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Goseong Formation (Yucheon Group)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 - 地質學會誌 - 大寒地質學會 : 論文 - DBpia 메뉴 건너뛰기
.. 內書齋 .. 알림
所屬 機關/學校 引證
引證 하면 論文, 學術資料 等을  無料로 閱覽 할 수 있어요.
韓國大學校, 누리自動車, 市立圖書館 等 나의 機關을 確認해보세요
(國內 大學 90% 以上 購讀 中)
로그인 會員加入 顧客센터

主題分類

定氣購讀(個人)

所屬 機關이 없으신 境遇, 個人 定氣購讀을 하시면 低廉하게
論文을 無制限 閱覽 利用할 수 있어요.

會員惠澤

로그인 會員이 가져갈 수 있는 惠澤들을 確認하고 利用하세요.

아카루트

學術硏究/團體支援/敎育 等 硏究者 活動을 持續하도록 DBpia가 支援하고 있어요.

영문矯正

英文 論文 作成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英文 矯正 서비스를
支援하고 있어요.

顧客센터 提携問議

...

저널情報

著者情報

표지
이용수
內書齋
0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內書齋에 追加
되었습니다.
內書齋에서
削除되었습니다.

草綠·키워드

誤謬提報하기
經常盆地 南部에 發達된 經常累層軍 유천層群 高聲層의 空間的인 分布, 發達構造, 堆積相 等에 對한 調査를 바탕으로 高聲層의 層序的 發達 特性을 考察하였다. 高成層은 下位 振動層의 地質時代와 高聲層의 古地磁氣 資料를 土臺로 Campanian 以後에 對比되는 地層으로, 下位 振動層과는 空間的으로 接하여 있으나, 經常盆地 南部에 分布되어 있는 신동層群 및 河孃層群의 地層들이 大體的으로 北東-南西 方向의 對象分布를 이루는 것과는 달리, 東, 西, 및 北側에서 下位의 振動層에 依해 둘러싸인 楕圓上의 分布를 이루고 있으며, 走向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全般的으로 얇은 層이나 葉層으로 發達하며 層의 延長性이 良好한 振動層에 비해 高聲層의 堆積巖은 單位 地層의 두께가 相對的으로 두껍고 붉은色層을 협재하며, 層의 延長性이 大體的으로 不良하고, 凝灰質 物質을 흔히 含有함이 特徵이다. 高成層은 巖相 構成을 土臺로 主로 綠灰色 乃至 雜色의 凝灰質 函力沙巖과 綠灰色 乃至 붉은色의 李嵒, 그리고 凝灰巖이 협재된 下部 部分, 全般的으로 붉은色이 優勢한 沙巖과 李嵒으로 構成되고 캘크리트의 發達이 흔한 中部 部分, 그리고 붉은色과 綠灰色의 組立沙巖 및 沙質李嵒 內에 凝灰巖에 협재된 上部 部分으로 區分된다. 堆積環境의 側面에서 振動層에서 高聲層으로의 變化는 호성層에서 河成層으로의 變化를 나타낸다. 微忠진호수盆地의 湖水堆積層으로 이루어진 振動層에서 科忠陣湖水盆地 祈願의 하성堆積層으로 이루어진 高聲層의 堆積特性으로 變化한 것은 振動層 堆積時期 後期에 火山活動의 漸進的인 增加로 인한 堆積速度의 增加에 依해 振動湖水盆地가 漸次 忠津되면서, 火山活動의 增加와 斷層運動 等에 依해 振動層의 發達地域이 局部的으로 隆起되어 科忠陣湖水盆地로 바뀜에 따라 이 地域에 붉은色層을 협재하는 하성堆積層인 高聲層의 發達이 이루어진 것으로 解釋된다. 以上과 같은 高聲層의 層序的 發達特性은 高聲層과 振動層과의 層序的 關係가 傾斜不整合의 關係임을 指示하여 준다. 한便 붉은色의 氾濫原堆積層에서는 恐龍알 및 거북알化石이 産出된다. 이와 같은 高聲層의 地質時代, 構成암상, 堆積環境, 恐龍알의 算出 特性 等은 高成層이 釜山 地域의 유천層群 堆積層人 多大浦層과 巖相 및 地質時代에 있어서 서로 對比될 수 있음을 示唆하여 준다.

Stratigraphic occurrence of the Goseong Formation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was delineated with its distribution, geological structures, and sedimentary facies. The Goseong Formation is correlated with Camapnian to Maastrichtian on the basis of the polarity data of the Goseong Formation and the geological age of the underlying Jindong Formation. Compared with the sub-parallel distribution in NE-SW trend of the underlying formations of the Sindong and Hayang groups in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the Goseong Formation surrounded by the Jindong Formation has different attitude with those of the underlying formations and shows sub-elliptical distribution. The Goseong Formation is thicker- and more irregular-bedded than the Jindong Formation, and is different from the Jindong Formation in frequent intercalation of tuffaceous deposits and red beds. The Goseong Formation is divided into the lower, middle and upper parts in general in lithology. The lower part consists mainly of greenish gray to variegated, tuffaceous pebble-bearing sandstone, greenish gray to purple mudstone, and tuff. The middle part is characterized by the frequent intercalation of red beds in which dinosaur and turtle eggs occur in places, and the lower part is generally composed of purple to greenish gray sandstone and mudstone with intercalation of tuffs. In term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the change from the Jindong Formation to the Goseong Forrnationrepresents from under-filled lake basin to over-filled lake basin associated with fluvial environment. Such transition is deemed to have occurred in following ways. The increase of volcanic activity in the late stage of the Jindong time resulted in filling of the Jindong lake basin by the increase of sedimentation rate. Subsequently the Jindong lake basin partially uplifted by the fault movement in addition to the volcanic activity, which resulted in the evolution into the over-filled lake basin forming the Goseong Formation of fluvial deposits associated with red beds. The stratigraphic occurrence of the Goseong Formation indicates that the Goseong Formation overlies the Jindong Formation in angular unconformity. The geological age, lithology,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occurrence of dinosaur eggs ofthe Goseong Formation suggest that the Goseong Formation can be correlated with the Dadaepo Formation at Busan area in chronostratigraphy and lithostratigraphy.

目次

要約
Abstract
1. 序論
2. 脂質開館
3. 高聲層
4. 堆積特性
5. 層序的 古刹 및 結論
四史
參考文獻

參考文獻 (0)

參考文獻 申請

함께 읽어보면 좋을 論文

論文 類似度에 따라 DBpia 가 推薦하는 論文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聯關 論文을 確認해보세요!

이 論文의 著者 情報

이 論文과 함께 利用한 論文

最近 본 資料

全體보기

댓글 (0)

0

UCI(KEPA) : I410-ECN-0101-2012-450-004417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