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왼쪽에 원이 있고 그 안에 cc라는 글자가 있다. 오른쪽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reative commons)라는 문구가 있다.
설립(設立) 2001년(年) 1월(月) 15일(日) (23년(年) 전(前)) ( 2001-01-15 ) [1]
설립자(設立者) 로런스 레시그
유형(類型) 501(c)(3)
형태(形態)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04-3585301
목적(目的) "타당성(妥當性) 있는" 유연(柔軟)한 저작권(著作權) 확장(擴張)
본부(本部) 미국(美國) 캘리포니아주(캘리포니아州) 마운틴뷰
주요(主要) 인물(人物)
캐서린 스틸러 (Catherine Stihler, CEO)
소득(所得) (2018)
증가 $200만(萬) [2]
웹사이트 creativecommons .org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Creative Commons, CC )는 저작권(著作權) 의 부분적(部分的) 공유(共有)를 목적(目的)으로 2001년(年)에 설립(設立)된 비영리(非營利) 단체(團體) 이다. 이 기관(機關)은 2002년(年) 12월(月) 16일(日)에 저작권(著作權) 라이선스 인(人)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CL)를 만들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를 따르는 대표적(代表的)인 프로젝트에는 위키백과(百科) 가 있다. 위키백과(百科)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L)와 GNU 자유(自由) 문서(文書) (GFDL)의 2중(重) 라이선스를 따른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는 2001년(年) 샌프란시스코 에 본부(本部)를 두고 시작(始作)되었다. 설립자(設立者)이자 회장(會長)인 로런스 레시그 교수(敎授)는 그가 맡았던 엘드리드 대(臺) 애시크로프트 사건(事件) 에서 불거진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기 위해서 이 조직(組織)을 만들었다.

라이선스 [ 편집(編輯) ]

버전 [ 편집(編輯) ]

  • 2.0 대한민국(大韓民國) - 대한민국법(大韓民國法)을 적용(適用)하는 버전이다.
  • 2.5 - 2.0 버전에서 부분개정(部分改正)되었다.
  • 3.0 - 2007년(年) 5월(月)에 개정(改正)된 버전이다. 2.5 버전에서 전면적(全面的)으로 개정(改正)되었다.
  • 4.0 - 2013년(年) 11월(月) 25일(日)에 개정(改正)된 버전이다. 데이터베이스에도 적용(適用)할 수 있도록 개정(改正)되었다.

종류(種類) [ 편집(編輯) ]

일반적(一般的)으로 다음의 권리(權利)를 선택(選擇)하여 사용(使用)할 수 있다.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BY): 저작물(著作物)을 사용(使用)할 때에 원저작자(元著作者)를 꼭 표기(表記)해야 한다.
  • 비영리(非營利)(NC): 저작물(著作物)을 영리(營利) 목적(目的)으로 사용(使用)할 수 없다.
  • 변경(變更) 금지(禁止)(ND): 저작물(著作物)을 변경(變更)할 수 없다.
  • 동일조건(同一條件) 변경(變更) 허락(許諾)(SA): 2차(次) 저작물(著作物)을 만들 때 그 저작물(著作物)에도 원저작물(著作物)과 같은 라이선스 를 사용(使用)해야 한다.

이 중(中)에 변경(變更) 금지(禁止) 조항(條項)과 동일조건(同一條件) 변경(變更) 허락(許諾) 조항(條項)은 동시(同時)에 사용(使用)할 수 없으므로 총(總) 11가지의 라이선스 를 사용(使用)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나라에서 저작자(著作者) 표시(表示)를 기본(基本) 사항(事項)으로 채택(採擇)하고 있어 퍼블릭 도메인 과 함께 일반적(一般的)으로 다음의 7가지를 선택(選擇)할 수 있다.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BY)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비영리(非營利)(BY-NC)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비영리(非營利)-변경(變更) 금지(禁止)(BY-NC-ND)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비영리(非營利)-동일조건(同一條件) 변경(變更) 허락(許諾)(BY-NC-SA)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변경(變更) 금지(禁止)(BY-ND)
  • 저작자(著作者) 표시(標示)-동일조건(同一條件) 변경(變更) 허락(許諾)(BY-SA)(위키백과(百科) 라이선스)
  • 퍼블릭 도메인 [3] (CC0)

지역화(地域化) [ 편집(編輯)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미국(美國) 저작권(著作權) 을 염두(念頭)에 두고 개발(開發)되었다. 따라서 개별(個別) 나라의 사정(事情)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에, 이를 각(各) 나라에 맞도록 수정(修正)하는 iCommons 프로젝트를 진행(進行)하고 있다. 2008년(年) 기준(基準)으로 대한민국(大韓民國) 을 포함(包含)한 50개국(個國)에서 이 작업(作業)이 완료(完了)되었고, 아일랜드 , 요르단 등(等) 5개국(個國)에서 작업(作業)이 진행(進行) 중(中)이다 [4] .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사단법인(社團法人) 한국정보법학회(韓國情報法學會) " [5] 가 이 일을 맡아서, 대한민국(大韓民國) 법(法)에 맞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를 개발(開發)하여 발표(發表)하고 있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 맞춘 지역화(地域化)가 완료(完了)된 최신(最新) 버전은 2.0이다.다만, 대한민국(大韓民國)에 지역화(地域化)된 CCL은 2.0 버전이 이미 국제화(國際化) 버전의 3.0에서 해결(解決)된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여, 버전의 업그레이드만 없었을 뿐이라고 하였다.

최근(最近)에는 워드프로세서 한/글 2007 , 다음 블로그, 네이버 카페 등(等)에서 이용자(利用者)가 간편(簡便)하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를 사용(使用)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提供)하고 있어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로 저작권(著作權)을 표시(表示)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누리꾼 이 점차(漸次) 늘어나고 있다.

CCL 4.0 버전부터는 국제(國際) 공통(共通) 라이선스로 변경(變更)되어 개발(開發) 중(中)이다. 또한, 4.0 미만(未滿)의 버전에서는 해당(該當) 라이선스가 적용(適用)되는 지역(地域)을 명확히(明確히) 구분(區分)해야 한다. 한국어(韓國語)로 표시(標示)되었다고 해도, 단순(單純) 번역임(番歷任)과 동시(同時)에 라이선스 내용(內容)이 다른, 다른 국가(國家)의 라이선스 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