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잠잘때 腦 老廢物 淸掃? “딱히 그렇지 않아” :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잠잘때 腦 老廢物 淸掃? “딱히 그렇지 않아”

統合檢索

잠잘때 腦 老廢物 淸掃? “딱히 그렇지 않아”

뇌에 있는 독소의 제거 속도가 수면 상태에서 오히려 감소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腦에 있는 毒素의 除去 速度가 睡眠 狀態에서 오히려 減少한다는 事實이 發見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잠을 잘 때 우리 몸은 腦의 老廢物을 더 活潑히 '淸掃'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最近 英國 硏究팀이 腦에 있는 毒素의 除去 速度가 睡眠 狀態에서 오히려 減少한다는 事實을 發見해 旣存 通念과 反對의 結果를 提示했다.


니콜라스 프랭크스 英國 임페리얼칼리지런던 生命科學部 敎授팀은 쥐 硏究를 통해 腦의 代謝産物과 毒素 等이 깨어있을 때보다 睡眠이나 痲醉 中에 더 느리게 除去된다는 事實을 밝혀내고 硏究結果를 13日(現地時間) 國際學術誌 '네이처 神經科學'에 公開했다.


硏究팀은 깨어있을 때와 水面 또는 痲醉 狀態의 쥐 腦에서 體液의 흐름을 觀察했다. 螢光 染料를 腦의 꼬리皮質(CPu)에 注入하고 染料가 前頭葉 皮質에 到達하는 過程을 지켜본 뒤 腦에서 染料가 除去되는 速度를 測定했다.


測定 結果 깨어 있는 쥐와 比較해 睡眠 中인 쥐는 染料 除去率이 約 30% 낮았다. 痲醉 狀態의 쥐는 除去率이 50% 程度 減少했다. 水面이나 痲醉 中에 腦를 淸掃하는 速度가 훨씬 낮게 나타난 것이다.


프랭크스 敎授는 "우리가 잠을 자는 主要 理由 中 하나가 '腦 淸掃'라고 생각했지만 正反對의 結果가 나와 놀랐다"고 말했다. 水面은 모든 哺乳類가 共有하는 行動이기 때문에 硏究 結果는 人間에게도 適用될 것으로 豫想된다.


이番 硏究는 癡呆와 睡眠 不足의 聯關性에도 새로운 視角을 提示했다. 旣存 一部 硏究는 水面이 不足하면 腦의 毒素가 效果的으로 除去되지 않아 癡呆를 誘發할 수 있다는 假說을 세웠다.

 

硏究의 共同 首席 著者인 빌 위스덴 英國 임페리얼칼리지런던 生命科學部 敎授는 "睡眠 障礙는 癡呆를 앓는 사람들이 흔히 經驗하는 症狀이지만 癡呆의 結果인지 癡呆의 原動力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며 "睡眠은 毒素 除去 以外의 다른 理由로 癡呆 危險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說明했다.


硏究팀은 "깨어 있고 活動的으로 運動을 하면 腦의 毒素를 더 效率的으로 除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잠을 자는 理由에 對한 많은 理論이 있다"며 "毒素 除去가 核心的인 理由는 아닐 수 있지만 잠이 重要하다는 것은 論爭의 餘地가 없다"고 傳했다.

 

關聯 태그 뉴스

이 記事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記事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科學技術과 關聯된 分野에서 紹介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告發 素材 等이 있으면 躊躇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提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