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朴仁映, 音樂監督/現(絃)編曲家 – 레전드매거진
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200919083346/https://soundcat.com/legend/?p=36

레전드매거진

모든사람은레전드다

powered by Typeform

朴仁映, 音樂監督/現(絃)編曲家

安寧하세요, 레전드 매거진 讀者 여러분. 이렇게 人事드리게 되어 반갑고 榮光입니다. 저는 美國과 韓國을 오가며 作曲家, 現(絃)編曲家, 그리고 音樂監督으로 活動하고 있는 朴仁映이라고 합니다.

映畫 <피에타>, <官能의 法則>, <標的>, <特別市民>, <兄> 그리고 <猖獗> 等에 作曲家와 音樂監督으로 參與를 했고 수많은 歌謠 作業에 絃樂器 編曲으로 參與를 해왔는데요. 아무래도 제가 大衆音樂 現(絃)編曲 일을 오랫동안 하다 보니 作曲家나 音樂監督이라는 呼稱보다 ‘現編曲家’라는 呼稱이 가장 친숙하긴 하네요 (웃음)

제가 本格的으로 絃樂器 編曲을 始作한 것은 1997年입니다. 90年代는 大韓民國 歌謠界의 中興期이자 音樂市場의 全盛期라고 볼 수 있는데요, 勿論 當時에도 ‘現編曲’이라는 分野가 있기는 했지만 요즘처럼 專門 絃樂器 編曲者나 現錄音 세션이 只今만큼 많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海外에서 絃樂器를 錄音해 오는 일은 正말 흔치 않았던 時節이었죠.

1997年, 動物園의 ‘포스터’라는 曲을 始作으로 많은 曲에 絃樂器 編曲으로 參與했는데요. 1990年代부터 2000年代까지 參與한 曲들을 떠올려 보자면, 이수영의 ‘I Believe’, 윤종신의 ‘배웅’, 싸이(PSY)의 ‘챔피언’, 노을의 ‘붙잡고도’, H.O.T의 ‘Outside Castle’, 윤상의 ‘Back to the Real Life’, 김범수의 ‘보고 싶다’, 보아의 ‘My Name’, 李昇基 ‘내 女子라니까’, 거미의 ‘記憶喪失’, 이승환의 ‘心臟病’, 김윤아의 ‘夜想曲’ 等이 있습니다.

2010年代 以後로는 김종국의 ‘한 男子’, 조용필의 ‘걷고 싶다’, 윤종신의 ‘너에게 간다’, 박정현의 ‘美粧院에서’, 김동률의 ‘Replay’, 아이유의 ‘이름에게’, 윤미래의 ‘Because of You’, 少女時代(泰然)의 ‘祕密’, 성시경의 ‘두 사람’, 佳人의 ‘카니발’, 싸이(PSY)의 ‘마지막 場面’, 레드벨벳의 ‘세 가지 所願’ 等에 現編曲으로 參與했습니다.

[朴仁映, 그리고 映畫音樂]

現編曲과 映畫音樂의 가장 큰 差異點은 ‘映像을 위한 音樂인지’와 ‘音樂을 위한 音樂인지’일 것입니다.

映畫에서의 ‘音樂’은 그 場面의 雰圍氣를 高調시키거나, 俳優들의 感情 흐름을 도와주는 役割을 하게 되는데요. 音樂이 너무 튀거나 혼자 앞서 나간다거나 하면 映像의 흐름에 오히려 妨害되기 때문에 徹底히 映像을 서포트 해주는 役割로써 存在해야 합니다. 卽, 音樂이 主人公이 되어서는 안되겠죠.

이 때문에 한 有名 映畫音樂 作曲家는 “映畫音樂은 壁紙와 같아야 한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分明 집안을 裝飾하고는 있지만 우리에게는 ‘있는 듯 없는 듯’ 느껴지는 僻地에 比喩한 건데요, 存在感이 없다는 말과는 確然히 다른 意味입니다. 이에 비해 大衆音樂은 映像과 關係없이 ‘音樂만을 위한 音樂’이다 보니, 아무래도 音樂的 장르나 色깔에 拘礙를 받지 않고 좀 더 다양한 스펙트럼을 志向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點을 들자면 ‘作業의 呼吸’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大衆音樂 作業은 조금 짧은 呼吸으로, 映畫音樂 作業은 좀 긴 呼吸으로 가게 됩니다. 아무래도 作業量이나 音樂의 方向性이 조금 다르기 때문일 텐데요. 一般的으로 가요작업은 한 曲의 길이인 3分에서 5分 程度 안에 音樂이 傳하고자 하는 感情을 最大値로 끌어올리기 위해 잘 갖춰진 音樂的 感覺과 더불어 瞬發力이 必要합니다.

反面 映畫音樂 作業은 一般的으로 2時間 內外의 映畫 全體를 아우르게 됩니다. 音樂이 必要한 各 場面에서 映像을 서포트 하거나 場面과 場面 사이를 부드럽게 連結하는 等 全體的으로 映像과 좋은 結合力을 갖추기 위해 細細한 作業과 時間이 더 많이 要求됩니다.

映像의 흐름과 各 씬에 對해 理解하고, 그 映像이 必要로 하는 音樂의 方向이 무엇인지를 把握한 以後 비로소 作曲 過程에 突入하게 되는데요, 音樂을 만들고 錄音을 하고 또 믹스를 마치는 데까지 普通 數個月 以上이 所要됩니다. 映畫音樂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를 수 있는 音樂的인 能力과 함께 긴 時間 作業할 수 있는 持久力 또한 要求되는 것 같습니다.

[朴仁映, 그리고 大韓民國]

大衆音樂과 映畫音樂 作業 以外에 지난해 저에게는 매우 특별한 일이 있었는데 바로 韓國著作權委員會 要請으로 ‘愛國歌’를 再編曲하는 일이었습니다.

지난 2005年 安益泰 先生님의 遺族이 愛國歌 著作權을 政府에 寄贈했지만 樂譜 形態여서 音源으로 使用할 수가 없었고, 旣存의 愛國歌 音源은 著作權이 韓國放送公社에 있을 뿐만 아니라 非營利 公益 目的으로만 使用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自由롭게 쓸 수 있는 새 音源의 製作이 必要했습니다.

大韓民國 國民의 한 사람으로서, 愛國歌를 再編曲할 機會를 얻는다는 것은 큰 榮光이었기에 기쁜 마음으로 編曲 作業에 參與하게 되었습니다.

編曲 作業 前부터 어느 程度 豫想은 했었지만, 正말 쉽지 않은 作業이었습니다. 아무래도 한 나라의 國家에 손을 대는 作業이다 보니, 編曲을 始作하기 前부터 끝나갈 무렵까지도 再編曲 方向에 對한 엇갈린 意見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結局 最大限 安益泰 先生님의 原曲과 오케스트레이션의 意圖가 毁損되지 않는 線에서 조금만 더 現代 感覺에 맞추어 變化를 주는 方向으로 進行했습니다. 70餘 名의 서울 市立 交響樂團과 40名의 서울市 合唱團. 이렇게 總 110餘 名이 錄音에 參與했는데, 첫 리허설 때 제가 編曲한 愛國歌가 울려 퍼지던 그 瞬間을 前 아마 平生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2019年도는 獨立運動 100周年이라는 큰 意味를 가진 한 해입니다. 愛國歌의 再編曲 作業뿐만 아니라 올해 100周年 記念事業推進委員會에서 進行하는 音樂 프로젝트 中 金姸兒와 하현우가 부른 ‘3456’ 이라는 듀엣曲에 現編曲으로 參與하기도 했는데요, 아무래도 主로 海外에서 居住하고 活動을 하다 보니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도 ‘우리나라’에 對한 ‘存在’가 각별하게 느껴집니다 .

저에게 있어 大韓民國은 ‘엄마의 품’같은 存在입니다. 韓國을 訪問할 때마다 空港에 到着하면서부터 벌써 便安하고 따뜻한 溫氣를 느끼곤 합니다.

[人間 朴仁映]

이제 音樂家의 삶을 꿈꾸었던 時節로 暫時 돌아가 저의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저의 家庭環境이나 成長 過程은 極히 平凡했습니다. 다만 어릴 때부터 音樂을 유난히 좋아해서, 洞네를 지나다가도 音樂 소리가 들리면 가던 길을 멈춰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곤 했던 記憶이 나네요.

어머니께서 나중에 저에게 말씀해주신 건데 제가 6살 때쯤 洞네 놀이터 앞 2層 집에서 자주 들려오는 소리를 많이 좋아했대요. 그때만 해도 저는 그 소리가 무슨 소리인지 잘 몰랐었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바이올린 소리였답니다. 제가 엄마 손을 끌고 가서 그 二層 집을 가리키며 ‘엄마, 저 소리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도 저거 하고 싶어요’라고 떼를 썼다고 해요 (웃음).

그렇게 배우기 始作한 바이올린. 저와 音樂의 因緣은 그렇게 始作되었어요.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先生님처럼 될 것이라는 꿈을 안고 5~6年 程度 바이올린에 沒頭하던 어느 날, 家庭 形便 때문에 더 以上 바이올린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어떤 形態로든 音樂을 놓지 않고 繼續하고 싶었어요.

中學校에 올라가서는 기타를 잠깐 배웠는데, 유난히 손이 작았던 저로서는 ‘F코드’ 잡는 것이 어려워 기타에는 興味를 잃고 금세 그만두었죠 (웃음). 中, 高等 學校 때는 校內와 郊外 合唱大會 때 合唱 指揮를 하기도 했는데 只今 생각해보면 指揮를 제대로 배우지도 않고 어떻게 大膽하게 指揮를 할 수 있었는지 只今까지도 疑訝한 일이라 생각해요 (웃음)

高等學校에 들어가면서 本格的으로 클래식 作曲 工夫를 始作했고 이어 大學에서도 클래식 作曲을 工夫했습니다. 大學校 專攻 授業 課題였던 ‘클래식 器樂曲’을 쓰는데 沒頭하면서도, 다양한 장르의 音樂에 關心이 있다 보니 우연한 機會에 創作童謠祭, 創作歌曲第, 그리고 歌謠祭 等에 出戰하기도 했습니다. 創作하는 데 하나의 장르에만 局限되고 싶지는 않았거든요.

本格的으로 大衆音樂에 발을 들이게 된 契機는 1990年 열린 ‘第2回 유재하 音樂 競演大會’ 였습니다. 그 後 조동진, 김광석, 장필순, 한동준, 이승환, 윤상, 朴政賢, 윤종신, TOY 等 여러 歌手의 公演에서 키보드와 바이올린을 연주했습니다.

以外에도 1992年에는 俳優 윤석화 主演, 아놀드 웨스커 原作의 演劇 ‘딸에게 보내는 便紙’에 作曲家로 參與했고, 1999年에는 윤소정, 李正姬, 윤석화 主演의 演劇인 ‘神의 아그네스’에서 編曲과 키보드 演奏를 맡으며 演劇 音樂 分野에서도 活動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主로 歌謠를 爲해 해오던 現編曲은 時間이 지나면서 自然스럽게 드라마, 映畫, 그리고 게임音樂 等 더 多樣한 分野로 擴張되었는데 當時 作業物 中 게임 ‘LAQIA’(2003)는 作曲家 윤일상 氏와 함께 英國 London에서 오케스트라 錄音을 하기도 했습니다.

玄과 오케스트라 錄音은 London 뿐만 아니라 New York, Melbourne, Prague, Tokyo, Los Angeles, Nashville 等에서 할 機會가 있었고 이를 통해서 더 많은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바이올리니스트가 되는 꿈은 抛棄해야 했지만 代身 絃樂器와 함께 音樂을 할 수 있는 現編曲. 그런데 그렇게 좋아하고 하고 싶어했던 縣編曲이었음에도 不拘하고 언젠가부터 現編曲 作業이 더 以上 즐겁지가 않았습니다. 作曲家로서 作曲은 거의 하지 않고 現編曲 作業에만 너무 沒頭한 탓이었을까요. 몸과 마음이 모두 많이 지쳐있기도 했고, 作曲家로서의 正體性에 對한 苦悶도 있었고 또 새로운 무언가를 하고 싶은 渴望도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러던 中 2008年, 저는 뉴욕大(NYU) 大學院으로 映畫音樂(Film Scoring)을 工夫하러 떠났습니다. 映畫音樂에 對해서는 아무 知識과 經驗도 없던 저였지만, 恒常 關心이 있었던 分野였고, 多幸히 以前에 다양한 장르의 曲들을 作曲하고 作業했던 經驗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큰 어려움 없이 學業을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NYU Steinhardt 의 ‘Screen Scoring Programs’에서는 미디어 映像을 위한 作曲, 假想樂器 使用法, 하이브리드 (hybrid) 오케스트레이션, 믹스, 스코어링 테크닉, 스코어 錄音 準備, 스코어 錄音, 그리고 뮤직 에디팅 等 映像 音樂을 위한 全般的이며 總體的인 課程을 學習할 수 있었습니다.

NYU에서 工夫하면서 가장 재미있었고 記憶에 남는 授業은 ‘Scoring for Film and Multimedia’라는 授業이었습니다. 學校에서 提供하는 映畫 클립들 中, 2-5 分 程度 길이의 音樂이 빠져있고 臺詞만 있는 클립에 音樂을 만들어 보는 授業이었죠.

主로 旣存 映畫에서 拔萃된 클립들을 使用하기도 하지만 種種 NYU Tisch School 에서 필름 메이킹을 專攻하는 未來의 映畫監督들이 本人들의 作品을 가지고 이 授業에 參與해서 콜라보로 進行되기도 하는 等 아주 흥미로운 授業이었습니다. 이 授業은 特히 學生들이 같은 映像을 골라 作業을 하더라도, 서로 다른 視角과 感性, 解釋으로 다양하게 表現된 音樂들을 共有하고 討論한다는 點에서 魅力的이었어요.

大學院 過程 全般에 걸쳐 제가 無事히 學業을 마칠 수 있도록 저를 支持하고 도와주셨던 敎授님들도 저에게는 크나큰 幸運이었습니다. 學科長 Ron Sadoff, 映畫 <銃알 탄 사나이>의 作曲者 Ira Newborn, Grammy Award Winner 人 Michael Patterson 等 너무나 훌륭하고 仁慈하신 분들이셨죠.

NYU에서 工夫를 거의 마칠 무렵인 2010年에는 Ron Sadoff 의 推薦으로 스페인 無聲映畫 ‘EL HOTEL ELECTRICO’에 제가 피아노 두 臺를 위한 曲을 作曲하였고, 이 曲은 워싱턴 D.C. 에 있는 ‘National Gallery of Art’에서 音樂學者이자 指揮者인 ‘Gillian Anderson’의 指揮 아래 두 臺의 피아노로 演奏되기도 했습니다.

저는 NYU 卒業과 同時에 뉴욕에 있던 프로듀서의 紹介로 本格的으로 映畫音樂 作業을 始作했습니다. 저의 두 番째 映畫 音樂이었던 <피에타>(2012)는 베니스 映畫祭에서 韓國映畫 最初로 黃金獅子賞을 受賞하기도 했고 <標的>(2014)은 칸 映畫祭 미드나잇 스크리닝 部門에 招請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조금씩 映畫音樂과 팝 作業으로 뉴욕에서 活動을 이어가던 저는 2015年 또 다른 꿈을 안고 映畫 産業의 허브인 LA로 移住하게 되었습니다.

LA로 건너온 後, 韓國 大衆音樂, 美國 팝 音樂 作業도 꾸준히 이어가며 美國 映畫 音樂 作業을 하기 위한 만만찮은 準備에 突入하게 됩니다.

現在와 未來 사이에서 하게 되는 自身과의 싸움은 늘 외로운 것이지만 그래도 LA에서 함께 作業하며 알게된 뮤지션 中 Clare Fischer의 아들이자 프로듀서, 作曲家인 Brent Fischer, 그리고 獨特한 音樂 色깔을 가진 作曲家 Victor Bellomo 는 音樂뿐만 아니라 日常의 苦悶을 함께 나누는 좋은 親舊가 되기도 했죠.

처음 LA 로 移住해 왔을 때 힘들었던 點 中의 하나는 錄音을 위한 인프라를 構築하는 일이였습니다. 아는 뮤지션들도 거의 없었고 스튜디오나 엔지니어에 對한 情報도 너무 없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施行錯誤 끝에 只今은 나만의 絃樂器팀이 생겼고, 錄音 空間이 매우 훌륭한 錄音室과도 좋은 關係를 맺게 되었고 또한 마음이 잘 맞는 엔지니어도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漸漸 安定을 찾아가던 中, 뮤지컬 俳優 홍광호 앨범에 프로듀서를 맡게 됩니다. 이 作業이 記憶에 남는 가장 큰 理由는 勿論 홍광호의 멋진 中低音의 목소리와 歌唱力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理由는 누군가의 앨범을 프로듀싱한다는 일이 얼마나 많은 時間과 努力이 要求되는 것인지 酷毒하게 배웠기 때문입니다. (웃음)

뮤지션으로 살아가면서 또 한番의 잊지 못할 作業은 2017年 김동률의 앨범 錄音 이었습니다. 처음으로 런던 심포니 (London Symphony Orchestra) 와 말로만 듣던 에비로드 (Abbey Road Studios) 에서 錄音하게 된 것이죠. 김동률의 ‘答狀’ 이라는 미니 앨범이었고 그 錄音 現場은 제 人生에서 永遠히 記憶될 또 한 番의 멋진 時間이 되었습니다.

이듬해인 2018年 저는 ‘猖獗’의 映畫音樂을 錄音하기 위해 다시 한番 런던으로 向했습니다. 런던 심포니와 에비로드에서 또 한 番의 잊을 수 없는 錄音을 하게 되었고 저는 韓國 映畫音樂을 위해 런던 심포니를 指揮한 韓國 最初의 女性 作曲家가 되었습니다. 勿論 아직 모자란 點도 많고 갈 길이 멀지만 그 當時에는 제 自身이 뮤지션으로서 걸어온 길을 생각하면서 조금은 뿌듯하고 각별한 感懷가 있었답니다 (웃음)

이렇게 여러 分野를 縱橫無盡 뛰어다니는 제 自身을 저는 ‘하이브리드(hybrid) 作曲家’라고 부릅니다. 클래식과 映畫音樂을 工夫하고, 그 音樂的 知識을 바탕으로 大衆音樂과 映畫音樂, TV, 게임 等 멀티미디어를 위한 다양한 장르의 曲을 作業하기 때문이죠. 勿論 요즘은 이러한 作曲家들이 많이 계시기도 하지만요.

[朴仁映, 그리고 사람들]

音樂人으로 살아오면서 많은 분의 도움을 받았고, 저에게 應援과 激勵를 아끼지 않으셨던 모든 분에게 먼저 感謝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네요. 只今 이 瞬間 가장 고마움을 表現하고 싶은 세 분에 對한 이야기를 잠깐 들려드리고 싶은데 그 첫 番째 主人公은 바로 저의 어머니입니다.

어머니는 제 人生에서 그 누구보다도 특별하신 분입니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感性 藝術人 ‘音樂’을 하는 데 있어서 어떤 音樂的 理論보다도 더 重要한 것이 바로 ‘感性’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어머니께서는 제가 情緖的으로 좋은 感性을 쌓아갈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제가 音樂을 始作하면서부터 只今까지도 좋은 音樂人으로 잘 成長할 수 있도록 職·間接的으로 늘 옆에서 힘이 되어주십니다. 事實 저희 아버지는 제가 音樂 하는 것을 많이 反對하셨었는데, 어머니의 도움이 없었다면 저는 아마 音樂을 하지 못했을 수도 있었죠 (웃음) 그렇게 저희 어머니는 저를 끝까지 音樂 敎育을 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셨어요.

어머니의 이런 따뜻하고 溫和한 마음은 非但 저만을 위한 특별한 惠澤은 아니었습니다. 어머니는 누구에게나 眞心으로 對하고 따뜻한 마음을 베풀며 살아오셨어요.

2017年에는 여든의 연세로 平生 힘들게 아껴 모아오신 돈을 ‘어린이財團’에 寄附하기도 하셨어요.

어머니는 많은 苦生을 하시고 예순이 넘으신 나이가 돼서야 비로소 좋아하셨던 音樂을 하고자 福祉館에서 아코디언을 배우시게 되었어요. 아코디언 同好會員들과 함께 養老院과 保育院, 病院 等을 訪問해 아코디언 演奏會 等 公演을 다니시며 幸福을 찾아가고 계십니다.

어머니의 얘기를 하다 보니 저도 모르게 눈시울이 촉촉해지네요. 어머니가 저의 꿈을 이루어주신 크나큰 뿌리와 같은 存在라면 두 番째 고마운 사람은 바로 제가 音樂人生으로 가는 길의 初入에서 저에게 길을 案內해준 音樂人生의 ‘가이드’와도 같은 親舊입니다.

바로 ‘더 클래식’의 박용준이라는 親舊인데요, 이 親舊는 제가 大衆音樂을 始作할 때 因緣이 되어 只今까지도 默默히 옆에 있어주는 든든한 親舊입니다.

SM 엔터테인먼트가 삼전동에 있던 時節, 용준이의 도움으로 種種 SM 錄音室에 놀러 가곤 했었는데 그 時節에 錄音室이라고는 처음 가보는 저였던 터라 錄音 過程을 보는 것이 神奇하기도 했고 많은 도움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機會들을 통해 어깨너머로 大衆音樂에 對한 感을 조금씩 쌓아갈 수 있었고, 용준이에게 미디 프로그래밍도 배우면서 未來의 音樂家 朴仁映을 準備하고 있었던 것 같네요 (웃음)

그 後 꽤 時間이 흘러 제가 現編曲者로 일을 始作한지 오래되지 않았을 때였어요. 어느 날 누군가의 電話를 받았는데, 바로 이승환 氏였습니다. 박용준 本人도 現編曲을 잘하면서도 自己보다 더 잘하는 親舊가 있다며 이승환 氏에게 저를 紹介해준 것이었어요. 같은 分野에 있는 同僚였는데 저에게 어떤 길을 열어주는 役割을 해준것 같아 참으로 고맙고 힘이 되었지요. 앞으로도 서로 應援하면서 오래도록 함께 좋은 音樂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박용준이 제 音樂 人生의 ‘가이드’와 같은 存在였다면, 마지막으로 紹介해드릴 세 番째 人物은 바로 제 人生의 ‘멘토’입니다. 바로 ‘輪狀’氏 인데요, 이 분은 많은 音樂人들이 좋아하는 音樂人이시죠. 저 亦是 윤상 1輯이 나오기 前부터 훌륭한 베이시스트이자 作曲家인 윤상氏에 對한 所聞을 익히 들어왔었고 1輯 앨범이 나온 後로는 完全 팬이 되었죠 (웃음).

時間이 흐르고 꿈에 그리던 윤상氏와의 作業을 하는 機會를 얻었습니다. 濠洲, 멜버른에서 現錄音 作業을 했는데 그것이 저의 첫 海外 縣錄音이었죠. 이때 作業한 앨범이 바로 2000年에 發賣된 윤상 3輯 ‘Cliche’입니다.

그 以後 윤상氏는 留學을 떠났고, 저에게도 持續的으로 留學을 勸誘했습니다. 特히 배움의 重要性과 기쁨에 對해 强調하면서요. 이렇게 제가 美國 뉴욕으로 留學을 가게 된 契機를 마련해주신 분이기도 하죠.

윤상氏는 늘 끊임없는 應援과 날카로운 批判으로 저를 성장시키는 고마운 분 입니다. 只今도 저는 重要한 프로젝트를 끝내거나 자랑할 일이 생기면 윤상 오빠에게 꼭 알리곤 하는데요. 그만큼 저에게는 音樂的으로, 또 精神的으로 매우 든든한 支援軍이자 멘토이십니다.

只今 제가 言及한 분들 以外에도 조동익, 한동준, 윤종신, 김동률, 그리고 柳喜烈 等 그동안 많은 분의 도움과 應援이 있었습니다.

[朴仁映의 메시지]

저는 于先 올해 中盤까지는 팝 音樂 作業에 더 集中하게 될 것 같고요, 올해 中盤부터 來年까지는 主로 映畫, 다큐멘터리, 드라마 音樂 作業이 計劃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韓國 大衆音樂, 韓國 映畫音樂과 더불어 美國 팝 音樂 作業과 美國 映畫音樂度 같이 해나가려고 합니다. 많은 關心과 應援 付託드립니다.

요즘 美國에서는 韓國 콘텐츠들의 位相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pop, 韓國映畫, 韓國 드라마, 韓國 藝能 等 다양한 韓國 콘텐츠가 美國 現地에서 리메이크되거나 製作 準備 中에 있습니다.

저는 韓國人으로서 이런 現象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런 國家 브랜드의 成長에 大韓民國 個個人 모두 自矜心을 갖고 더 發展된 삶을 計劃하시기 바랍니다.

이루지 못할 꿈을 꾸기만 하는 것보다는 ‘目標를 가진 꿈’을 向해 나아가시기 바랍니다. 너무 많은 欲心만 가지고 未來를 計劃하다 보면 實行에 옮기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조금씩, 代身 꾸준히 지치지 않고 꿈을 向해 달려나가는 것이 重要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보다 조금 더 나은 來日을 만들기 위해 努力하는 마음으로 하루하루 最善을 다하셨으면 합니다. 마음속에 불타오르는 熱情과 끈氣가 있다면 언젠가 여러분이 願하는 目標에 많이 다가가 있는 自身을 發見할 것입니다. 저 亦是 그랬었고요 (웃음)

그리고 ‘남을 이기는 것보다 自身을 이기는 일’李 더 重要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의 過去를 凌駕하려 하지 말고, 自身의 過去를 凌駕할 수 있도록 努力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競爭해야 할 사람은 그 누구도 아닌 여러분 自身입니다. 저 亦是 그렇게 努力하는 音樂人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오랜만에 뮤지션으로서 只今까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니 참 많은 일이 있었네요 (웃음)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過去 旅行을 다녀온 듯해요.

정신없고 바쁘게 살아가는 渦中에 이런 時間을 통해 저를 한番 돌아볼 수 있는 機會가 되어서 個人的으로 너무 좋았습니다. 다시 한番 이런 인터뷰 機會를 주신 사운드캣과 레전드 매거진에 感謝드리고 또 인터뷰를 읽어주신 여러분들께도 感謝의 말씀을 傳하고 싶습니다.

感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