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단막극의 價値②] PD·俳優들 “‘드라마스페셜’ 10周年이 갖는 意味”

共有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住所複寫

[단막극의 價値②] PD·俳優들 “‘드라마스페셜’ 10周年이 갖는 意味”


入力 2020.12.17 07:57 修正 2020.12.17 07:57        박정선 記者 (composerjs@dailian.co.kr)

‘스카이캐슬’ 유현미·‘冬柏꽃筆 무렵’ 임상춘 等도 ‘드라마스페셜’로 데뷔

이준기·박보검·박소담·曺如晶 等 내로라라는 俳優들도 KBS 短幕劇 거쳐

김형묵 “短幕劇, 映畫·드라마의 長點만 壓縮해 놓은 作品들”

ⓒKBS

단막극의 持續은, 作品 하나가 가지고 있는 作品性 그 以上의 價値를 지닌다. 韓國 드라마 製作 시스템의 土臺이자, 韓流 콘텐츠의 뿌리이기 때문이다. 單幕劇이 ‘드라마의 꽃’이라고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건준 KBS 드라마센터長은 “‘冬柏꽃 필 무렵’의 임상춘 作家 等 많은 作家가 ‘드라마 스페셜’로 데뷔했고, 많은 演出家들이 이를 通해 力量을 키웠고, 新人 俳優들의 登龍門 役割도 해왔다”면서 “短幕劇은 才能 있는 演技者, 作家를 發掘하고, 放送社 演出者들이 力量을 强化하는 韓國 드라마 製作 시스템의 土臺이자 韓流 콘텐츠의 뿌리”라고 말했다.


實際로 現在 旺盛하게 活動 中인 作家들 中 KBS 單幕劇을 통해 데뷔한 이들이 많다. 지난해 最高 話題作인 JTBC ‘SKY캐슬’과 KBS ‘각시탈’ 等을 쓴 유현미 作家가 代表的이다. 柳 作家도 2001年 KBS 劇本 公募 最優秀賞 受賞作인 ‘午後 3時의 사랑’을 비롯한 20餘 篇의 單幕劇을 執筆하면서 내공을 쌓았다. KBS ‘冬柏꽃 필 무렵’의 임상춘 作家, SBS ‘綠豆꽃’ 정현민 作家, KBS ‘祕密’ 유보라 作家도 KBS 短幕劇으로 데뷔했다. 또 KBS ‘太陽의 後裔’를 演出한 유종선 PD도 ‘드라마 스페셜’로 大衆에 처음 人事했다.


短幕劇은 드라마 PD들에게 新人 作家 登龍門 役割을 톡톡히 해왔다. 形式이나 素材 面에서 새로운 試圖를 해볼 수 있는 것이 단막극의 가장 큰 强點이다. 때문에 商業性 짙은 드라마 産業에서 ‘새로움’을 追求하는 新人 作家들에게 자유로운 作品 活動을 可能하게 한다.


이番 ‘2020 드라마 스페셜’의 첫 放映作인 ‘모단걸’의 演出者 홍은미 PD는 “入社했을 때 ‘드라마 스페셜’ 助演出로 처음 始作했다. 20周年은 더 盛大하게 할 수 있도록 發展했으면 한다”는 바람을 傳했다. 그러면서 “短幕劇이 있어야 重·長篇이 나오고, 大河드라마度 나온다. 作家主義 作品을 다룰 수도 있지만 영글지 않은 作家와 俳優들이 새로운 걸 試圖해볼 수 있는 重要한 자리로 큰 意味가 있다”고 말했다.


‘크레바스’의 유관모 PD 亦是 “드라마스페셜은 어떻게 보면 KBS에서 가장 重要한 드라마라고 생각한다. 但只 神인 演出의 登龍門이 아니라, 新人 俳優, 新人 作家, 그리고 新人 스태프까지 세컨드를 하셨던 분이 퍼스트가 되고, 또 퍼스트가 監督으로 데뷔하는 모든 食口들의 登龍門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의 世界가 꽃피고 定立되는 宏壯히 重要한 플랫폼이다. 그래서 商業性 짙은 드라마 産業에서 꼭 지켜야 할 寶石 같은 存在”라고 自負했다.


ⓒKBS

‘일의 기쁨과 슬픔’의 최상열 PD는 단막극의 뼈아픈 現實을 되짚기도 했다. 그는 “되새겨보면 ‘드라마스페셜’이라는 것이 每年 放送 維持를 두고 內部와 外部의 드라마 마니아들 사이에서 說往說來가 많았다”면서도 “그걸 10年이 되도록 지켜온 분들이 대단하고 고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했다.


이어 “短幕劇이 갖는 意味라고 한다면, 不足한 사람처럼 보이는 저한테도 演出할 機會를 주는 게 드라마스페셜이다. 드라마系의 스타트업 같은 느낌이다. 失敗를 해도 일어설 수 있고 挑戰해볼 수 있는 欌이고 單幕劇이 갖는 意味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短幕劇은 俳優들에게도 남다른 意味가 있다. 傑出한 스타 PD들의 登龍門인 同時에, 俳優들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役割을 한다. 實際 短幕劇으로 얼굴을 알린 俳優로는 이준기, 하지원, 공효진, 박보검, 박신혜, 박소담, 曺如晶, 최수종, 손현주 等이 KBS 單幕劇을 거쳐 갔고, 이선균과 김윤석 亦是 主演級 俳優가 되기 前, 單幕劇을 통해 演技力을 다져왔다.


俳優 진지희는 “中·長篇과 다르게 完成된 臺本을 갖고 始作하기 때문에 全體的인 스토리를 알 수 있고, 캐릭터의 感情線을 미리 把握할 수 있다”고 말했고, 俳優 김형묵은 “短幕劇은 映畫, 드라마 等의 長點만 壓縮해 모아놓은 드라마다. 單幕엔 그런 魅力이 있다. 어렸을 때부터 ‘TV文學觀’을 보고 자랐는데 出演하는 사람에게도 意味를 많이 찾을 수 있지만 보시는 분들도 찾아서 몇 番 보다 보면 한 時間에 壓縮돼 한 끼 맛있는 食事를 하는 것처럼 만날 수 있는 게 單幕이 가질 수 있는 魅力”이라고 說明했다.


新人 俳優에겐 登龍門이지만, 中堅 俳優에겐 새로운 挑戰이 되기도 한다. 손숙은 “(臺本을 보고) 宏壯히 따뜻하고 마음이 便安했다. 事實 癡呆 할머니 役을 많이 해봤는데, 이 作品은 그런 게 아니라 友情을 다루고 있다. 短幕劇이라는 것 自體도 魅力이었다. KBS가 가장 잘하는 것이 單幕劇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單幕劇이 活性化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정선 記者 (composerjs@dailian.co.kr)
記事 모아 보기 >
0
0
關聯記事

댓글 0

0 / 150
  • 최신순
  • 贊成順
  • 反對巡
0 個의 댓글 全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