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코로나19에 왜 브레인 포그? 바이러스가 ‘穴腦障壁’ 뚫는다 – Sciencetimes
코로나19에 왜 브레인 포그? 바이러스가 ‘穴腦障壁’ 뚫는다

스파이크 蛋白質, 分離 損傷으로 腦 炎症 誘發

新種 코로나바이러스가 腦에서 異物質 遮斷 機能을 하는 穴腦障壁(BBB)을 通過한다는 動物 實驗 結果가 나왔다.

이는 新種 코로나바이러스가 腦에 浸透해 여러 가지 病症을 일으키거나 深化할 수 있다는 걸 示唆한다.

特히 一部 코로나 感染症(코로나19) 患者에게 ‘브레인 포그(brain fog)’ 같은 認知 障礙가 생기는 理由를 說明할 수 있다는 點에서 注目된다.

브레인 포그는 머릿속에 안개가 낀 것처럼 멍한 느낌이 持續하면서 集中力 및 記憶力 減退, 食慾 低下, 疲勞感, 憂鬱症 等이 나타나는 걸 말한다.

美國 워싱턴 醫大 硏究陣이 遂行한 이 硏究 結果는 最近 저널 ‘네이처 神經科學(Nature Neuroscience)’에 論文으로 실렸다.

21日 美國 科學振興協會(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公開된 論文 槪要 等에 따르면 新種 코로나의 細胞 感染에 重要한 役割을 하는 스파이크 蛋白質은 腦의 炎症 誘發에도 關與했다.

論文의 第1 著者인 윌리엄 뱅크스 醫學 敎授는 “스파이크 蛋白質의 誘導 作用으로 腦가 사이토카인과 炎症 誘發 副産物을 分泌하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腦의 炎症이 브레인 포그의 原因으로 指目된 건 처음이 아니다.

英國 버밍엄臺 硏究陣은 지난해 11月 腦 神經回路 炎症이 브레인 포그와 聯關돼 있다는 要旨의 論文을 發表했다.

그 後 新種 코로나가 急速히 擴散하면서 ‘사이토카인 暴風(免疫 過敏反應)’을 일으킨 重症 코로나19 患者에게 브레인 포그 等 認知 障礙가 많이 나타나 關心을 모았다.

新種 코로나가 人體에 感染하려면 스파이크 蛋白質이 細胞 表面의 ACE2 受容體와 結合해야 한다.

이런 結合 蛋白質은 바이러스에서 分離될 때 스스로 損傷을 일으키고 炎症을 誘發한다고 한다.

에이즈 바이러스(HIV)의 BBB 透過를 오래 硏究한 뱅크스 敎授는 結合 蛋白質의 이런 特性을 알고 있었다.

硏究팀은 이를 土臺로 지난 4月 스파이크 蛋白質의 BBB 透過性 硏究를 始作했다.

實驗 結果 新種 코로나의 스파이크 蛋白質은 HIV의 gp 120 蛋白質과 아주 類似한 機能을 했다.

두 蛋白質 모두 바이러스가 細胞 受容體에 달라붙을 때 손이나 팔 같은 役割을 했고, 腦의 穴腦障壁을 通過해 腦 組織에 毒性 作用을 하는 것도 비슷했다.

두 蛋白質은 또한 끈끈한 性質의 糖蛋白質(glycoprotein)이라는 共通點도 가졌다. 이는 細胞 受容體에 달라붙는 結合 蛋白質의 特徵이다.

뱅크스 敎授는 “사람들은 코로나19에 걸리면 肺 感染으로 呼吸 困難이 온다고 생각한다”라면서 “하지만 新種 코로나가 腦의 呼吸 中樞에 들어가 問題를 일으킬 수도 있다”라고 指摘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의 여러 症狀은 바이러스가 腦에 浸透했을 때 더 심해질 수 있고, 이렇게 나빠진 症狀은 매우 오래간다고 硏究팀은 强調한다.

한便 이番 硏究에 參與한 오리건 醫大의 제이컵 레이버 神經學 敎授팀의 實驗에선, 스파이크 蛋白質이 女性보다 男性의 後(嗅) 神經球(olfactory bulb)와 腎臟에서 더 빨리 運搬된다는 것도 確認됐다.

이는 女性보다 男性에게서 코로나19 重症 患者가 더 많이 나오는 것과 關聯이 있다고 科學者들은 말한다.

(1826)

뉴스레터 購讀申請
태그( Tag )

全體 댓글 (0)

科學百科事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