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루키인터뷰: 얘 어때?②] ‘金科長’ 김선호, 演劇 舞臺서 먼저 인정받은 實力派 루키 : 스포츠동아
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211009203714/https://sports.donga.com/3/all/20170414/83863236/2

[루키인터뷰: 얘 어때?②] ‘金科長’ 김선호, 演劇 舞臺서 먼저 인정받은 實力派 루키

入力 2017-04-15 14:00:00
프린트
共有하기 닫기

俳優 김선호, 寫眞|東亞닷컴 방지영 記者 doruro@donga.com

[루키인터뷰: 얘 어때?②] ‘金科長’ 김선호, 演劇 舞臺서 먼저 인정받은 實力派 루키

★ 나만 아는 스타가 아닌 내가 먼저 찜한 스타! 동아닷컴이 野心에 차게 準備한 ‘얘 어때?’는 新人들의 魅力을 파헤치고 紹介하는 인터뷰입니다. 이름, 얼굴이 낯설다고요? 當然하죠~! 下.地.만. 미리 알아두는 게 좋으실 겁니다. 나중에 엄청난 스타로 成長할 아티스트들이거든요.★

◆ 스타 自己紹介書

1. 이름 : 김선호
2. 生日 : 1986年 5月 8日
3. 所屬社 : SY엔터테인먼트, 鰐魚컴퍼니
4. 專攻 : 서울藝術大學 放送演藝科
5. 出演 作品

[公演] 뉴보잉보잉(2009) 屋塔房 고양이(2010) 셜록(2012) 7年동안 하지 못한 말(2013) 戀愛의 目的, 트루웨스트, 호이 스타일매거진, 거미女人의 키스 (2015) 트루웨스트 리턴즈, 클로저, 보이스 오브 밀레니엄(2016)

[드라마] KBS2 ‘金科長’ (2017)

6. 性格 : 생각 많은 싹싹이

“싹싹한 便인데 基本的으로 苦悶, 생각을 많이 하는 便이에요. 5時間동안 걸으면서 생각을 한 적도 있죠. 싹싹하지만 울타리도 剛해요. 서른 두 살이 되다보니 社會生活을 하는 것에 있어선 어느 程度 柔軟해지긴 했죠.”

7. 入덕 포인트 : ‘나쁜 사람 아니야~’ 反轉魅力

“公演에서는 날카로운 役割을 主로 演技했었어요. 팬들末路는 役割과 다르게 實際로는 親切하다고...하하. 제 입으로 말하기 쑥스러운데 제가 나긋나긋한 便이거든요. ‘나쁜 사람 아니었네요’라면서 팬들과 親해졌어요.”

俳優 김선호, 寫眞|東亞닷컴 방지영 記者 doruro@donga.com


Q. KBS2 ‘金科長’, 데뷔 後 8年 만의 첫 드라마네요.

- 드라마와 關聯해서 오디션을 본 적이 없었어요. 드라마에 出演하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죠. 그런데 흘러가는대로 지내다보니 오디션 機會도 없었어요. 저는 누군가의 助言으로 演劇을 始作하게 됐고 繼續 公演을 해왔거든요. 이番 ‘金科長’ 出演도 事實 可能할 거라 期待안 했어요.

Q. 그럼 '金科長‘ 캐스팅 오디션은 어떻게 이뤄진 거예요?
- ‘金科長’ 製作陣이 제가 出演했던 演劇 ‘클로저’를 보셨대요. 그 前부터 제 演劇을 보셨다고 해요. 異常하게 ‘클로저’에서는 天下의 나쁜 놈을 延期했는데 ‘金科長’에선 어수룩한 캐릭터를 맡았죠. 저를 잘 봐 주신 거 같아요.

Q. 經理部 入社 1年次 新入社員 禪狀態 役을 演技했어요.

- 아! 元來는 김상태였어요. 그런데 제가 카메라 테스트 때 繼續 서있어서 禪狀態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웃음) 돌이켜보면 放送에서도 앉아있었던 적이 別로 없었던 거 같아요.

Q. 그런 意味로 禪狀態가 된 거군요. 眼鏡 패션이 트레이드마크예요.

- 眼鏡을 벗으면 人相이 사나워보인다는 말을 ‘金科長’ 오디션 때 처음 들어봤어요.

Q. 實際 視力은요?

- 1.5 1.2입니다. 視力 좋아요~ 시놉시스上 禪狀態 캐릭터는 戀愛 한 番 못한 오타쿠같은 靑年으로 描寫돼 있었죠. 이것저것 스타일링을 하다가 眼鏡을 쓰게 됐고 더 느낌을 살리기 위해 헤어스타일도 바가지처럼 하게 됐어요.

Q. 眼鏡을 썼을 때와 안 썼을 때 印象이 많이 다르긴 해요.

- 甚至於 저희 어머니도 놀라셨어요. 禪狀態를 살려보기 爲해 行動도 말套도 語訥하게 練習했죠. 眼鏡 때문에 섭섭했던 적이 있어요. ‘金科長’ 撮影을 野外에서 하고 있었는데 지나가던 視聽者분들이 經理部 팀에게 반갑게 人事를 해주시는 거예요. 그때 제가 잠깐 眼鏡을 벗고 있었거든요. 저만 못 알아보시고 그냥 가시더라고요. 섭섭했죠. (웃음) 眼鏡을 써야 저인줄 아세요. 또 어린이들이 禪狀態를 좋아해요. 眼鏡쓰고 지나가면 ‘狀態다!’ 라고 人事하죠. 半말을 하더라고요?

Q. 禪狀態가 入社 1年차잖아요. 데뷔 後 1年 즈음, 김선호 俳優는 어땠나요.

- 緊張을 많이 했었죠. 演技的인 部分보다는 先後輩 關係에 있어 緊張을 했어요.

Q. 大學路 아이돌이었다는 所聞이...

- 잠깐? 하하하하하하

Q. 演劇으로 演技를 始作하게 된 특별한 契機가 있을까요.

- 제가 어렸을 때 트라우마를 演劇 治療로 克服했어요. 初等學校 2學年 때 집에 强盜가 들어서 저희 어머니가 칼에 찔린 적이 있었거든요. 저는 숨어 있었고요. 그 以後로 뒤쪽에 누가 있으면 저는 小便도 못봤었어요. 試驗 監督官이 뒤에만 있어도 덜덜덜 떨었고요. 演劇 治療로 트라우마를 克服했고 性格도 많이 좋아졌죠. 사람들과의 일도 잘 하게 됐어요. 正말 內省的이었는데 親舊 따라서 入試學院에 갔고, 재미 있어서 演技를 繼續 하게 된 거예요. 大學校 合格하고 軍 除隊 後 卒業할 때쯤 苦悶하다가 이쪽 길을 걷기로 했습니다.

Q. 演劇界에선 8年次지만 드라마界에선 新人이에요.

- 撮影場이 처음이니까 緊張하게 되더라고요. ‘金科長’을 撮影하면서도 처음에는 出演者들이 다 自己 일만 하고 있더라고요. 섞이는 것이 힘들었어요. 演劇처럼 오랜 時間 交感한 끝에 作品을 完成해가는 시스템이 아니고 親해지면서 同時에 撮影도 이뤄지는 거잖아요. 그나마 經理部 大部分의 先輩들이 演劇 舞臺 出身이라 共感帶 形成이 이뤄졌고 빠르게 適應할 수 있었죠.

Q. 舞臺에서 놀던 끼가 있지 않아요? 完璧히 新人으로 돌아가서 撮影을 했나요.

- 新人 맞죠. 畵面에 나오는 煙氣 처음이니까요. 正말 서툴렀어요. 첫 撮影 때는 카메라 앵글 밖으로 제가 사라져서 목이 잘려 나오기도 했죠. 저는 똑같은 場面을 여러 角度에서 찍는 다는 것도 몰랐어요. 7,8回부터 잠 못 자고 撮影할 때가 되어서야 現場에 익숙해지기 始作했죠.

Q. 그래도 사람인지라 ‘내가 8年次野’라는 생각을 아예 지울 수는 없었을 거 같아요.

- 多幸히 ‘金科長’ 出演陣 모두가 저보다 다 先輩들이었어요. 冬夏조차 동생이지만 先輩였고... 基本的으로 저란 사람 自體가 先輩다 뭐다 이런 생각을 잘 안 해요. 사람들과 가까워져서 더 좋은 作品 만들려고만 努力했죠.

Q. 放送 演技를 하면서 緣起觀이 달라졌나요?

-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撮影 現場, 너무 빠른 시스템에 놀랐어요. 精神的으로 힘들었죠. 제가 잘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고요. 公演은 始作과 끝을 알 수 있고 人物의 敍事를 다 把握한 狀態에서 演技를 하는 거잖아요. 結論은 眞짜 프로가 돼야겠구나! 어설프게 했다가는 周邊 사람들이 힘들어지겠더라고요. 機會가 주어지면 조금 더 徹底하게 準備 하고 짧은 時間 안에도 沒入할 수 있도록 저를 성장시켜야겠어요.

Q. 앞으로 또 드라마, 映畫에 出演한다면 꼭 해보고 싶은 役割이 있을까요.

- 이番 드라마 하면서 로맨스物을 제대로 그려내고 싶어졌어요. 임화영과 살짝 있었는데 시원찮았죠. (웃음) 切切한 멜로보다는 ‘金科長’ 延長線으로 귀엽고 재미있고 예쁘게 봐줄 수 있는 그런 로맨스요.

Q. 實際 戀愛할 때는 어때요?

- 개그코드가 통해야해요. 통하지 않으면 絶對 NO. 제 개그와 共感帶가 이뤄진다면 正말 좋더라고요. 한 番은 개그코드가 안 맞은 적이 있었는데 破局이었어요. 저는 基本的으로 장난도 많이 치는 親舊같은 愛人이에요.

Q. 개그에 自信있나봐요.

- 제 개그力은 中上 程度? (웃음) 誹謗龍이긴 해요. 誹謗界에선 1等이라고 對答하겠습니다.

Q. 이야기를 들어보면 人生을 平坦하게 살아온 거 같아요.

- 迂餘曲折이 많지는 않았어요. 저희 집은 地下 房 1칸에서 始作해서 漸漸 形便이 좋아졌거든요. 只今은 房 세 칸에서 살고 있죠. 저는 외동아들이고요. 勿論 사람마다 힘들었다고 하는 基準이 다르고 나름의 家庭事가 다들 있기 마련이겠죠. 그런데 제가 하는 일에 對해선.. 저는 꾸준히 쉬지 않았고 그에 맞는 結果가 따라오는 便이었어요. 오히려 차츰 좋아지는 거 같아요.

Q. 漸漸 좋아진다... 眞짜로 드라마 데뷔 作부터 大舶이 났어요.

- 新人으로서 正말 좋은 機會였고 幸運인 거죠. 幸福한 作品이었어요. ‘金科長’을 契機로 앞으로 더 發展할 自身이 있고요. 잘 適應해 나갈 勇氣가 생겼습니다.

東亞닷컴 전효진 記者 jhj@donga.com 記者의 다른記事 더보기
寫眞|東亞닷컴 방지영 記者 doruro@donga.com 記者의 다른記事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