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歷史 속의 人物] `나주역 事件` 主役 박준채 - 每日新聞
매일신문

[歷史 속의 人物] '나주역 事件' 主役 박준채

1929年 오늘, 光州를 떠난 通學 列車가 나주역에 到着했다. 列車에서 내린 日本人 男學生이 朝鮮人 女學生을 戱弄하자, 女學生의 四寸 동생 박준채(朴準埰)가 抗議하면서 朝鮮과 日本 學生들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 當時 現場에 있던 學生 間의 牌싸움으로 번진 이 事件은 結局 나흘 뒤인 11月 3日 光州에서 學生들의 示威로 번졌다. 이날 示威는 全國 194個校에서 5千400餘 名의 學生이 參加, 3'1運動 以後 最大의 抗日 運動으로 發展했다.

愛國志士 박준채는 나주역 事件으로 광주고보에서 退學당한 뒤 3個月間 獄苦를 치르기도 했다. 以後 日本으로 건너가 와세다대에서 經濟學을 專攻한 뒤 光州로 돌아와 1960年代 初부터 造船臺 敎授로 在職, 法政大學長과 大學院長 等을 歷任했다. 2001年 87歲로 世上을 뜰 때까지 '11月 3日'의 뜨거웠던 가슴을 恒常 간직했던 그는 1980年 造船臺 敎授들의 時局良心 宣言에도 關與하는 等 恒常 自身의 뜻을 굽히지 않고 信念을 지켜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抗日運動의 功績을 인정받아 政府로부터 國民勳章 석류장(1988年)과 建國訓長 愛族章(1990年)을 받았다.

1953年 '學生의 날'로 制定된 11月 3日은 維新政權 때인 74年 廢止됐다가 84年 復活한 後 2006年 11月 國家記念日人 '學生獨立運動記念日'로 制定됐다. 하지만 '學生의 날'은 그날의 뜨거움은 사라진 채 달曆 속에서만 남아 있는 記念日로 轉落했다.

最新 記事

많이 본 뉴스

日刊
週間
月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