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배터리데이 2024]엔켐, 2026年까지 電解液 生産能力 2倍 擴大 “世界 1位 挑戰” - 電子新聞

[배터리데이 2024]엔켐, 2026年까지 電解液 生産能力 2倍 擴大 “世界 1位 挑戰”

전자신문이 주최한 '배터리데이 2024'가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양호석 엔켐 기술연구소 부사장이 '엔켐의 R&D 및 중장기 사업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enws.com
電子新聞이 主催한 '배터리데이 2024'가 23日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羊虎石 엔켐 技術硏究所 副社長이 '엔켐의 R&D 및 中長期 事業 戰略'을 主題로 發表하고 있다. 김민수記者 mskim@etenws.com

엔켐이 2~3年 안에 二次電池 電解液 市場 世界 1位를 達成한다는 目標를 세웠다. 이를 爲해 2026年까지 電解液 生産 能力을 2倍 擴大할 計劃이다. 原材料 內在化와 硏究開發(R&D)을 통한 新製品 포트폴리오 擴大로, 顧客 底邊을 넓힐 方針이다.

羊虎石 엔켐 最高技術責任者(CTO)는 23日 電子新聞 主催 배터리데이 2024에서 會社 中長期 事業 및 R&D 事業 戰略을 公開했다. 量 CTO는 “電解液 生産能力을 올해 80萬톤에서 來年 140萬톤, 2026年까지 160萬톤 水準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二次電池 核心 市場인 유럽과 美國을 中心으로 投資를 集中할 豫定”이라고 밝혔다.

電解液은 배터리에서 리튬이온을 移動하는 媒介體로, 二次電池 必須 素材다. 價格 競爭力을 앞세운 中國 電解液 企業에 對應, 엔켐은 最近 △生産 基地의 글로벌化 △原材料 垂直 系列化 △顧客 底邊 擴大 △R&D 强化 等 4大 事業 戰略을 樹立했다.

于先 世界 最大 規模의 電解液 生産 能力을 確保하는 게 目標다. 現在 電解液 業界 1位인 中國 틴츠는 生産 能力이 約 100萬톤으로 推定된다. 엔켐은 韓國 뿐 아니라 美國·유럽·中國 等 二次電池 核心 市長에 生産 據點을 마련, 電解液 供給 力量 優位를 차지할 計劃이다.

量 CTO은 “生産 基地 글로벌化로 現地 競爭社와 同等하거나 그 以上의 競爭力을 確保할 것”이라며 “該當 地域의 二次電池 製造業體(顧客社) 要求에도 積極 對應할 方針”이라고 밝혔다.

電解液 材料 垂直 系列化度 加速化한다. 電解液 核心 原料인 리튬鹽과 溶媒(솔벤트) 等을 內在化해 價格 競爭力을 確保하고 供給 體系를 安定化하려는 試圖다. 現在 새만금에 짓고 있는 리튬鹽 工場도 이같은 戰略의 一環이다.

量 CTO는 “直接 生産이나 北美·유럽의 主要 리튬鹽 및 溶媒 業體와 조인트벤처(JV)를 設立해 供給網을 擴大하는 方案을 檢討 中”이라고 敷衍했다.

이같은 戰略은 美國 인플레이션減縮法(IRA)에도 對應, 電解液 原料 脫(脫) 中國化를 노리는 北美 顧客 要求에 副應할 것으로 觀測된다.

엔켐은 技術 革新에도 投資를 强化할 計劃이다. 旣存 韓國·中國 뿐 아니라 美國과 유럽 等에서도 R&D 據點 마련을 推進하고 있다.

量 CTO는 “最近 二次電池 最大 이슈는 에너지 密度와 低費用”이라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新素材를 開發하고 性能을 高度化하기 위해 R&D 人力과 인프라를 擴大하겠다”고 强調했다.

권동준 記者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