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野草의 歷史文化遺跡 踏査 :: 朝鮮開國功臣 심덕부(沈德符) 墓(靑松沈氏 4世祖)
反應型

朝鮮開國功臣 심덕부(沈德符) 墓(靑松沈氏 4世祖)

 

先賢墓地 踏査를 하다보니 이제는 안가본 墓를 가는 것 보다 다녀온 곳을 가는 境遇가 훨씬 많아졌다. 그만큼 많이 다녔다는 證據다. 東方文化大學院大學校 學友들과 放學이나 學期 中에 踏査를 하는데 반드시 가는 곳이 몇 곳 있다. 漣川踏査는 빼놓지 않고 가는 곳이다.

漣川에는 非武裝地帶에 未收 許穆先生 墓, 晋州姜氏 강회백先生 墓가 있는데 이 墓를 踏査한 後 點心 食事 後에 찾는 곳이 崇義殿, 심덕부 墓, 윤호 墓, 鄭撥將軍 墓 그리고 時間이 나면 新羅 경순왕릉을 보는 것이 거의 定例化 되었다.

이番에는 여름 放學이 아닌 5月中에 漣川을 찾았다.

자주 다녀오는 곳이라 어딘가에 踏査記를 올렸을 것으로 보고 踏査記를 안쓰는데 이番에 한番 確認해 보았더니 2013年에 올린 글이 보인다. 워낙 좋은 墓이고 이番에는 龍脈을 밟아 다녀온 곳이라 새롭게 올릴 心算으로 寫眞을 찾아봤더니 많이 不足하다. 처음 간 곳은 너무 過하다 할 程度로 寫眞을 찍는데 자주 肝곳은 大江 찍다보니 내가 願하는 寫眞이 漏落되어있다. 그래도 있는 寫眞만으로 새로 踏査記를 올린다.

風水踏査로 다니다보니 우리 祖上님 墓는 別로 안가는데 남의 門中 墓는 뻔질나게 드나드는 일이 잦은데 特히 靑松沈氏는 내가 올린 것만 해도 相當하고 이미 다녀온 곳이 많은 門中 中 한 곳이다. 이곳 심덕부 墓는 墓에서 바라보는 安山은 깨지고 망가져 있어서 큰 感興을 주지 못하지만 墓 앞쪽 安山에서 墓를 바라보는 戰警이 아주 멋지다. 다음에 가는 踏査客들은 墓域을 오르기 前에 앞쪽 논에서 墓域을 바라보면서 明堂의 기운을 느껴보시길...

심덕부先生은 朝鮮開國功臣으로 李成桂를 도와 威化島回軍, 朝鮮開國, 景福宮 建立 等 굵직굵직한 業績을 남기고 特히 崔茂宣과 함께 震怖大捷에서 倭寇를 크게 무찔렀으며 文官보다는 武裝으로 名聲을 날렸다. 官職은 左政丞을 歷任했다. 아들이 7名인데 그中 다섯째가 世宗의 國舅(國舅)이신 深穩(沈溫)先生이다. 

이곳 墓域은 玄武에서 靑龍, 白虎를 넓게 펼치고 포근하게 감싸는 아늑한 곳에 位置해서 좋은 기운을 얻는 곳이다.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本貫은 청송(靑松). 자는 득지(得之), 호는 노당(蘆堂)·허당(虛堂). 아버지는 전리정랑(典理正?) 심용(沈龍)이다.
高麗 충숙왕 복위년 말에 음직(蔭職)으로 사온직장동정(司溫直長同正)에 출사한 이후, 좌우위녹사(左右衛錄事)를 거쳐 1364년(공민왕 13) 수원부(水原府)의 수령이 되었다.
공민왕 末年에 판위위시사(判衛尉寺事), 우왕 즉위 후 우상시(右常侍)를 거쳐 우왕 원년에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승직되었다. 이어 밀직부사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와 강계도만호(江界都萬戶)·의주부원수(義州副元帥)·서해도원수(西海道元帥) 등의 요직을 거쳤다.
1378年(禑王 4) 密直司로 재임하면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서 서해도원수를 겸하여 여러 차례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다. 특히 1380년 도원수 나세(羅世)와 함께 최무선(崔茂宣)이 제조한 화포를 처음 실전에 사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1385年 門下贊成事(門下贊成事)로서 동북면상원수(東北面上元帥)를 겸하여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북청(北靑) 등지에서 동북면에 침투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 같은 해 겨울에는 하정사(賀正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고, 귀국 후에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388年의 요동 출병 때는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조민수(曺敏修)와 함께 좌군에 속하여 이성계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도와주었다. 또한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우는 폐가입진(廢假立眞)에는 이성계·정도전(鄭道傳)·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주도적인 구실을 하여 이른바 9공신 중의 한 사람이 되었다.
공양왕 卽位 直後에 문하좌시중·경기좌우도·평양도통사(門下左侍中京畿左右道平壤都統使)에 올랐으며, 이듬해 청성군충의백(靑城君忠義伯)에 봉해졌다. 그러나 같은 해 말, 비어(飛語)에 따른 무고로 인해 일시적으로 황해도 토산(兎山)에 유배되었다.
그 뒤 1391年(供養王 3) 다시 門下左侍中에 복직되고, 하정사인 왕세자 왕석(王奭)의 종사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이성계·정몽주와 함께 안사공신(安社功臣)이 되었다. 1392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조선의 개국을 맞아, 1393년(태조 2)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에 추록되며,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1397年 판문하부사, 이듬해에 영삼사사(領三司事)를 거쳐, 72세 때인 1399년(정종 1)에 좌정승(左政丞)이 되었다가 이듬해 치사하였다. 심덕부는 고려 말 정치제도의 개혁과 왜구 토벌에 업적을 남겼다. 공양왕 때에 관찰사제를 폐지하고 안렴사제(按廉使制)를 부활시킬 것, 제사(諸司)의 서무를 도당(都堂)에 직접 보고할 것 등의 개혁을 건의하였다.
朝鮮 個國 後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1394년에는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판사가 되어, 한양의 궁실과 종묘를 영건(營建)하는 일을 총괄하여 신도 건설에 큰 구실을 하였다.
한便, 심덕부에게는 일곱 名의 아들이 있었다. 다섯째 아들인 深穩(沈溫)은 世宗의 國舅(國舅)가 되었으며, 여섯째 아들인 심종(沈淙)은 太祖의 駙馬가 되었다. 王室과의 婚姻을 통하여 巨族(巨族)으로 成長하는 기틀이 이로써 이루어졌다. 처음의 諡號는 公正(恭靖)이며, 나중에 正案(定安)으로 고쳤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文化財指定 漣川郡 鄕土文化祭 第29號
文化財名稱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所在地 京畿道 漣川郡 미산면 아미리 553
管理者(連絡處) 靑松沈氏大宗會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龍脈度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遠景... 산이 포근하게 감싸고 있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앞쪽의 논은 물을 貯藏하는 湖水의 槪念으로 財物이 넉넉하다 볼 수 있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入口.... 過去에는 여기에서 곧바로 墓域으로 階段이 設置되어 있었는데 그때도 빨리 階段을 없애라고 말했던 記憶이 난다. 只今은 階段도 없애고 神道碑度 아래로 내려서 비각을 세우고... 祭閣, 帝室度 새로 지어서 찾는 踏査客들이 맘이 便하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비각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紅살門과 祠堂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에 새로 세운 神道碑... 예전에는 左右에 區 神道碑와 神 神道碑가 나란히 있었는데 舊神道碑는 아래로 내려 비각 안에 모셨고 新 神道碑는 그자리를 지키고 있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婦人과 上下葬으로 윗쪽이 심덕부 墓, 아래쪽은 計杯 仁川文氏 墓이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石物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近頃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入手刀豆... 刀豆부터 현무정까지 踏査를 進行했다. 조금 오르다가 이날 무릎이 시원찮아서 中間에 내려왔는데... 學友님들은 잘 돌아보고 내려왔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後頸... 安山이 깨져 있는데... 그나마 開墾한 밭에 只今은 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어느程度 자라면 安山이 復元될 것으로 期待된다. 내려오면서 帝室에 계신 어르신께 여쭤봤더니 安山 옆 밭은 靑松沈氏네 밭이 아니고 隣近에 있는 분의 밭인데 이곳에 나무를 植栽했다고 한다. 나는 靑松沈氏들이 밭을 開墾하고 뒤늦게 깨우쳐서 밭을 다시 復元시키는줄 알았다. 이곳은 安山을 제대로 復元해야 後孫들에게 좋은 기운이 미치는 곳이된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墓 踏査 認證샷... 이날따라 무릎이 시원찮아서 苦生했다.

▼ 淸聲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가 그려진 '長水郡度'... 심덕부는 얼굴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 그림으로 어느程度 輪廓을 잡을 수 있다. 왼쪽이 심덕부, 中央이 李成桂, 右側이 이지란이다. 이지란 얼굴은 肖像畫와 類似하다고 하며, 李成桂 얼굴은 太祖 御眞 (國寶 第317號)과는 다르다고 한다. 

群山 錦山號 市民公園에 세워진 震怖大捷 記念塔...

 

 

728x90
反應型
Posted by 異邦人野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