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fault at Seooe site,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 地質學會誌 - 大寒地質學會 : 論文 - DBpia 메뉴 건너뛰기
.. 內書齋 .. 알림
所屬 機關/學校 引證
引證 하면 論文, 學術資料 等을  無料로 閱覽 할 수 있어요.
韓國大學校, 누리自動車, 市立圖書館 等 나의 機關을 確認해보세요
(國內 大學 90% 以上 購讀 中)
로그인 會員加入 顧客센터

主題分類

定氣購讀(個人)

所屬 機關이 없으신 境遇, 個人 定氣購讀을 하시면 低廉하게
論文을 無制限 閱覽 利用할 수 있어요.

會員惠澤

로그인 會員이 가져갈 수 있는 惠澤들을 確認하고 利用하세요.

아카루트

學術硏究/團體支援/敎育 等 硏究者 活動을 持續하도록 DBpia가 支援하고 있어요.

영문矯正

英文 論文 作成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英文 矯正 서비스를
支援하고 있어요.

顧客센터 提携問議

...

저널情報

著者情報

표지
이용수
內書齋
1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草綠·키워드

誤謬提報하기
第4期 書外單層 노두는 慶南 固城郡 고성읍 서외리 道路工事現場 切開赦免에서 確認되었으며, 慶南 南海圈에서 最初로 發見된 第4期 單層이다. 이番 硏究에서는 確認된 單層의 幾何와 運動學的 特性을 包含하는 諸般特性을 提示하고, 運動時期와 斷層運動에 隨伴된 地震規模에 對해 討議하였다. 南-北 方向의 이 斷層은 白堊紀 高聲層과 그 上位의 第4基層을 切斷하는 驛移動性 單層으로 單層활面들에서 確認되는 朝鮮과 單層 相反에서 確認되는 小規模 褶曲構造가 모두 一貫되게 東-西 方向의 最大水平應力을 指示한다. OSL 連帶測定을 통해 얻어진 第4期層 下部의 連帶는 第4基層의 上部까지 切斷하고 있는 單層의 최후기 單層活動이 적어도 61~60 ka 以後임을 指示한다. 上部로 갈수록 傾斜角이 얕아지는 株 斷層面의 아치형 幾何, 相反 同鄕의 衝上 幾何를 보이는 斷層角礫臺, 單層손相對 內에서 確認되는 高角의 남-北 方向 節理와 葉層이 發達한 層間에서 認知되는 驛移動性 運動感覺은 이 斷層이 第4基의 東-西 壓縮應力 동안 旣存 單層의 再活에 依해 形成되었음을 指示한다. 겉보기 垂直卞胃와 赦免 및 單層의 姿勢를 利用하여 計算된 單層의 實際 最小 垂直卞胃와 實際變位量은 各各 1.61m와 2.17 m이며, 이 變位를 한 番의 地震活動에 依한 것이라 假定하고 最大變位-모멘트 地震規模의 經驗式에 適用하면 모멘트 地震規模(M w )는 6.7 程度로 推定할 수 있다.

The Quaternary Seooe fault outcrop observed in cut slope of road construction, Seooe-ri, Goseong-gun, Gyeongsangnam-do, is the first discovered Quaternary fault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Gyeongnam. This study presents its structural features, such as geometry and kinematics, and discusses the movement timing and associated earthquake magnitude. The N-S striking Quaternary fault shows a top-to-the-east thrust geometry and cuts the Cretaceous Goseong Formation and overlying Quaternary deposits, and its slip senses on the slickensides and minor folds in the hanging wall consistently indicate an E-W compressional stress. Age of the lower part of the Quaternary deposits obtained by OSL dating indicates that the last movement of the fault, which cuts the upper part of the Quaternary deposits, occurred after 61~60 ka. The arcuate geometry of the main fault surface showing a decreasing dip-angle to the top, the reversely offset of the fault breccia zone, and the reverse-sense indicators observed on N-S striking high-angle shear fractures and along laminated siltstone layers in the fault damage zone indicate that the fault was formed by the reactivation of pre-existing fault under E-W compressional stress during the Quaternary. Based on the apparent vertical displacement of fault and the attitudes of cut slope and main fault surface, its minimal vertical and net displacements are calculated as 1.61 m and 2.17 m, respectively. When the values are applied to the empirical equation of maximum displacement - moment earthquake magnitude (M w ), the magnitude is estimated to reach about 6.7, assuming that this displacement was due to one seismic event.

目次

要約
ABSTRACT
1. 序言
2. 地質學的 背景
3. 地質構造要素
4. 第4基層의 OSL 連帶測定
5. 討議
6. 結論
REFERENCES

參考文獻 (51)

參考文獻 申請

함께 읽어보면 좋을 論文

論文 類似度에 따라 DBpia 가 推薦하는 論文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聯關 論文을 確認해보세요!

이 論文의 著者 情報

이 論文과 함께 利用한 論文

最近 본 資料

全體보기

댓글 (0)

0

UCI(KEPA) : I410-ECN-0101-2017-450-002258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