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The value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s geosites and geoheritages: a case study focused on geotrail - 地質學會誌 - 大寒地質學會 : 論文 - DBpia 메뉴 건너뛰기
.. 內書齋 .. 알림
所屬 機關/學校 引證
引證 하면 論文, 學術資料 等을  無料로 閱覽 할 수 있어요.
韓國大學校, 누리自動車, 市立圖書館 等 나의 機關을 確認해보세요
(國內 大學 90% 以上 購讀 中)
로그인 會員加入 顧客센터

主題分類

定氣購讀(個人)

所屬 機關이 없으신 境遇, 個人 定氣購讀을 하시면 低廉하게
論文을 無制限 閱覽 利用할 수 있어요.

會員惠澤

로그인 會員이 가져갈 수 있는 惠澤들을 確認하고 利用하세요.

아카루트

學術硏究/團體支援/敎育 等 硏究者 活動을 持續하도록 DBpia가 支援하고 있어요.

영문矯正

英文 論文 作成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英文 矯正 서비스를
支援하고 있어요.

顧客센터 提携問議

脂質探訪路를 中心으로

...

저널情報

著者情報

표지
이용수
內書齋
5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草綠·키워드

誤謬提報하기
脂質公園은 地球科學的 重要性 및 優秀한 景觀을 가지는 地域을 保全하고 活用하기 위한 制度로서, 脂質名所의 保護와 同時에 이들을 敎育 및 觀光産業 等에 活用하여 地域住民의 所得向上과 地域의 經濟發展을 圖謀하고자 하는 代案的 公園制度이다. 釜山廣域市는 12곳의 脂質名所를 選定하여 2013年 11月 國家脂質公園으로 認證받았다. 이番 硏究에서는 釜山 國家脂質公園의 脂質名所 12곳 中 脂質探訪路가 開發되어 있는 洛東江 河口, 松島半島, 太宗臺, 五六島, 二妓臺 그리고 금정산에 位置한 脂質遺産을 詳細히 調査하고, 地質公園으로서의 價値와 意味에 對해 考察하였다. 國內 最大 規模의 現生 三角洲 地形인 洛東江 河口 脂質名所는 多樣한 沿岸 堆積 地形을 觀察할 수 있어, 學術的, 敎育的 價値가 매우 높다. 당겨熱淋型 構造盆地人 多大浦盆地에 位置하는 松島半島 地質名所는 白堊紀末 韓半島 南東部의 知覺變形社, 堆積環境, 地球照環境 等을 硏究하는 데 重要한 學術的 價値를 지니는 獨特하고 稀貴한 脂質遺産들이 散在해 있다. 太宗臺 脂質名所에는 다양한 海岸浸蝕과 隆起地形이 秀麗한 景觀을 이루고 있어 觀光資源으로의 價値가 높으며, 다양한 地質構造와 堆積構造들 또한 觀察된다. 오륙도와 二妓臺 脂質名所에는 白堊紀말의 激烈한 유천層群 火山活動을 보여주는 다양한 地質記錄들이 海岸浸蝕 地形과 어우러져 빼어난 景觀을 形成하고 있으며, 山地에 位置한 금정산 脂質名所에서는 秀麗한 花崗巖 風化 地形들이 나타난다. 이처럼 各 地質名所는 卓越한 脂質多樣性을 지니고 있으며, 學術論文 및 敎科書 揭載와 學術踏査지로의 利用 等을 통해 多角的으로 學術的 價値가 立證되어 있다. 또한, 이들 脂質名所는 大衆交通을 통해 쉽게 接近할 수 있으며, 다양한 敎育?觀光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는 等 都市型 脂質公園의 利點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大衆을 對象으로 地球科學 敎育이 可能해 脂質遺産에 對한 關心을 增大시킴은 勿論, 脂質遺産 分布地域 住民들에게는 脂質遺産의 價値와 保存에 對한 認識을 增大시켜 地域 經濟의 活性化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判斷된다. 또한, 多邊化된 觀光需要를 충족시킬 수 있는 釜山 國家脂質公園은 脂質遺産의 自然私的 價値와 有用性을 매우 效果的으로 傳達할 수 있는 最適의 場所임은 勿論, 大都市에 位置하고 있어 都市型 脂質公園의 先導的 모델이 될 것으로 期待된다.

Geopark is a new system for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conservation, education, and tourism that is an area of scientific importance for the earth sciences and that has outstanding scenic values. The Busan National Geopark, composed of 12 geosites, was certificat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in November, 2013. In this study, we discussed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park based on the study of some geoheritages, especially focused on geotrail courses including the Nakdonggang estuary, Songdo peninsula, Taejongdae, Oryukdo-Igidae, and Geumjeongsan. Various estuary landforms and sedimentary structures are scattered all over the Nakdonggang estuary geosite, which is the nation’s largest present delta. The Songdo peninsula geosite, located in the Dadaepo Basin which is a pull-apart basin, provides a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tectonic setting, deformation histo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SE Korea in the Late Cretaceous. The Taejongdae geosite has a variety of coastal erosion and uplift landforms with a high tourism value. Furthermore, geological structures and sedimentary features with a high scientific and educational value are discovered in the site. The Oryukdo and Igidae geosites have a variety of geoheritages related to the Yucheon Volcanism in the Late Cretaceous with later coastal erosion landform. Lastly, the Geumjeongsan geosite located in mountain area has gorgeous granite weathering landforms. All the geosites show the geodiversities and have been posted on previous research papers or used in academic purposes, so that their academic values have been demonstrated. The Busan National Geopark also has a significant advantage of urban geopark in accessibility to the geosites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well-equipped education system, and tourism infrastructur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inhabitants can thus develop the local economy by preserving the geoheritages and nature resources and participating in the geopark operation. Consequently, the geopark will play a leading role in satisfying diverse demands of recent tourism as a successful urban geopark.

目次

要約
ABSTRACT
1. 序言
2. 地形 및 地質
3. 脂質探訪路
4. 討議
5. 要約 및 結論
REFERENCES

參考文獻 (30)

參考文獻 申請

함께 읽어보면 좋을 論文

論文 類似度에 따라 DBpia 가 推薦하는 論文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聯關 論文을 確認해보세요!

이 論文의 著者 情報

이 論文과 함께 利用한 論文

最近 본 資料

全體보기

댓글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