • 공적(公的) 및 준(準)공적 상호(相互) 작용(作用)
  • 공동체(共同體) 구성원(構成員) 간(間)의 의견(意見) 불일치(不一致) 및 일치(一致)에 대(對)한 토론(討論)
  • 기술(技術) 개발(開發)에 대(對)한 문제(問題)
  • 내용(內容) 기여(寄與)에 대(對)한 측면(側面)
  • 가맹단체(加盟團體)[협회(協會)]나 공동체(共同體)를 대표(代表)해 외부(外部) 파트너와 접촉(接觸)하는 경우(境遇)

1 - 개요(槪要)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은 전(全) 세계(世界)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다른 사용자(使用者)와 협력(協力)하는 것에 대(對)한 행동(行動) 기준(基準)을 제시(提示)합니다. 공동체(共同體)는 강령(綱領)에서 제시(提示)된 최소한(最小限)의 기준(基準)을 유지(維持)하면서 지역(地域)이나 문화적(文化的) 맥락(脈絡)에 따라 내용(內容)을 덧붙여 각(各) 위키별(別) 정책(政策)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은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사용자(使用者)들에게 예외(例外) 없이 동등(同等)하게 적용(適用)됩니다.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의 내용(內容)을 위반(違反)할 경우(境遇) 각(各) 공동체(共同體)의 총의(總意)에 따라 공동체(共同體)의 대표자(代表者)에게, 또는 법적(法的) 권한(權限)이 있는 위키미디어 재단(財團)에게 제재(制裁)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 갖춰야 하는 행동(行動)

새 사용자(使用者)와 숙련(熟鍊)된 사용자(使用者), 공동체(共同體) 고급(高級) 권한(權限) 보유자(保有者), 가맹단체(加盟團體)[협회(協會)] 또는 WMF 직원(職員) 및 이사(理事)의 여부(與否)와 관계없이(關係없이), 모든 위키미디어 사용자(使用者)에게는 스스로의 행동(行動)에 대(對)해 책임(責任)이 부과(賦課)됩니다.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및 공간(空間)과 행사(行事)에서의 행동(行動)은 존중(尊重), 예의(禮義), 협력(協力), 연대(連帶), 친화(親和)를 바탕으로 행(行)하여야 합니다. 이는 나이, 정신적(精神的)·신체적(身體的) 장애(障礙), 외모(外貌), 국적(國籍), 종교(宗敎), 민족(民族), 문화적(文化的) 조건(條件) 및 계층(階層), 사회적(社會的) 계층(階層), 언어(言語) 능력(能力), 성적(性的) 지향(志向), 성(性) 정체성(正體性), 직업(職業) 등(等)에 따른 차별(差別) 없이 모든 기여자(寄與者)와 참여자(參與者)의 상호(相互) 작용(作用)에 적용(適用)됩니다. 우리 또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및 운동(運動)에서 예외(例外)없이 사용자(使用者)가 이룬 업적(業績), 능력(能力) 또는 입지(立地)에 따라 사용자(使用者)를 차별(差別)하지 않을 것입니다.

2.1 - 사용자(使用者) 간(間)의 존중(尊重)

존중(尊重)은 다른 사람을 배려(配慮)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온·오프라인 상(上)의 위키미디어 환경(環境)에서 다른 사람과 소통(疏通)할 때, 우리는 우리가 존중(尊重)받고 싶은 만큼 상대(相對)를 존중(尊重)해야 할 것입니다.

존중(尊重)은 아래 사항(事項)을 포함(包含)하지만, 이외(以外)에도 다른 사항(事項)이 존재(存在)합니다:

  • 다른 사용자(使用者)에게 공감(共感)해 보세요. 다른 위키미디어 사용자(使用者)가 여러분께 말하고자 하는 바를 경청(傾聽)하고 이해(理解)하려 노력(努力)해 보세요. 위키미디어 사용자(使用者)로서 여러분이 그동안 갖고 있던 이해(理解)와 기대(期待), 행동(行動)에 도전(挑戰)하고 적응(適應)할 준비(準備)를 하세요.
  • 항상(恒常) 선의(善意)로써 건설적(建設的)이고 긍정적(肯定的)인 편집(編輯)에 참여(參與)하세요. 귀하(貴下)의 기여(寄與)는 프로젝트 또는 작업(作業)의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켜야 합니다. 선의(善意)를 가지고 친절(親切)하게 피드백을 제공(提供)하고 수용(受容)해 주세요. 상대방(相對方)에 대(對)해 비판(批判)할 때에는 신중(愼重)하고 건설적(建設的)인 태도(態度)로, 구체적(具體的)이고 정확(正確)한 대안(代案)과 함께 제시(提示)해 주세요. 모든 위키미디언(言)들은 근거(根據)가 있지 않는 한(限), 우리 모두 프로젝트를 개선(改善)하기 위해 참여(參與)하고 있다고 생각하여야 합니다. 다만, 이는 유해(有害)한 영향(影響)을 끼치는 진술(陳述)을 정당화(正當化)하는 데 사용(使用)해서는 안됩니다.
  • 다른 기여자(寄與者)들이 스스로를 일컫는 단어(單語)를 존중(尊重)해 주세요. 몇몇 사람들은 스스로를 가리키는 데에 특정(特定)한 용어(用語)를 사용(使用)하곤 합니다. 존중(尊重)의 의미(意味)에서 그들을 지칭(指稱)할 때에는 해당(該當) 용어(用語)를 사용(使用)해 주세요. 예(例)를 들어…
    • 어떤 민족(民族) 집단(集團)은 그들을 지칭(指稱)하는 단어(單語)로 역사적(歷史的)으로 다른 사람들이 불러왔던 용어(用語)가 아닌 다른 특정한 단어(單語)를 사용(使用)하기도 합니다.
    • 여러분께 익숙하지 않은 언어(言語)의 문자(文字), 소리, 또는 단어(單語)를 이름으로 사용(使用)하는 사람들
    • 특정(特定) 이름이나 대명사(代名詞)를 통해 스스로의 성적(性的) 지향(志向)이나 성(性) 정체성(正體性)을 드러내는 사람들
    • 특정(特定) 신체적(身體的) 또는 정신적(精神的) 장애(障礙)를 가진 사람들은 스스로를 설명(說明)하기 위해 특정(特定) 단어(單語)를 사용(使用)하기도 합니다.
  • 다른 사람과 오프라인으로 대면할 때, 우리는 모든 사람을 환영(歡迎)하기 위해 노력(努力)할 것이고 다른 사람의 선호(選好) 사항(事項), 경계(警戒), 감정(感情), 전통(傳統)과 요구(要求) 사항(事項)을 의식하고 존중(尊重)할 것입니다.

2.2 - 예의(禮儀), 협력(協力), 연대(連帶), 좋은 사용자(使用者) 태도(態度)

우리는 다음과 같은 행동(行動)을 위해서 노력(努力)합니다:

  • 예의(禮義) 는 새 사용자(使用者)를 포함(包含)한 여러 사람들에게의 행동(行動)과 언어(言語) 사용(使用)에 있어서 높은 수준(水準)의 정중(鄭重)함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 협력(協力) 은 공동(共同)의 주제(主題)에 대(對)해 함께 노력(努力)하며 서로를 친절(親切)하게 도와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상호(相互) 지원(支援) 좋은 사용자(使用者) 태도(態度) 는 위키미디어 프로젝트가 생산적(生産的)이고 즐거우며 안전(安全)한 공간(空間)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積極的)으로 노력(努力)하고 위키미디어 사명(使命)을 이룩하기 위해 기여(寄與)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아래 사항(事項)을 포함(包含)하지만, 이외(以外)에도 다른 사항(事項)이 존재(存在)합니다:

  • 멘토링 및 코칭: 새 사용자(使用者)가 스스로 길을 찾고 공동체(共同體)에 참여(參與)하는 방법(方法)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연대(連帶) 의식(意識)을 보여주세요! 동료(同僚) 사용자(使用者)를 배려(配慮)하고, 그들이 도움이 필요(必要)할 때 주저(躊躇)없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주세요. 다른 사용자(使用者)가 부당(不當)한 대우(待遇)를 받고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그들을 위해 목소리를 높여 주세요.
  • 다른 기여자(寄與者)의 기여(寄與)를 알아보고 인정(認定)해 주세요! 다른 사용자(使用者)가 여러분께 준 도움에 감사(感謝)하는 생각을 가지세요. 그들의 노력(努力)을 인정(認定)하고 높게 평가(評價)해 주세요.

3 - 용납(容納)할 수 없는 행동(行動)

보편적(普遍的) 행동(行動) 강령(綱領)은 공동체(共同體) 구성원(構成員)들이 잘못된 행동(行動)과 괴롭힘의 상황(狀況)을 식별(識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目標)로 합니다. 아래의 행동(行動)들은 위키미디어 운동(運動)에서 허용(許容)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看做)됩니다.

3.1 - 괴롭힘

괴롭힘에는 사람을 위협(威脅)하거나, 감정(感情)을 자극(刺戟)하기 위한 행동(行動), 혹은(或은) 또는 합리적(合理的)으로 괴롭힘의 가능성(可能性)이 높은 것으로 간주(看做)되는 행동(行動)이 포함(包含)됩니다. 관련(關聯)된 사람들의 전(全) 세계(世界)의 문화적(文化的) 환경(環境)에서 용인(容認)할 것으로 예상(豫想)되는 선(線)을 넘어선 행동(行動)은 괴롭힘으로 간주(看做)될 수 있습니다. 괴롭힘은 정서적(情緖的)인 욕설(辱說)의 형태(形態)로 나타나는 경우(境遇)도 있는데, 특히(特히) 공동체(共同體) 내(內)에서 취약(脆弱)한 입지(立地)에 있는 사용자(使用者)를 대상(對象)으로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境遇)에는 괴롭힘 수준(水準)까지 해당(該當)되지는 않는 행동(行動)이지만, 반복(反復)되면서 괴롭힘이 될 수 있습니다. 괴롭힘의 범위(範圍)에는 다음을 포함(包含)하지만 이에 국한(局限)되지 않습니다.

  • 모욕(侮辱): 모욕(侮辱)은 이름 지칭(指稱), 고정(固定) 관념(觀念) 적용(適用)을 비롯하여 개인적(個人的) 특성(特性)에 기초하여 상대(相對)를 공격(攻擊)하는 행위(行爲)를 포함(包含)합니다. 모욕(侮辱)은 지능(知能), 외모(外貌), 민족(民族), 인종(人種), 종교(宗敎) (무교(巫敎)를 비롯), 문화(文化), 신분(身分), 성적(性的) 지향(志向), 성(性) 정체성(正體性), 성별(性別), 장애(障礙), 나이, 국적(國籍), 정치적(政治的) 소속(所屬)을 비롯한 개인(個人)의 특성(特性)을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경우(境遇)에 따라서는 반복(反復)되는 조롱(嘲弄), 비꼬는 태도(態度), 공격(攻擊) 또한 한데 묶여 모욕(侮辱)으로 간주(看做)될 수 있습니다. 설령(設令) 개별적(個別的)인 표현(表現)에는 모욕(侮辱)의 의미(意味)가 없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 성희롱(性戱弄): 명시적(明示的)으로 또는 합리적(合理的) 유추(類推)로 상대방(相對方)이 원(願)치 않아 하거나, 상황상(狀況上) 동의(同意)가 구(求)해질 수 없는 상황(狀況)에서의 성적(性的) 관심(關心) 또는 타인(他人)에 대(對)한 모든 종류(種類)의 성적(性的) 접근(接近)
  • 위협(威脅): 신체적(身體的) 폭력(暴力), 법적(法的) 조치(措置)(위협(威脅)), 불공평(不公平)한 당황감(唐慌感), 명예훼손(名譽毁損)을 운운(云云)하며 논쟁(論爭)에서 이기거나 다른 사람에게 자신(自身)이 원(願)하는 대로 행동(行動)하도록 강요(强要)하는 경우(境遇)
  • 타인(他人)에게 위해(危害)를 가(加)하는 행위(行爲): 다른 사람에게 자해(自害)나 자살(自殺)을 교사(敎唆)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第)3자(者)를 공격(攻擊)하도록 사주(使嗾)하는 행위(行爲)도 포함(包含)합니다.
  • 신상(身上)털기: 실명(失明), 직업(職業), 거주지(居住地) 및 이메일 주소(住所)를 비롯한 다른 사용자(使用者)의 개인(個人) 정보(情報)를 명시적(明示的)인 허가(許可) 없이 공개(公開)하는 행위(行爲)입니다. 최소한(最小限)의 기준(基準)으로, 본인(本人)이 온라인 상(上)에 공개(公開)되지 않기를 바라는 정보(情報)는 공개(公開)되어서는 안 됩니다. 많은 공동체(共同體)는 이러한 최소한(最小限)의 기준(基準)보다 더 높은 기준(基準)을 적용(適用)하고 있고, 설령(設令) 사용자(使用者)의 정보(情報)가 인터넷 상(上)의 다른 공간(空間)에 게시(揭示)되었다고 할지라도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내(內)에 공유(共有)되지 않았다면 공개(公開)해서는 안 됩니다.
  • 스토킹: 프로젝트 내(內)에서 특정인(特定人)을 따라다니며 감정(感情)을 자극(刺戟)하거나 방해(妨害)할 목적(目的)으로 특정인(特定人)의 활동(活動)을 비난(非難)하는 경우(境遇); 의사(意思) 소통(疏通) 및 교육등(敎育等)의 노력(努力) 후(後)에도 문제(問題)가 계속(繼續)되면 커뮤니티는 확립(確立) 된 커뮤니티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해야 합니다.
  • 트롤링: 고의적(故意的)으로 토론(討論)을 방해(妨害)하거나, 특정인(特定人)을 자극(刺戟)하기 위해 악의적(惡意的)인 글을 게시(揭示)하는 경우(境遇)

3.2 - 권력(權力), 특권(特權) 또는 영향력(影響力)의 남용(濫用)

남용(濫用)은 권력(權力), 권한(權限), 또는 공동체(共同體)에 대(對)한 영향력(影響力)을 부여(附與)받았거나 그와 유사(類似)한 위치(位置)에 있다고 여겨지는 사용자(使用者)가 다른 사용자(使用者)에 대(對)해 무례(無禮)하고 가혹(苛酷)하며 폭력적(暴力的)인 행동(行動)을 행(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키미디어 환경(環境)에서는 주로(主로) 언어적(言語的), 정신적(精神的), 심리적(心理的) 남용(濫用)을 비롯한 정서적(情緖的)인 형태(形態)로 나타나며, 때로는 동시(同時)에 괴롭힘에 해당(該當)할 수도 있습니다.

  • 고급(高級) 권한(權限) 보유자(保有者), 임원(任員) 및 직원(職員)의 직권(職權) 남용(濫用): (선출(選出)된) 프로젝트의 고급(高級) 권한(權限) 보유자(保有者)가 접근(接近) 권한(權限), 지식(知識) 또는 자원(資源)을 잘못 사용(使用)하는 등(等) 그 직권(職權)을 남용(濫用)하는 경우(境遇), 혹은(或은) 위키미디어 재단(財團)이나 가맹단체(加盟團體)[협회(協會)]의 임원(任員) 또는 직원(職員)이 다른 사용자(使用者)를 위협(威脅)·협박(脅迫)하거나 자신(自身)의 이익(利益)을 위(爲)해 행동(行動)하는 경우(境遇)
  • 경력(經歷) 및 친분(親分)의 남용(濫用): 스스로의 공동체(共同體) 내(內)에서의 지위(地位)와 평가(評價)를 다른 사용자(使用者)를 위협(威脅)하는 데에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 위키미디어 운동(運動) 내(內)에서 상당(相當)한 경험(經驗)과 친분(親分)을 쌓은 사용자(使用者)가 공격적(攻擊的)인 언행(言行)을 할 경우(境遇) 해당(該當) 사용자(使用者)와 친분(親分)이 있는 사용자(使用者)들 역시(亦是) 의도(意圖)하지 않은 위협(威脅)을 발생(發生)시킬 수 있습니다. 공동체(共同體)에 대(對)한 영향력(影響力)이 큰 사용자(使用者)는 특히(特히) 신뢰(信賴)할 수 있는 사람으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점(點)을 자신(自身)에게 동의(同意)하지 않는 사용자(使用者)를 공격(攻擊)하는 데에 남용(濫用)하여서는 안 됩니다.
  • 심리적(心理的) 조종(操縱): 악의적(惡意的)으로 다른 사용자(使用者)가 자신(自身)의 인식(認識), 감각(感覺) 또는 논쟁(論爭)에서 자신(自身)이 원(願)하는 방향(方向)으로 이해(理解)하기를 강요(强要)하는 경우(境遇)가 이에 해당(該當)합니다.

3.3 - 내용(內容) 훼손(毁損) 및 프로젝트 악용(惡用)

고의적(故意的)으로 부정확(不正確)하거나 편향(偏向)된 내용(內容)을 추가(追加)하거나, 콘텐츠의 생성(生成) (혹은(或은) 유지(維持))를 방해(妨害)하는 행위(行爲)들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아래 사항(事項)을 포함(包含)하지만, 이외(以外)에도 다른 사항(事項)이 존재(存在)합니다.

  • 다른 사용자(使用者)의 적절(適切)한 토론(討論)이나 설명(說明) 없이 반복적(反復的)으로 임의적(任意的)이거나 이유(理由)없이 내용(內容)을 삭제(削除)하는 경우(境遇)
  • 어떤 사실(事實)이나 관점(觀點)에 대(對)한 내용(內容)을 특정(特定) 해석(解釋)에 편향(偏向)되도록 체계적(體系的)으로 조작(造作)하는 경우(境遇) (이는 허위(虛僞) 정보(情報)들을 출처(出處)로 표기(表記)하거나 편집(編輯) 내용(內容)의 작성(作成) 방법(方法)을 부적절(不適切)한 방향(方向)으로 변경(變更)하는 경우(境遇)를 의미합니다.)
  • 비난(非難), 모욕(侮辱), 또는 증오감(憎惡感) 유발(誘發)을 목적(目的)으로 개인(個人) 혹은(或은) 특정(特定) 집단(集團)에게 개인적(個人的)인 신념(信念)이나, 인종(人種), 종교(宗敎), 피부색(皮膚色), 성(性) 정체성(正體性), 민족(民族), 장애(障礙), 국적(國籍) 등(等)을 바탕으로 행(行)하는 모든 형태(形態)의 혐오(嫌惡) 발언(發言)이나 차별적(差別的) 단어(單語)
  • 해(害)로운 기호(記號), 이미지, 카테고리, 태그 또는 백(白)과 사전(事典), 정보(情報) 사용(使用)의 맥락(脈絡)을 벗어난 타인(他人)을 위협(威脅)는 것과 같은 기타(其他) 종류(種類)의 콘텐츠를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 여기에는 주(週) 변화(變化) 또는 배척(排斥)을 목적(目的)으로 콘텐츠를 의도적(意圖的)으로 추가(追加)/수정(修正)하는 것이 포함(包含)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