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赤字의 詛呪’ 걸린 그때…짐싸서 海外 간 代表님 勝負手

  • 카드 發行 一時 2024.05.02

Today’s Interview
돈 벌기도 前에 海外로 떠난 創業者
당근 김용현 代表

‘眞짜 돈 버는 것엔 別 關心이 없나? 돈 欲心이 없는 건가?’
中古去來 플랫폼 당근 共同創業者인 김용현 代表와 인터뷰하는 내내 든 疑問. 單純히 企業 價値 3兆원 以上, 月刊 活性 利用者數(MAU) 1900萬 名을 가진 유니콘 創業者가 名品時計 代身 中高가 5萬원(당근 앱 基準)에 살 수 있는 電子時計를 차고 있어서는 아니었다. 去來 手數料를 받지 않는 당근은 創業 以後 내내 ‘돈은 벌 수 있나’란 市場의 憂慮를 꼬리票처럼 달고 다녔다. 이날도 金 代表는 돈 번 이야기보다, 돈 쓸 이야기(投資)에 더 많은 時間을 썼다. “收益 모델에도 關心이 많다. 돈을 벌어야 한다”면서도, 뒤에 붙는 말은 “그래야 글로벌 擴張을 할 수 있으니까”였다. “當分間 國內에서 돈 벌어 글로벌에 投資하는 狀況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당근은 持續 可能性조차 疑心받던 때(2019年 11月) 英國에 進出했다. 職員 數 50名이 채 안 됐었다. 赤字를 면치 못하던 2022年엔 아예 金 代表가 짐 싸들고 캐나다로 떠났다. 당근 本社가 첫 黑字를 낸 건 지난해의 일. 이제 막 國內에서 돈을 벌기 始作한 것이다. 그런데 金 代表는 “글로벌 黑字 轉換은 10年, 어쩌면 더 걸릴 수도 있다. 合理的 計算으론 答 안나오는 挑戰”이라고 했다. 泰然하게. 하지만 “成功하면 只今 하는 廣告 모델만으로도 賣出 10倍 以上을 할 수 있다. 三星·현대가 처음 글로벌에 投資했을 때도 ‘미친짓’처럼 보였겠지만 오너 意志로 해냈다”고도 말했다. 오래 걸리겠지만, ‘어느 程度 길은 찾은 것 같다’는 自信感을 보인 것이다. 당근은 왜 只今, 글로벌에 목숨을 걸까. 三星·현대를 보고 그리는 당근의 꿈, 現實性은 있을까.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金 代表와의 인터뷰는 지난달 23日 서울 瑞草區 당근 本社에서 畫像으로 進行했다. 그는 1年에 한 番만 韓國에 온다고 했다.

??目次

1. 돈 벌기도 前에 글로벌?
2. 글로벌 당근, 現在 點數는?
3. 당근의 오늘과 來日

오혜정 디자이너

오혜정 디자이너

1. 돈 벌기도 前에 글로벌?

돈을 못 벌어 ‘플랫폼의 詛呪’란 말까지 듣던 당근은 지난해 첫 黑字를 내며 實力을 立證했다. 이쯤 되면 安定을 追求할 법한데 김용현 代表의 視線은 ‘새로운 挑戰’에 쏠려 있다. 글로벌 앱 ‘캐롯(Karrot)’의 成功. 海外事業을 위해 家族까지 모두 데리고 韓國을 떠난 創業者는 2年 넘게 돌아오지 않고 있다. 國內에서야 ‘國民앱’ 소리를 듣지만, 드넓은 北美 땅에서 中古 直去來 서비스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왜 돌아오지 않을까? 直接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