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한글 28問題로 나는 한글博士

2024.06.09 (일)

  • 구름많음 東豆川 27.4℃
  • 구름조금 江陵 28.6℃
  • 구름많음 서울 27.8℃
  • 구름조금 大戰 28.9℃
  • 흐림 大邱 27.1℃
  • 흐림 蔚山 21.3℃
  • 흐림 光州 27.0℃
  • 흐림 釜山 21.2℃
  • 구름많음 高敞 26.2℃
  • 구름많음 濟州 23.7℃
  • 맑음 强化 24.1℃
  • 맑음 報恩 26.9℃
  • 구름조금 錦山 27.8℃
  • 구름많음 康津郡 27.3℃
  • 흐림 慶州市 26.2℃
  • 흐림 巨濟 21.6℃
氣象廳 提供
詳細檢索
닫기

한글 28問題로 나는 한글博士

한글 基本 常識 짚어보기 0X 28問題

[韓國文化新聞 = 김슬옹 敎授]  한글은 1443 12 ( 陰曆 ) 에 創製되고 1446 9 月 上旬 ( 陰曆 ) 에 頒布되었다 . 北韓은 創製한 날을 기리고 南韓은 頒布한 날을 各各 陽曆으로 바꿔 기린다 . 그래서 北韓의 朝鮮글날 ( 訓民正音 記念日 ) 1 15 일이고 南韓의 한글날은 10 9 일이다 . 創製를 기리는 意味에서 한글에 對한 基本 常識 또는 歷史的 意味를 되새기는 퀴즈 28 問題를 마련해 보았다 .

 * 맞춘 문제 數:  25問題 以上 - 아주 뛰어남  / 20問題~24問題 -  뛰어남   / 19問題 ~ 15問題 普通  / 14 ~10問題 -  努力 必要 /  9問題 以下 - 熾烈하게 努力 必要

   
▲ 世宗은 百姓을 위해 쉽게 배울 글字를 苦悶했다. (그림 이무성 韓國畫家)

                          
한글 基本 常識 짚어보기 0X 28問題

1. 世宗이 우리말을 만들었다 .( )
2. 한글을 創製한 事實을 世宗이 처음 알린 날은 1443 12 ( 陰曆 ) 이다 . ( )
3. 한글 ( 訓民正音 ) 乙 一般 百姓들에게 頒布한 날은 1446 10 9 ( 陰曆 ) 이다 . ( )
4. 한글은 朝鮮時代 高宗의 國文 勅令이 盤浦 (1895 ) 되기 前에는 公式文字 ( 公用文字 ) 가 아니었다 . ( )
5 한글은 世宗과 集賢殿 學士들이 함께 創製했다 . ( )

6. 世宗이 1446 年에 直接 펴낸 <訓民正音> 解例本은 現在 澗松本과 尙州本 두 卷이 남아 있다 .(* 尙州本이 原本이라 認定할 境遇 ) ( )
7. 최만리 , 신석조 , 金汶 , 정창손 , 하위지 , 송처검 , 朝槿 等 일곱 名은 한글 創製 後에 反對 上疏를 올렸다 .( )
8. 朝鮮時代 兩班들은 많은 上疏를 올려 한글 使用 自體를 反對했다 .( )
9. 한글 頒布 後에 中國은 朝鮮의 訓民正音이라는 새 文字를 注目했다 . ( )
10. 한글은 朝鮮時代 때 訓民正音 이라 主로 불렀다 .( )


11. 燕山君은 한글을 無條件 못쓰게 했다 . ( )
12. 한글의 優秀性을 西洋에 처음으로 알린 이는 하멜이다 . ( )
13. 한글은 朝鮮時代 때 主로 下層民에 依해 發展했다 . ( )
14. 世宗은 漢文으로 된 <訓民正音> 解例本과 이 가운데 正音便을 한글로 옮기고 풀어낸 訓民正音 諺解本을 同時에 펴냈다. ( )
15. 한글은 世界 記錄 遺産이다 . ( )

16. 一般 公共 文書에서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한 것은 獨立新聞 (1896) 에서였다 . ( )
17. 北韓의 朝鮮글날도 10 9 일이다 . ( )
18. ‘ 한글 이란 名稱은 北韓에도 쓴다 .( )
19. ‘ 諺文 은 낮춤말로 世宗은 이 用語를 使用하지 않았다 .( )
20. 한글 子音 은 혀끝이 입天障에 닿는 모습을 본떴다 . ( )

21. 한글 子音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본떴다 . ( )
22. 母音을 만든 基本者는 ‘ ·, , 세 者이다 .( )
23. 15 世紀 訓民正音 基本者는 28 者이다 .( )
24. 현대 한글 基本者는 母音字 14 , 子音字 10 者 모두 24 者이다 .( )
25. 實際 쓰이는 현대 한글 子音字와 母音字를 모두 합치면 40 者이다 .( )

26. 현대 한글 字母로 組合할 수 있는 글字 數는 11,172 者이다 . ( )
27. 正祖 임금과 정약용 , 朴趾源 같은 偉大한 實學者들도 한글을 즐겨 썼다 .( )
28. 九雲夢 , 西浦漫筆 等 한글 小說을 남기고 한글을 나랏글로 尊重해야 한다고 强調한 이許筠균이었다 .

 

< 答과 풀이 >

1) 世宗이 우리말을 만들었다 . (X) * 도움말 : 世宗이 만든 것은 우리글 , 한글이다 .  

2) 한글을 創製한 事實을 世宗이 처음 알린 날은 1443 12 ( 陰曆 ) 이다 . (0) * 도움말 : 1443 年 陰曆 12 月에 創製되었다 . 正確한 날짜 記錄은 없다 . 大略 10 餘年 以上의 祕密 硏究 끝에 28 자를 完成한 뒤 一部 臣下들에게 알린 것이므로 무슨 特許 發明品처럼 特定 날짜를 드러내기 어려웠을 것이다 . 世宗實錄 1443 年 陰曆 12 30 일자 記錄에 이달에 임금이 親히 諺文 28 字를 만들었다 .” 라고 하였다 .  

3) 한글 ( 訓民正音 ) 乙 一般 百姓들에게 頒布한 날은 1446 10 9 ( 陰曆 ) 이다 .(X) * 도움말 : 1443 年 陰曆 9 月 上限 ( 상순 ) 에 頒布되었다 . 上旬은 1 日부터 10 日 사이를 가리킨다 . 그래서 상순의 마지막 날인 9 10 일을 基準으로 陽曆으로 바꿔 定한 날이 한글날 10 9 일이다 .  

   
▲ 訓民正音반포度 (訓民正音頒布圖)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提供

4) 한글은 朝鮮時代 高宗의 國文 勅令이 盤浦 (1895 ) 되기 前에는 公式文字 ( 公用文字 ) 가 아니었다 .(X) * 도움말 : 當然히 公式文字였다 . 다만 漢字가 主流 ( 1) 公式門者였고 한글은 非主流 ( 2) 公式文字였다 . 公式文字란 公的 主體가 公的 狀況 속에서 制度나 法律에 依해 公表되고 施行된 文字를 말한다 . 한글은 公的 主體인 賃金 ( 世宗 ) 이 만들고 나라에서 펴낸 各種 文書에 使用되었다 . 朝鮮 最高의 法典인 經國大典에서는 下級 官吏 科擧 科目으로 設定하였고 三綱行實 과 같은 國家 倫理를 한글 ( 諺文 ) 으로 풀어 百姓들에게 가르치도록 規定하였다 .  

   
▲ 朝鮮時代의 基本法典 《經國大典(經國大典)》

高宗의 國文 勅令은 非主流 公式文字로서의 한글 ( 國文 ) 을 酒類 公式文字로 宣言한 것이다 . 그런대도 高等學校 敎科書와 大多數 國語史學者들은 公式文字가 아니었다고 잘못된 知識을 가르치고 있다 . 한글을 酒類 文字로 宣言한 것은 1895 年 高宗의 國文 勅令이었다 .  

高宗은 國文 ( 한글 ) 을 本을 삼고 漢文 飜譯이 國漢文 混用文을 함께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1894 年에는 內閣에 指示하고 1895 年에는 全國에 頒布했다 . 이 勅令 自體가 漢文과 國漢文 混用으로 發表되어 穩全한 酒類 文字의 面貌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主流 文字로 宣言한 것만은 분명하다 .  

5) 한글은 世宗과 集賢殿 學士들이 함께 創製했다 . (X) * 도움말 : 共同 創製는 公開 硏究를 했다는 것인데 그 自體가 不可能하다 . 1443 年 創製 後에 한글 頒布를 위한 硏究를 集賢殿 一部 學士들과 함께 하여 < 訓民正音 > 解例本을 臣下들 ( 정인지 , 崔沆 , 박팽년 , 신숙주 , 성삼문 , 耳介 , 이선로 , 강희안 ) 과 함께 펴내다 보니 共同 創製說이 널리 퍼졌다 .  

6) 世宗이 1446 年에 直接 펴낸 訓民正音 도움말서 ( 解例本 ) 는 現在 澗松本과 尙州本 두 卷이 남아 있다 .(* 尙州本이 原本이라 認定할 境遇 ) (X) * 도움말 : 發見된 것이 두 卷이다 . 어딘가에 또 남아 있을 수 있다  

   
▲ <訓民正音> 解例本

7) 최만리 , 신석조 , 金汶 , 정창손 , 하위지 , 송처검 , 朝槿 等 일곱 名은 한글 創製 後에 反對 上疏를 올렸다 .(0) * 도움말 : 28 者의 創製는 1443 年 陰曆 12 月이고 최만리 外 6 人이 反對 上疏를 올린 것은 1444 年 陰曆 2 20 일이다 . 그러므로 創製를 反對했다기보다는 頒布를 反對했다고 보아야 한다 . 그리고 최만리 혼자 反對 上疏를 올린 것은 아니라 여섯 名과 함께 올린 連名 上疏였다 . 최만리는 當時 集賢殿 副提學으로 最高의 學者요 淸白吏로서 뛰어난 學者였다 . 이 上疏 때문에 우리는 訓民正音 創製 動機와 過程 等의 여러 問題를 仔細히 알게 되었다 . 한글을 反對했다고 해서 只今의 視角으로 나쁘게 評價해서는 안 된다 .  

8) 朝鮮時代 兩班들은 많은 上疏를 올려 한글 使用 自體를 反對했다 .(X) * 도움말 : 朝鮮時代 兩班들이 한글 自體를 反對하지는 않았다 . 1446 年 正式 頒布 以後 單 한 件의 反對 上訴도 남아 있지 않다 . 다만 2 流 文字로 徹底히 無視했다 .  

9) 한글 頒布 後에 中國은 朝鮮의 訓民正音이라는 새 文字를 注目했다 . (X) * 도움말 : 朝鮮은 새 文字 創製 事實을 中國에 積極的으로 알리지는 않았다 . 그러나 中國 漢字音 表記에 對한 두 卷의 冊을 公式 出版했다 . 東國正韻 (1448) 과 洪武正韻譯訓 (1455/ 斷種 3 ) 을 펴냈다 . 特히 洪武正韻譯訓은 8 卷이나 되는 厖大한 冊으로 明나라 太祖의 名으로 펴낸 < 洪武正韻 > 의 漢字音을 한글로 表記한 冊이다 . 이는 中國이 千 年 以上 그들의 發音을 穩全하게 表記하지 못한 것을 正確하게 表記한 그 當時 漢字 文化圈의 地殼變動과 같은 革命과 같은 冊이었다 .  

그런대도 中國 ( 明나라 ) 은 政治的으로나 學問的으로나 公式的인 反應을 보이지 않았다 . 徹底히 無視한 것이다 . 一部에서는 中國이 몰랐을 것이라고 하지만 위 冊들이 公式 出版되었으므로 아예 몰랐다고 보기는 어렵다 . 다만 위 冊들이 中國에 얼마나 傳해졌는지 알 수 없고 , 世宗이 殞命했을 때 中國에 알린 訃告 ( 世宗 32 /1450/02/20_ 世宗實錄 ) 에 羅列한 世宗 業績에 訓民正音 關聯 內容이 없고 中宗 34 年인 1539 年 世宗實錄 11 22 일자 記錄에 주양우가 한글을 中國人에게 가르쳐 준 事件이 드러나 機密 漏泄罪로 處罰을 받았다는 記錄으로 보아 아예 當時 朝鮮 訓民正音 頒布 事實을 숨겼다는 說도 있다  

   
▲ 世宗大王 御眞(세종대왕기념사업회 提供}

10) 한글은 朝鮮時代 때 訓民正音 이라 主로 불렀다 .(X) * 도움말 : ‘ 訓民正音 은 특별한 때만 쓰였고 實際로는 主로 諺文 이라 불리다가 1910 年 以後 한글 이란 名稱이 널리 퍼졌다 .  

11) 燕山君은 한글을 無條件 못쓰게 했다 . (X) * 도움말 : 16 世紀 初인 1504 年에 燕山君은 自身을 批判한 한글 壁書에 憤怒하여 한글을 배우거나 쓰지 못하게 하였으나 漢文을 한글로 飜譯한 冊은 例外로 하였고 宮女들에게 한글로 노래 歌詞를 가르치기도 했다 .  

12) 한글의 優秀性을 西洋에 처음으로 알린 이는 하멜이다 . (0) 하멜은 하멜漂流記에서 朝鮮에는 漢字 , 吏讀보다 더 뛰어난 文字 ( 諺文 ) 가 있다고 썼다 .  

文字를 쓰는 데는 세 가지 다른 方法이 있다 . 첫 番째 것은 主로 쓰는 方式인데 中國이나 日本의 글字 ( 漢字 , 括弧 引用者 ) 와 같다 . 朝廷과 관계된 公式的인 國家 文書뿐만 아니라 모든 冊들이 이런 式으로 印刷된다 . 두 番째 것 ( 吏讀 , 引用者 ) 은 네덜란드의 筆記體처럼 매우 빨리 쓰는 文字가 있는데 이 文字는 高官이나 地方官들이 布告令을 쓰거나 請願書에 對한 勸告를 덧붙일 때 쓰며 서로 便紙를 쓸 때에도 使用한다 . 一般 百姓들은 이 文字를 잘 읽을 수가 없다 . 세 番째 것은 一般 百姓들이 使用하는 文字로 배우기가 매우 쉽고 , 어떤 事物이든지 쓸 수 있다 . 前에 決코 들어 보지 못한 것도 表記할 수 있는 , 더 쉽고 더 나은 文字 表記 方法이다 . 그들은 이 글씨들을 붓으로 매우 能熟하게 빨리 쓴다 ._ 헨드릭 하멜 / 김태진 옮김 (2003). 하멜漂流記 . 서해문집 . 136-7 .”  

13) 한글은 朝鮮時代 때 主로 下層民에 依해 發展했다 . (X) * 도움말 : 下層民은 平民 以下를 가리킨다 . 朝鮮時代에 下層民은 文字生活 自體가 힘들었다 . 한글을 만든 것도 支配層이고 이를 널리 普及한 것도 支配層이었다 . 勿論 下層民과의 疏通을 前提로 만든 것이므로 下層民이 한글 創製와 發展의 契機가 된 것도 分明하다 .  

14) 世宗은 漢文으로 된 <訓民正音> 解例本과 이 가운데 正音便을 한글로 옮기고 풀어낸 訓民正音 諺解本을 同時에 펴냈다. (X ).  *도움말: 訓民正音 諺解本은 世祖가 世祖 5年(1459年)에 <月印釋譜> 첫머리에 실어 펴냈다. 單獨으로 出版된 記錄은 없다.

   
▲ 訓民正音 諺解本’引出本(道經 박웅서 作)

15 ) 한글은 世界 記錄 遺産이다 . (X) * 도움말 : 世界 記錄 遺産으로 指定된 것은 世宗이 1446 年에 펴낸 < 訓民正音 > 이란 冊으로 흔히 訓民正音 解例本 이라 부른다  

16) 一般 公共 文書에서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한 것은 獨立新聞 (1896) 에서였다 . (0) * 도움말 : 公共 媒體에서 띄어쓰기를 한 것은 獨立新聞이 처음이다 . 一般 文書가 아니라면 獨立新聞보다 20 餘年 앞서 英國人 牧師 존 로스가 1877 年에 펴낸 <Corean Primer>( 朝鮮語 첫걸음 ) 에서 띄어쓰기를 하였다 .  

   
▲ 獨立新聞社터 碑돌(왼쪽), 獨立新聞

17) 北韓에는 한글날 (10.9) 이 없다 . (0) * 도움말 : 南韓과 같은 한글날은 없다 . 代身 1 15 일을 朝鮮글날 또는 訓民正音 記念日로 삼아 기린다 . 南韓은 頒布를 基準으로 北韓은 創製를 基準으로 記念日을 삼았다 .  

18) ‘ 한글 이란 名稱은 北韓에도 쓴다 .(X) * 도움말 : ‘ 한글 이란 名稱은 分斷 以前인 1910 年以後부터 쓰이고 있지만 北韓에서는 이 用語를 南韓의 用語로 規定하고 쓰지 않는다 . 北韓에서는 朝鮮글 理라 한다 .  

19) ‘ 諺文 은 낮춤말로 世宗은 이 用語를 使用하지 않았다 .(X) * 도움말 : ‘ 諺文 은 元來는 訓民正音을 가리키는 普通 名稱이었지만 士大夫들이 깔보다 보니 낮춤말이 되었다 . 世宗도 諺文 이란 用語를 使用하였다 .  

20) 한글 子音 은 혀끝이 입天障에 닿는 모습을 본떴다 . (X) * 도움말 : < 訓民正音 > 解例本에서는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습을 본떴다고 했다 . ‘ / 等을 發音해 보면 그 모습을 正確히 알아챌 수 있다 .  

   
▲ 15世紀 訓民正音 基本 子音字 17者의 弟子 原理

21) 한글 子音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본떴다 . (0) * 도움말 : ‘ / 等을 發音해 보면 그 모습을 正確히 알아챌 수 있다 .  

22) 母音을 만든 基本者는 ‘ ·, , 세 者이다 . (0) * 도움말 : 各各 하늘 , , 사람을 본떴다 . 하늘은 陽性 , 땅은 陰性 , 사람은 中性을 뜻하는 것으르 우리말에 있는 陰陽의 기운과 陽聲母音 ( , ) 은 陽聲母音끼리 , 音聲母音 ( , ) 은 陰性母音끼리 어울리는 母音調和의 特性을 反映하기 위함이었다  

   
▲ 15世紀 基本 母音字 11者의 弟子 原理

23) 15 世紀 訓民正音 基本者는 28 者이다 . (0) * 도움말 : 子音 17 , 母音 11 者 모두 28 者였고 이 中 네 글字가 안 쓰이거나 變形되었다 .  

24) 현대 한글 基本者는 母音字 14 , 子音字 10 者 모두 24 者이다 . (X) * 도움말 : 子音字가 14 , 母音字가 10 者이다 .  

25) 實際 쓰이는 현대 한글 子音字와 母音字를 모두 합치면 40 者이다 .(0) * 도움말 : 子音字는 基本 子音字 外에 된소리글字 5 者가 더 있어 19 , 母音字는 基本 10 者 外에 11 者가 더 있어 21 , 모두 40 者이다 .  

26) 현대 한글 字母로 組合할 수 있는 글字 數는 11,172 者이다 .(0) * 도움말 : 첫소리글字 ( 초성자 ) 로 쓸 수 있는 子音字가 19 , 가운뎃소리글字 ( 中性子 ) 로 쓰이는 글字가 21 , 끝소리글字 ( 終聲子 , 받침 ) 으로 쓰일 수 있는 子音이 겹받침 包含 27 者이다 . 따라서 받침 없는 글字는 19*21=399 , 받침 있는 글字는 399 *27=10,773 者이다 . 받침 없는 글字와 받침 있는 글字를 합치면 11,172 者이다 . 實際 쓰이는 글字는 大略 2500 자 程度 된다 .  

27) 正祖 임금과 정약용 , 朴趾源 같은 偉大한 實學者들도 한글을 즐겨 썼다 .(X) * 도움말 : 正祖는 한글 便紙와 한글 綸音서 等을 남겼으나 즐겨 쓰지는 않았다 . 丁若鏞과 朴趾源은 한글 使用을 싫어하였고 使用 自體를 拒否하였다 .  

28) 九雲夢 , 西浦漫筆 等 한글 小說을 남기고 한글을 나랏글로 尊重해야 한다고 强調한 이는 許筠이었다 . (X) * 도움말 : 김만중이다 . 金萬重은 한글 小說도 남겼지만 評論集인 < 西浦漫筆 > 에서 한글을 國서 ( 나랏글 ) 로 삼아야 한다고 主張했다 . 그 當時로는 革命과 같은 主張이었다 . 勿論 許筠도 洪吉童이라는 傑作 한글小說과 한글 表記 詩를 남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