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朝鮮 後期 女性史 다시 써야 할 판|週刊東亞

週刊東亞 306

..

朝鮮 後期 女性史 다시 써야 할 판

정지영氏 論文 學界 뜨거운 關心 … 女性濠洲 存在·寡婦 再婚 盛行 等 담아 旣存常識 뒤집기

  • < 김현미="" 기자=""> khmzip@donga.com

    入力 2005-01-03 15:2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조선 후기 여성사 다시 써야 할 판
    17歲의 靑孀寡婦가 갑작스러운 소나기를 避해 自身의 집으로 들어온 선비 이용묵을 붙잡으며 이렇게 하소연한다.

    “良家의 閨秀로 열세 살에 시집와 열네 살에 寡婦가 되어 이제 3年이 지났습니다. 父母가 가엾게 여겨 凱歌를 勸하는데, 생각해 보니 어린 나이로 靑孀寡婦가 되어 男女 陰陽의 理致를 모르고 하늘의 好生之德(好生之德)을 어기면서 守節하기보다는 차라리 開架해 天理認定(天里人情)에 符合되게 사는 것이 合當하다고 생각되어 凱歌를 決心했습니다. 第 配匹은 제가 選擇하겠다고 마음먹고, 父母님께 말씀드려 큰 길가에 집 짓고 지나가는 男子들을 보아 왔습니다. 그런데 每日 지나가는 선비님을 보고 마음이 끌렸는데, 마침 소나기가 내려 들어오시니 天生緣分인 듯하옵니다. 저를 받아주십시오.”

    이 이야기는 朝鮮 後期 文獻들을 整理한 김현룡의 ‘韓國文獻說話’에 收錄돼 있다. 여기서 우리는 세 가지 疑問을 품게 된다. 寡婦가 守節하는 代身 裁可를 願했고, 父母도 이를 積極 勸하고 도왔으며, 아예 저잣거리에 집을 얻어놓고 寡婦 스스로 配匹을 골랐다는 點이다. 自身의 목에 銀粧刀를 찌를 準備를 하며 한밤의 不請客을 悲壯하게 노려보거나, 긴긴 밤 외로움에 떨며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銅錢을 굴리며 한숨짓는 우리가 알고 있는 朝鮮時代 寡婦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조선 후기 여성사 다시 써야 할 판
    지난 8月 서강대에서 ‘朝鮮 後記 女性濠洲(戶主) 硏究’로 博士學位를 받은 정지영氏(광운대·국민대 講師)는 學位論文 가운데 寡婦 關聯 部分을 再整理해 9月8日 ‘文化史學會’에서 ‘朝鮮 後記 寡婦의 또 다른 選擇’이라는 論文을 發表했다. 두 論文 모두 學界에서 뜨거운 反響을 일으켰다. 여기서 鄭氏는 “銀粧刀는 朝鮮 後期 寡婦들에게 要求된 貞節에 對한 강박증을 象徵하는 것일 뿐, 實際로는 積極的으로 새 삶을 찾는 17歲 靑孀寡婦의 境遇가 普通 女性들의 삶에 더 가깝다”고 했다.

    只今까지 朝鮮時代 女性硏究는, 적어도 朝鮮 電氣까지는 女性의 地位가 決코 낮지 않았다는 것을 立證하는 데 注力해 왔다. 卽 朝鮮 前期 女性들은 자유롭게 再婚했고 男性과 同等한 相續分을 가지며 家族 內에서 相當한 發言權을 가졌다. 그러다 朝鮮 中期 成宗代에 再嫁한 女性의 子孫은 官職에 進出할 수 없다는 法이 만들어진 後부터 寡婦의 守節은 兩班家를 中心으로 當然한 美風良俗으로 여겨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鄭氏의 主張대로라면 17世紀 以後 儒敎가 支配理念으로 確固히 자리잡으면서 朝鮮 中期 以後 모든 女性의 地位가 一般的으로 낮아졌다는 解釋은 相當 部分 再檢討돼야 한다.

    이 時期에 女性의 權利가 縮小된 것은 事實이지만 女性이라고 해서 다 같은 立場은 아니었다. 子息을 위해 守節을 擇할 수밖에 없던 兩班 女性들과 달리, 벼슬길에 戀戀하거나 물려받을 財産이 변변치 않은 良人 以下 下層民 女性들은 制度의 굴레에 얽매이지 않고 比較的 자유롭게 살았다.

    조선 후기 여성사 다시 써야 할 판
    정지영氏는 이런 事實을 17~18世紀 單性(現 慶尙南道 丹靑) 고을의 戶籍臺帳을 硏究하면서 確認할 수 있었다. 胡適은 身分에 關係없이 當時 그 地域에 살던 兩班, 良人, 賤人 等 거의 大部分을 網羅하는 생생한 記錄으로 時代相을 硏究하는 데 貴重한 資料다. 鄭氏는 1678年, 1717年, 1759年, 1789年 네 時期의 單性 地域 戶籍臺帳을 綿密히 檢討한 結果, 家父長的 秩序가 完全히 뿌리내린 18世紀 後半까지도 女性濠洲가 6.7%(1789年)나 存在했음을 밝혀냈다. 또 17世紀 中盤까지 良人 階層 寡婦 中에 끝까지 守節한 境遇는 16~18%에 不過했다. 反面 兩班層은 이 무렵 이미 再婚하지 않고 寡婦로 사는 길이 大勢였다. 어쨌든 銀粧刀와 烈女門이 모든 寡婦의 이야기는 아니었던 셈이다.

    濠洲는 戶籍臺帳에서 號(戶)의 맨 앞에 記載된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家族의 代表를 意味한다. 朝鮮時代 濠洲 밑에는 妻와 子息뿐만 아니라 奴婢, 高空(雇傭人)까지 包含되어 한 號를 構成했다. 卽 朝鮮時代 戶籍臺帳은 오늘날 住民登錄簿와 비슷하게 實際 居住者를 中心으로 作成되었다.

    問題는 男便이자 아버지이면서 奴婢와 高空을 거느린 濠洲가 死亡했을 때 누가 濠洲를 承繼하느냐였다. 아버지가 죽으면 아들(直系卑屬 男子)李 濠洲를 承繼하는 傳統은 18世紀 以後에야 만들어졌다. 17世紀 末까지도 性別에 關係없이 그 好意 年長者를 濠洲로 記載하는 것이 常識이었다.

    그러다 18世紀 初 長成한 아들이 있는 寡婦는 濠洲로 記載할 수 없다는 行政指針이 내려지면서 女性濠洲의 比率은 눈에 띄게 減少한다. 그럼에도 아들이 16歲 未滿이면 바로 濠洲承繼를 하지 않고 如前히 집안의 年長者를 濠洲로 記載하는 傳統이 남아 있었다. 鄭氏는 朝鮮時代 戶籍制度는 아버지에서 아들로 곧장 濠洲가 이어지고, 아들의 年齡이 全혀 考慮되지 않는 只今의 戶籍制度와는 분명한 差異가 있다고 말한다.

    女性濠洲의 存在와 함께 戶籍臺帳에 나타난 朝鮮 後期 寡婦의 삶은 우리의 常識을 여지없이 깨뜨린다. 卽 모든 女性이 죽어서 媤집 鬼神이 되지는 않았던 것. 오히려 寡婦가 되면 居處를 親家(18世紀 初까지 親家와 媤家의 比率이 비슷했다)로 옮기는 境遇가 많았다. 親아버지나 親오빠에게 依託해 사는 쪽이 再婚하기에 容易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18世紀 初까지는 兩班家에서조차 寡婦가 되면 親庭으로 居處를 옮기는 게 一般的이었으나, 18世紀 中·後半으로 오면 親家로 돌아가는 兩班 寡婦를 찾기 어려울 程度로 父系秩序가 確固하게 자리잡는다. 寡婦가 繼續 媤宅에 머문다는 것은 守節을 選擇했다는 意味다. 그러나 良人 寡婦들은 18世紀 後半까지도 如前히 親家와 媤家를 半半씩 選擇했고, 賤人으로 가면 時期를 不問하고 親家로 가는 쪽이 3倍나 많았다.

    조선 후기 여성사 다시 써야 할 판
    寡婦가 再嫁했을 때 子女 問題는 어떻게 했을까. 于先 寡婦가 前男便의 아이를 데리고 再嫁하는 事例가 漸次 늘어났다(1678년 全體 再婚 中 29%, 1789年 54.5%). 또 아이를 데리고 온 寡婦가 初婚인 男子와 結婚하는 境遇가 많았다는 것은 意外다. 最近 再婚 女性과 초혼 男性의 結合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뉴스가 話題지만 17世紀에도 애 딸린 寡婦가 總角과 再婚하는 事例가 있었다. 흔히 말하는 ‘돈 많은 寡婦’들은 身分이 조금 낮더라도 어린 總角을 再婚 相對로 찾았던 것이다.

    그런데 前妻 所生의 子女가 있는 홀아비와 前男便의 아이를 기르는 寡婦가 再婚했을 境遇 子息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豫想 밖으로 男便이 前妻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이들은 다른 號로 보내 떨어져 살게 한 反面, 女性이 前男便과의 사이에 낳은 아이들은 性(姓)李 달라도 새아버지와 함께 살았다.

    例를 들어 1678年 현내면에 살던 官奴 水龍은 當時 43歲로 玉이라는 이름의 30歲 寡婦와 結婚한다. 옥이는 結婚하면서 13歲가 된 아들 一線을 데리고 왔는데, 水龍에게도 前妻와의 사이에 낳은 후동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그러나 水龍은 再婚과 同時에 아들 후동을 結婚한 누나 집으로 보내 따로 살게 했다. 이처럼 女性들의 養育權은 再婚 後에도 保障됐다.

    鄭氏는 只今까지 硏究에서 朝鮮 後期 女性은 지나치게 受動的이고 無氣力한 存在로 그려졌다고 指摘했다. 그러나 學者로서 朝鮮 電氣까지 그토록 莫强한 파워를 자랑하던 女性들이 왜 朝鮮 後期에 힘없이 男性中心的 秩序 속에서 꼬리를 내렸는지에 對해 疑問을 갖는 것은 當然하다.

    이런 疑問에서 出發한 두 篇의 論文 ‘朝鮮時代 女性濠洲 硏究’와 ‘朝鮮 後記 寡婦의 또 다른 選擇’은, 朝鮮 後期 女性들이 各自의 處地(兩班, 良人, 賤人, 어머니, 며느리, 딸)에 따라, 또 社會 雰圍氣에 따라 適切한 選擇을 하며 協商과 妥協 속에서 삶을 꾸려갔다고 結論을 맺는다. 只今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朝鮮 後期 女性史는 一部 兩班들의 이야기였던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