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의 地質遺産 分布와 價値評價: 全羅卷 - 巖石學會誌 - 韓國巖石學會 : 論文 - DBpia 메뉴 건너뛰기
.. 內書齋 .. 알림
所屬 機關/學校 引證
引證 하면 論文, 學術資料 等을  無料로 閱覽 할 수 있어요.
韓國大學校, 누리自動車, 市立圖書館 等 나의 機關을 確認해보세요
(國內 大學 90% 以上 購讀 中)
로그인 會員加入 顧客센터

主題分類

定氣購讀(個人)

所屬 機關이 없으신 境遇, 個人 定氣購讀을 하시면 低廉하게
論文을 無制限 閱覽 利用할 수 있어요.

會員惠澤

로그인 會員이 가져갈 수 있는 惠澤들을 確認하고 利用하세요.

아카루트

學術硏究/團體支援/敎育 等 硏究者 活動을 持續하도록 DBpia가 支援하고 있어요.

영문矯正

英文 論文 作成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英文 矯正 서비스를
支援하고 있어요.

顧客센터 提携問議

...

저널情報

著者情報

표지
이용수
內書齋
1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이 論文의 硏究 히스토리 (4)

草綠·키워드

誤謬提報하기
最近 脂質遺産의 保存에 對한 社會的 認識이 擴散되고, 脂質公園과 같은 다양한 制度的 裝置가 마련됨에 따라, 脂質遺産의 發掘, 價値評價, 體系的인 保存 그리고 管理 및 活用을 위한 努力이 要求되고 있다. 이番 硏究에서는 全羅權을 對象으로 地質遺産 發掘, 價値評價 및 等級化, DB 構築을 實施하였으며, 그 結果를 바탕으로 國家脂質公園 有望 候補地를 提案하였다. 脂質遺産의 發掘은 文獻調査를 통해 總 325個의 脂質遺産 調査對象 目錄을 作成하고, 이들 中 地質學的 價値가 높은 158個를 選定하여 詳細한 野外調査와 價値評價를 實施하였다. 各 地質遺産의 價値評價는 本質的 價値, 附隨的 價値, 保存 및 管理의 세 項目으로 區分하여 實施하였다. 本質的 價値는 다시 學術 및 敎育的 價値(代表性, 稀少性, 多樣性, 典型性, 再現性, 特異性)와 地形 및 景觀的 價値(規模, 自然性, 審美性)로, 附隨的 價値는 機能的 價値, 經濟的 價値 그리고 歷史 및 文化的 價値로 各各 細分하여 評價하였다. 保存 및 管理分野는 接近性, 便宜 및 防護施設, 管理現況 項目에 對해 評價하였다. 脂質遺産의 管理等級은 本質的 價値의 點數를 基準으로 5段階로 區分하였다. 發掘된 脂質遺産을 類型別로 살펴보면, 地質學的 特徵을 가진 遺産이 73個, 地形學的 特徵을 가진 遺産이 42個, 兩쪽 모두를 가진 複合遺産이 42個가 發掘되었다. 全羅卷 脂質遺産들의 價値評價 및 等級化 結果, 世界級 保護對象인 I 等級은 12個, 國家級 保護對象인 II 等級은 39個, 國家指定 管理對象人 III 等級은 52個, 管理目錄 登錄對象인 IV 等級은 34個, 마지막으로 目錄 作成對象人 V 等級은 21個로 各各 나타났다. 以上의 脂質遺産 詳細 記載와 價値評價 및 等級化 結果들은 Arc-GIS를 基盤으로 한 DB로 構築하였으며, 脂質遺産의 等級과 分布를 바탕으로 ‘智異山 및 蟾津江 流域圈(求禮, 光陽, 南原)’과 ‘全南 南海岸圈(海南, 珍島, 高興, 寶城)’의 두 곳을 脂質公園 有望候補地로 提案하였다.

Recently planification and effort for management, assessment and discovery of geological heritagesare being increasingly demanded with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geopark, as their preservation is asked socially. In this study, we discovered geological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and then performed assessment of the value and grading of them and finally suggested a promising and suitable site for the National Geopark. A total of 325 geological heritages are list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n detailed description in field and assessment of the value for selected 158 geoheritages are completed. The assessment items are categorized into intrinsic value, subsidiary value, and preservation/management part. The intrinsic value is subdivided into scientific/educational value, composed of representativeness, rarity, geodiversity, typicality, reproducibility, and particularity, and geomorphological/landscape value composed of scale, naturality (integrity), scenery (aesthetic value). Also, subsidiary value consist of 7 subsections of soil function, ecological function, tourism value, geological resource, historical value, folk tale or legend and symbolic value, and accessibility, convenient facility (infrastructure), management condition (legal protection) is evaluated in preservation/management part. The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subdivided into three types: 73 geological heritages, 42 geomorphological heritages, and 42 composite heritages. Based on points acquired in intrinsic value, all geological heritages are graded Class-I to -V. As a result, numbers of geoheritage belong to Class-I (protection at world level), -II (protection at national level), -III (nationdesignated management), -IV (involved management list), -V (candidate management list) are 12, 39, 52, 34, 21, respectively. Finally, we construct database based on Arc-GIS with all informations for each geological heritage and suggest three promising and suitable sites, ‘Jirisan-Seomjingang Area’ and ‘south coast area of Jeolla Province’, for the National Geopark.

目次

要約
Abstract
序言
地形 및 地質
脂質遺産 發掘
脂質遺産 價値評價와 데이터베이스(DB) 構築
討議 및 堤堰
References

參考文獻 (33)

參考文獻 申請

함께 읽어보면 좋을 論文

論文 類似度에 따라 DBpia 가 推薦하는 論文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聯關 論文을 確認해보세요!

이 論文의 著者 情報

이 論文과 함께 利用한 論文

最近 본 資料

全體보기

댓글 (0)

0

UCI(KEPA) : I410-ECN-0101-2020-459-00024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