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MZ들, 밥 굶어본 적 없어… 1億원 모아봤나” [인터뷰]-國民日報

示唆 > 全體記事

“MZ들, 밥 굶어본 적 없어… 1億원 모아봤나” [인터뷰]

김경필 韓國머니트레이닝랩 代表 인터뷰
“골프는 月給 1000萬원 넘으면 해야”
“택시는 止揚, 커피는 湯沸室에서”

김경필 韓國머니트레이닝랩 代表는 ‘돈쭐남(돈으로 혼쭐내는 男子)’으로 이름을 알린 財테크 專門家다. 金 代表는 特異하게도 資産 形成에 있어 投資가 아닌 ‘消費 節制’의 重要性을 强調한다.

無理한 株式·假想貨幣 投資를 이기지 못하고 個人回生 等 經濟的 失敗에 내몰린 靑年들이 急速度로 늘어나는 狀況에서, 資産 形成의 基礎인 ‘덜 쓰는 習慣’을 통해 돈을 모으려는 젊은층이 金 代表를 찾는다.

反面 ‘한탕 大박’의 꿈 代身 꾸준하고 성실하게 돈을 모으라는 그의 助言이 時代에 맞지 않다는 反撥도 적지 않다.

金 代表는 그럼에도 ‘月 所得 1000萬원 未滿 골프 禁止’ ‘月給 6個月値 以上의 自家用 購買 禁止’ 等 消費에 對한 確固한 立場을 固守해 왔다. 지난 2日 서울 永登浦區 汝矣島公園에서 金 代表를 直接 만나 ‘MZ世代의 資産 形成 方向’에 對한 생각을 들어봤다.

김경필 머니트레이너가 2日 서울 永登浦區 汝矣島公園에서 國民日報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권현구記者

-最近 젊은층은 貯蓄보다 消費에 무게를 두는 傾向이 있다고 한다.
“가장 큰 問題는 ‘經濟觀念’이다. 現在 20·30代는 속된 말로 남의 돈이 우스워진 狀況에 있다. 父母님 世代는 節約 精神이 몸에 배어 있는데, MZ世代는 아무리 가난해도 밥을 굶어본 적이 없다. 父母들이 子息들을 이른바 ‘金쪽이’로 키우며 뭐든지 다 해줬다. 經濟 敎育 中에 第一 重要한 것이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을 區分하는 것인데, 그런 能力이 사라졌다”

-예전보다 젊은 層의 ‘서울 아파트’ 選好度 剛해졌다.
“무언가 選擇을 할 때 最高級이 아니면 안 한다는 心理가 크다. 예전엔 新婚夫婦가 所謂 말하는 ‘빨간 甓돌 빌라’ 單칸房에서 始作해 房이 두 칸인 집으로 옮기고, 세 칸인 집으로 옮기고 마지막에 아파트로 옮기는 게 人生의 기쁨이었다. 首都圈 主要 都市만 가도 30坪 아파트를 3億원臺에 求할 수 있고, 서울로 通勤이 可能하다. 그런데 只今 젊은이들은 ‘서울 아파트’가 아니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挫折感이 오는 것이다”

-億臺 年俸이 아니면 골프를 칠 수 없다고 强調해왔는데, 說明을 좀 해 달라.
“月 所得의 10% 안에서 文化·레저費를 解決해야 한다는 意味다. 골프의 境遇 經歷 20年 以上 베테랑이 아닌 以上 最小 月 100萬원이 必要하다. 필드를 안 나가고 스크린 골프만 칠 수 있겠나. 演習場 가고 레슨 받고 裝備 事故 내기 골프도 하다 보면 그렇게 된다. (月 所得 10% 레저費 基準을 適用하면) 所得이 月 1000萬원은 넘어야 골프를 칠 수 있다는 計算이 나온다”

- “熱心히 사는데 海外 旅行 程度는 갈 수 있지 않나” 같은 푸념도 있다.
“重要한 건 手中의 돈을 只今 쓸 거냐, 나중에 쓸 거냐의 問題다. 돈을 모으고 節約하는 사람들은 괴로울 것 같지만 나름대로 ‘通帳을 바라보는 재미’라는 成就感이자 기쁨이 있다. 反面 輸入車를 購買하고 海外 旅行을 가는 사람들은 氣分이 좋은 것 같다가도, ‘5年 後의 나’가 어떻게 될까 생각해보면 答이 안 나온다. (이대로라면) 10年 後에도 달라지는 게 없겠다고 생각하며 挫折感을 맛보는 거다”

- 젊었을 때만 할 수 있는 經驗도 있지 않나. 只今 時代에 海外旅行을 가지 말라는 건 苛酷하지 않나.
“ 가지 말라는 건 아니다. 月給이 300萬원이어도 갈 수 있다. 다만 旅行 資金이 年俸의 5%를 넘으면 안 된다. 1年에 200萬원씩 3年을 모으고 計劃을 세워서 가라는 거다. 特히 유럽 旅行은 一平生 1~2番 가는 것이다. 돈을 모으면서 유럽의 歷史와 文化에 對해 理解하고 가야 한다. 그저 ‘핫플레이스’라는 理由로 寫眞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무슨 意味인지도 모른다면 旅行 가는 意味가 없다”

-‘이것만 줄여도 貯蓄이 잘 되겠다’ 싶은 게 있다면.
“海外 旅行이나 輸入車 購買는 事實 指摘 해봐야 안 고쳐진다. 代身 過消費가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實際로는 過消費인 것을 줄이면 달라지는 게 있다. 커피 한 盞은 過消費가 아니지만, 하루에 3盞씩 마시는 건 過消費다. 基本料金 나올 距離는 택시 타지 말고, 外食 代身 構內食堂을 가라. 1年에 500萬원은 더 모인다”

-‘貯蓄率 0% 世代’가 온다는 얘기마저 나오는데.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는 趨勢다. 300萬원 벌면서 500萬원을 쓰는 事例도 많다. 信用카드를 쓴다는 것은 未來의 내게 돈을 빌리는 것이다. 特히 信用貸出은 月給의 3個月値 以上을 받으면 거의 못 갚는다. 實際 20·30 世代 個人回生 申請者 數가 前年 對比 40% 以上 늘었고, 信用不良者度 24萬名이나 된다. ‘삼포世代’가 擴大되면서 ‘에라 모르겠다’는 心理가 커진 탓도 있다”

-‘1億원을 모아보라’는 助言을 자주 强調한다.
“假令 5年 안에 1億원을 모으려고 한다면 自己管理가 必須다. 술, 담배, 遊興에 찌든 사람이 이걸 할 수 있겠나. 目標를 가진 瞬間 人生에 對한 態度가 바뀐다. 또 結婚, 住宅請約, 創業, 投資 等 다양한 機會에 對한 選擇肢가 생긴다. ‘1億원 모으면 뭐가 달라지는데요’라고 묻는 사람들의 99%는 이 돈을 모아본 적이 없다. 이렇게 비꼬듯이 疑心하지 말고 一旦 만들어 봐라. 많은 變化가 생길 것이다”

김지훈 記者 germany@kmib.co.kr
김효빈 인턴記者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 國民日報(www.kmib.co.kr) , 無斷轉載, 蒐集, 再配布 및 AI學習 利用 禁止

국민일보 신문구독
X 페이스북 카카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