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女性 映畫人들②] 박남옥 監督 - 韓國 最初의 女性映畫監督
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181006075355/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294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女性 映畫人들②] 박남옥 監督 - 韓國 最初의 女性映畫監督

박남옥 1923~2017

韓國 最初의 女性監督 박남옥이 메가폰을 잡은 <未亡人> 撮影 現場.

2017年 4月 8日 韓國 最初의 女性映畫監督으로 불리는 박남옥 監督이, 享年 94살로 美國 로스앤젤레스에서 別世했다. 그가 우리에게 알려지기 始作한 것은, 1997年 처음 열린 서울女性映畫祭를 通해서다. 그때 한국영상자료원에 結末部 映像과 一部 사운드가 流失된 채로 네거티브필름만 保管되어 있던 그의 演出作 < 未亡人 >(1955)李 다시 빛을 보게 되었고, 이를 통해 그間 韓國映畫史 記錄에서 注目받지 못했던, 박남옥을 始作으로 한 歷史 속 女性 映畫人들의 活動商道 새롭게 照明되었다. 當時 이러한 作業을 主導한 女性 映畫人들은 社團法人 女性映畫人모임을 結成하였고, <女性映畫人事前> (주진숙·장미희·변재란 外 지음, 圖書出版 소도 펴냄, 2001)과 다큐멘터리映畫 <아름다운 生存: 女性 映畫人이 말하는 映畫>(監督 임순례 , 2001, 以下 <아름다운 生存>) 等의 結實도 맺게 된다. 박남옥 監督이 그 出發點이 되었음은 否認할 수 없는 事實이다.

1923年 慶北 하양에서 태어난 박남옥은 어려서부터 映畫를 무척 사랑했고 文學, 美術, 體育 等 多方面에 才能을 보이던 萬能 少女였다. 特히 運動 實力은 깜짝 놀랄 만한 水準인데, 當時 新聞記事를 檢索해보면 1938, 39年 前朝鮮陸上選手權大會에서 投砲丸 部門 優勝者로 堂堂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타고난 體力은, 後날 映畫演出 現場에서 갓난아기를 둘러업은 채 레디 高를 부를 수 있는 原動力이지 않았을까 싶은 대목이다. 新聞記事 속 그의 이름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當時 各 大學의 入試合格者를 揭載한 1940年 3月 27日子 <東亞日報> ‘入試合格發表’欄을 살펴보면, 박남옥은 李花女子專門學校의 合格生 名單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그가 인터뷰를 통해 言及한 解放 以前의 履歷들이 正確하게 確認되는 셈이다.

김신재 의 熱烈한 팬, 監督이 되다

박남옥은 日帝 時期 朝鮮映畫의 最高 스타였던 김신재의 熱烈한 팬이었다고 한다. 當時 日本 映畫雜誌인 <新映畫>(1942年 11月號)에 나온 최인규 映畫에 對한 記事 中 夫人 김신재에 對한 言及을 읽고 팬이 되었다고 한다. 아마 < 집없는 天使 >(1941)에서 꽃파는 少女 役을 맡은 김신재의 모습에 반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거의 每日 김신재에게 팬레터를 보내고 記事와 寫眞들은 모두 스크랩했다는 그의 證言은, 植民地 朝鮮의 한 少女가 映畫에 熱中하는 모습을 想像해볼 수 있어 무척 印象的이다. 事實 筆者는 大學院 碩士課程 中 <아름다운 生存> 撮影에 參加했는데, 이때 박남옥 監督을 實際로 뵙고 말씀하시는 모습을 지켜보는 所重한 機會가 있었다. 日帝 末期 露骨的인 國策映畫들 사이에서 朝鮮의 農村 風景을 담은 <豐年歌>(監督 방한준 , 1942)가 正말 아름다운 映畫였고, 최인규의 < 授業料 >(1940), < 집없는 天使 >가 얼마나 뛰어난 藝術映畫였는지 證言하시던 대목은 아직도 생생하게 記憶에 남아 있다. 그는 韓國 最初의 女性監督이기 前에 植民地 映畫 文化를 享有하던 映畫 팬이었고, 草創期 韓國映畫史의 산證人이기도 했던 것이다.

박남옥이 本格的으로 映畫 作業에 參與할 機會는 解放과 함께 찾아왔다. 親舊의 男便인 윤용규 監督(그는 解放期의 代表作 < 마음의 故鄕 >(1949)을 監督하고 越北했다)의 紹介로 朝鮮映畫建設本部 傘下의 광희동 撮影所에 스탭으로 入社한 것이다. 그곳에서 드디어 꿈에 그리던 김신재를 만날 수 있었고 以後 末年까지 人生의 親舊로 지내는 出發點이 된다. 이 時期 박남옥은 돈암동의 藝術人村이라 불린 마을에 살았는데, 바로 이웃이 有名한 映畫人들, 卽 김신재와 최인규 夫婦, 김소영과 舞踊家 조택원 커플, 문예봉, 全昌根 , 毒銀器, 윤용규, 한형모 等이었다. 解放 直後 映畫人들이 集結했던 광희동 撮影所에서 編輯助手로 일하던 박남옥은 드디어 現場으로 나가게 된다. 바로 俳優 최은희 의 데뷔作이기도 한 < 새로운 盟誓 >(監督 신경균 , 1947)에서 스크립터를 맡은 것이다. 하지만 女性으로서 當時 映畫 現場에 定着하는 것은 쉽지 않았고, 結局 ‘딴따라 판’을 벗어나 正常的인 結婚을 바라는 父母의 强要로 歸鄕을 選擇하게 된다. 映畫에 對한 그의 熱望이 너무나도 剛했던 것일까. 韓國戰爭이 勃發하는 바람에 박남옥은 다시 映畫界로 돌아갈 機會를 잡는다. 1953年 國防部 撮影臺에 入隊해 記錄映畫 作業에 參與했고, 劇作家 이보라를 만나 結婚까지 이른다. 戰爭이 끝났고, 드디어 그는 自身의 映畫에 着手한다.

박남옥의 데뷔作이자 唯一한 作品인 < 未亡人 >은 이보라가 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一旦 언니에게 돈을 빌려 映畫에 着手했다. 映畫社 이름이 ‘姊妹映畫社’인 것도 바로 그런 理由에서다. 個人的으로 親했던 移民者를 主演으로 내세웠고, 스탭 亦是 知人들로 꾸렸다. 撮影도 아예 低豫算 製作의 基本이라 할 16mm 필름으로 始作했다. 그의 證言에 依하면 데뷔作에 着手하기까지도 힘들었지만, 映畫 現場을 維持하는 것이 더 힘들었다고 한다. 撮影하는 날보다 製作費를 빌리러 다니는 날이 더 많았고, 돌도 지나지 않은 아기를 맡길 곳이 없어 포대기에 둘러업고 撮影現場을 누볐다. 直接 編輯을 하고 全昌根 監督 等의 도움으로 겨우 錄音室을 救해 後半作業을 마치는 等 그야말로 千辛萬苦 끝에 映畫를 開封시켰다.

“女性監督이 아니면 着眼하기 어려운 ‘앵글’의 角度와 事件의 ‘템포’ ‘리듬’의 明快, 畵面과 動作(演技) 等에 生活感情을 銳利하게 融和”(<東亞日報> 1955年 2月 27日子)했다는 開封 直前 映畫評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의 映畫는 評壇의 認定을 받았으나 안타깝게도 興行에는 成功하지 못했다. 戰後 女性들의 欲望을 果敢하게 描寫한 그의 映畫가 너무 앞서갔던 탓이었을까. 변재란 等의 映畫學者들이 指摘하듯이, < 未亡人 >은 但只 最初의 女性監督의 映畫로 修飾되기보다 女性映畫로서의 意味가 더 클 것이다.

映畫評을 쓰다, 映畫界를 떠나다

안타깝게도 박남옥은 더以上 映畫를 만들지 못했고, 1960年 創刊된 <씨네마 팬>의 編輯長으로(그는 解放 前 大邱의 新聞社에서 記者 生活을 하며 映畫評을 쓰기도 했다) 映畫 일을 이어나가다 映畫界를 떠나게 된다. 그의 履歷이 말해주듯, 映畫판에서 機會를 잡은 것이 解放 直後와 韓國戰爭 時期 그리고 前後, 卽 韓國 社會가 가장 혼란스러웠던 時期라는 點은 示唆하는 바가 적지 않다. 박남옥 以後 <女判事>(1962)의 홍은원 , < 민며느리 >(1965)로 演出에 데뷔한 俳優 崔恩喜, < 첫經驗 >(1970)의 황혜미 , < 수렁에서 건진 내 딸 >(1984)의 이미례 等 한손에 꼽을 程度로 女性監督이 이어졌다. 以後 임순례 監督을 筆頭로 굳이 女性監督으로 부르지 않아도 될 程度로, 女性 映畫人들은 各 分野에서 存在感을 發揮하고 있다. 그들이 박남옥에서 出發한 系譜를 이룬다고 또 박남옥의 直接的인 影響을 받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女性으로서 監督 데뷔의 機會를 잡기 위한 孤軍奮鬪의 歷史가 박남옥에서 出發했다는 事實, 그의 映畫 人生이 우리에게 傳하는 가장 큰 意味일 것이다.

* 본 글은 2017年 4月 <씨네21> 1101號에 실린 ‘[追慕] 김신재를 憧憬하던 映畫少女 永眠에 들다’를 再收錄한 것입니다.

關聯映畫

關聯人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