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비하인드컷

半 트럼프 칸 招請作 論難

中央日報

入力

紙綿보기

綜合 25面

나원鄭 記者 中央日報 記者
나원정 문화부 기자

나원鄭 文化部 記者

華麗한 스타들의 祝祭 칸國際映畫祭度 誕生 背景은 政治的이었다. 世界 最初 映畫祭인 베니스映畫祭가 1930年代 이탈리아 파시즘 政權의 宣傳道具로 轉落하자, 프랑스 政府가 그 對抗馬로 出帆시킨 게 칸映畫祭다. 요즘도 反獨裁 및 自由·人權 支持 招請作이 脚光받는다.

最近 開幕한 77回 칸映畫祭에선 다시 ‘反 파시즘’李 言及됐다. 問題의 映畫는 올해 黃金棕櫚賞 候補로 招請된 ‘어프렌티스’(寫眞). 도널드 트럼프 前 美國 大統領이 1980年代 不動産 事業家로 急成長한 時期를 다뤘다는 것 外에 仔細한 情報가 없던 映畫다. 20日(現地 時間) 월드프리미어 上映 直後 美國 大統領 選擧 變數로 떠올랐다.

비하인드컷

비하인드컷

버라이어티는 “트럼프에 關한 不快한 場面이 가득한 映畫”라고, 더랩은 “오래된 情報를 떠먹이는 밋밋한 映畫”라 酷評했지만, 上映 直後 8分間 暴發的인 起立拍手가 나왔다. ‘고작 映畫 한 篇’일 수 있지만, 口舌에 올랐던 行脚들을 스크린에 再刻印한 效果가 衝擊的이란 反應이다. 劇中 트럼프가 當時 夫人 이바나를 性暴行한 것으로 描寫한 場面이 한 例다. 콘 로이를 ‘멘토’삼아 手腕家가 된 以後 트럼프의 다이어트藥 中毒, 脂肪吸入手術 場面에선 客席 歎息까지 나왔단다. 트럼프의 側近이 映畫 意圖를 모르고 投資했다가 怒發大發했다는 報道도 나왔다.

演出을 맡은 이란系 덴마크 監督 알리 압바市는 盲目的 信奉·嫌惡를 警戒해왔다. 前作 ‘성스러운 거미’에선 自國의 이슬람 文化를 목숨 걸고 批判했다. 映畫로 트럼프를 狙擊한 理由를 그는 現地에서 이렇게 밝혔다. “파시즘 물결을 다루는 좋은 은유적 方法은 없다. 지저분하고 陳腐한 方法 뿐이다.” 다시, 映畫가 政治 武器가 됐다. 올가을 美 大選의 伏兵이 登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