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經닷컴 더 라이피스트
[한국 현대시, 한시로 만나다]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江邊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金모래 빛
뒷門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江邊살자

[태헌의 漢譯]
母兮姉兮(모혜자慧)

母兮姉兮住江畔(某혜자惠主江畔)
庭前金沙色璨璨(停戰金思索찬찬)
門外蘆葉聲漫漫(門外로葉성만만)
母兮姉兮住江畔(某혜자惠主江畔)

[主席]
* 母兮(某慧) : 엄마!, 엄마야! ‘兮’는 呼格(呼格) 어기사(語氣詞)이다. / 姉(자) : 손윗누이. 누나. /住江畔(駐江畔) : 江邊에 살다. ‘畔’은 ‘邊(辯)’과 같은 意味이다.
庭前(停戰) : 뜰 앞. 原始의 “뜰에는”을 漢譯하면서 本來的인 意味를 考慮하여 ‘前’을 補充하였다. / 金沙(金史) : 金모래, 金빛 모래. / 色(色) : 빛. / 璨璨(찬찬) : 밝게 빛나는 模樣. 擬態語로는 ‘반짝반짝’의 뜻.
門外(門外) : 門 밖. 原始의 “뒷門 밖”을 漢譯하면서 “뒷”에 該當하는 “後(後)”를 省略한 表現이다. / 蘆葉(노엽) : 갈잎, 갈대 잎. / 聲(性) : 소리, 노래. / 漫漫(만만) : 넘실넘실. ‘漫漫’은 普通 時間이나 空間이 끊임없이 이어져 긴 模樣을 나타내는데 譯者는 ‘소리’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도 여기에 包含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옛날 사람들은 무엇인가 많은 模樣이나 바람이 끝없이 부는 模樣도 이 ‘漫漫’으로 表記하였다. 原始의 “반짝이는”을 擬態語 ‘반짝반짝’을 뜻하는 ‘璨璨’으로 漢譯하였기 때문에, “갈잎의 노래”에도 擬態語를 써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漫漫’을 擇하면서 한글로는 ‘넘실넘실’로 옮겨보았다.

[漢譯의 直譯]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江邊에 살자
뜰 앞엔 반짝반짝 金모래 빛
門 밖엔 넘실넘실 갈잎 노래
엄마야 누나야 江邊에 살자

[漢譯 노트]
오늘은 좀은 特別하게 譯者의 옛날이야기를 적어가며 漢譯한 <엄마야 누나야>를 鑑賞해 보기로 한다. 다 읽고 나면 아마도 그 理由를 알게 되시리라 믿는다.

‘김소월’하면 大部分의 讀者들은 學窓 時節에 배운 詩 題目이나 詩를 노래로 만든 ‘歌曲’ 題目이 먼저 떠오를 듯하다. 그런데 譯者는 엉뚱하게도 再修生 時節이 먼저 떠오른다. 譯者가 故鄕집이 아니라 結婚한 큰 누나가 살고 있었던 安孃의 어느 讀書室에서 몇 달 동안 再修 生活을 할 적에, 金素月의 本名인 ‘正式(廷湜)’을 譯者의 ‘假名(假名)’으로 使用한 履歷이 있기 때문이다. 譯者는 譯者의 本名이 싫어서라기보다는, 아무리 神經 써서 이름을 불러줘도 사람들이 한 番에 못 알아듣는 境遇가 거의 大部分이고, 용케 알아들은 사람들도 꼭 中國사람 이름 같다며 한 마디씩 하는 게 마뜩하지가 않아 假名을 使用하게 되었던 것이지만, 보다 根本的으로는 金素月이 譯者가 當時에 가장 좋아하였던 詩人이었고, 또 그의 履歷 亦是 어느 程度 알고 있어, ‘폼 나게’ 그의 本名을 譯者의 假名으로 使用해보게 되었던 것이다.

金素月이 20살 되던 해에 發表한 이 詩 <엄마야 누나야>는 譯者가 詩로 외운 것이 아니라 노랫말로 외운 것인데, 初等學校 몇 學年 때 배운 건지는 記憶이 나지 않는다. 다만 이 노래를 처음으로 배울 즈음에 譯者는 이미, 當時 ‘國民學校’ 學生들에게는 부르는 것이 禁止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던 大衆歌謠의 하나인 <江村에 살고 싶네>를 부를 수 있을 程度였기 때문에, 어린 마음에도 動搖가 多少 시시하다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더랬다. 歌手 나훈아氏가 부른 大衆歌謠 <江村에 살고 싶네>는 아마도, 우리집에 유난히 자주 놀러오셨던, 四寸 사이利子 親舊 사이이면서 그 當時에 農村 總角들이었던 堂叔(堂叔) 두 분이 부르던 노래를 譯者가 따라 부르다가 저절로 익혔을 것으로 斟酌된다. 시골에는 텔레비전은 고사하고 라디오조차 흔하지 않았던 그 時節이라 누구에게나 이와 비슷한 일들이 있었을 듯하다. 어찌 되었건 이 두 曲의 노래로 인해 어린 譯者의 마음속에서는 ‘江村’ 或은 ‘江邊’에 對한 로망이 싹텄던 것은 分明하다.

그러던 譯者가 난生 처음으로 江이라고 부를 만한 큰물을 가까이에서 제대로 보게 된 것은 初等學校 3學年 때였다. 여름放學을 맞아 父母님께 無盡藏 떼를 써서 榮州(榮州) 姨母네 집에 놀러 가게 되었을 때, 姨從四寸 누나 둘이서 나에게 물이 불은 乃城川(乃城川)을 구경시켜 주었던 것이다. 斟酌컨대 아마 장마 뒤였거나 颱風 뒤였을 當時에 譯者는 넘실대는 큰물이 무서워 다리를 덜덜 떨었지만, 그 큰물에 對한 形言(形言)하기 어려운 느낌만큼은 오래도록 腦裏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나중에 어른이 되면 꼭 江마을에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도 大略 이 무렵이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안타깝게도 譯者는 只今까지 單 한 番도 江이 보이는 집에서 살아본 적이 없다.

뜰 앞에는 金빛 모래밭이 펼쳐져 있고, 뒷門 밖에서는 갈대의 노래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오는 金素月의 “江邊”은 實在하는 空間이라기보다는 평화롭고 幸福이 넘치는 一種의 유토피아로 理解된다. 設或 이 “江邊”이 어딘가에 實在하는 空間이라 하더라도, 譯者의 境遇 “엄마”는 이미 저世上에 가신지 제법 되었고, “누나”들은 할머니 되어 自己 孫子·孫女 돌보느라 餘念이 없으니, 이 時點에서 이 노래를 다시 부르는 것은 아무런 所用이 없을 것이다. 이제는 부르는 사람을 바꾸어 “여보야”, “얘들아”로 이 노래를 불러야 할 때가 되었다는 것일까? 어쨌거나 노랫말이 된 詩 하나가 그 어린 時節 여린 꿈을 오래도록 가슴 속에서 살게 해주었으니, 譯者는 이것만으로도 詩人에게 無限한 感謝를 드리고 싶다. 멋진 詩를 어설프게 漢譯한 것이야 譯者가 부끄러워해야 할 몫이지만, 이 또한 사람의 일임을 저世上에 있을 詩人 亦是 모르지는 않으리라.

譯者는 普通 4行으로 處理되어 紹介되는 原始를 4具의 七言古詩로 漢譯하였다. 漢譯하는 過程에서 한 두 詩語(詩語)를 加減한 것은 朱錫 部分에 仔細히 記述해두었다. 原始의 第1行과 第4行이 同一한 關係로 譯者는 不得已 매구마다 押韻하는 方式을 取하였다. 그러므로 이 詩의 押韻者는 ‘畔(飯)’·‘璨(찬)’·‘漫(만)’·‘畔(반)’이 된다.

2021. 8. 24.

<韓經닷컴 The Lifeist> 강성위( hanshi@naver.com )

"外部 筆陣의 기고 內容은 本誌의 編輯 方向과 다를 수 있습니다."
獨自 問議 : thepen@hankyung.com

ⓒ 韓經닷컴, 無斷轉載 및 再配布 禁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