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네이트 韓國學
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131029203046/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13504
  • 生沒年 : 1569-1618
  • 時代 : 朝鮮
  • 分野 : 文身/官僚 > 文身-朝鮮中期 > 文身
1. 家計와 學統

아버지는 徐坰德(徐敬德)의 文人으로서 學者·文章家로 이름이 높았던 同知中樞府事(同知中樞府事) 엽(曄)이며, 어머니는 後娶人 江陵金氏(江陵金氏)로서 禮曹判書 광철(光轍)의 딸이다. 壬辰倭亂 直前 日本通信使의 書狀官으로 日本에 다녀온 性(筬)李 異服兄이며, 鳳(?)과 난설헌(蘭雪軒)李 同腹兄弟이다.
5歲 때부터 글을 배우기 始作하여 9歲 때 詩를 지을 줄 알았다. 12歲 때 아버지를 잃고 더욱 詩 工夫에 專念하였다. 學問은 유성룡(柳成龍)에게 나아가 배웠으며, 詩는 三唐詩人(三唐詩人)의 하나인 이달(李達)에게 배웠다. 李達은 둘째 兄의 親舊로서 當時 原州의 손곡리(蓀谷里)에 살고 있었는데, 그에게 詩의 妙諦를 깨닫게 해주었으며, 人生觀과 文學館에도 많은 影響을 주었다.

分的種 및 分派

남원태氏(南原太氏)는 협계太氏(俠溪太氏)에서 分的하였다.
협계太氏族譜(乙卯報)에 依하면 태맹례는 태集成(太集成)의 8歲손으로 朝鮮初에 武科에 及第하여 濟州牧師(濟州牧使)를 지낸 태이(太異)의 셋째 아들이다. 태맹례는 明川派(明川派)의 罷朝가 되었고, 名千派[南原派]가 협계太氏에서 分的하였다.

2. 여러 官職을 거치다

그뒤 26歲 때인 1594年(宣祖 2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乙科로 及第하고 說書(說書)를 지냈고, 1597年에 文科 重試(重試)에 壯元하였다.
이듬해 黃海道 道士(都事)가 되었는데, 서울의 妓生을 끌어들여 가까이하였다는 彈劾을 받고 여섯달 만에 罷職되었다. 뒤에 春秋館記注官(春秋館記注官)·兄조정랑을 지내고, 1602年 사예(司藝)·私服市井(司僕寺正)을 歷任하였으며, 理解에 遠接使 이정구(李廷龜)의 從事官이 되어 活躍하였다.
1604年 遂安郡守(遂安郡守)로 赴任하였다가 佛敎를 믿는다는 彈劾을 받아 또다시 벼슬길에서 물러나왔다.
1606年 明나라 使臣 住持番(朱之蕃)을 迎接하는 從事官이 되어 글재주와 넓은 學識으로 이름을 떨치고, 누이 난설헌의 詩를 住持番에게 보여 이를 中國에서 出版하는 契機를 만들었다. 이 功勞로 三陟府使가 되었으나 여기서도 석달이 못 되어 佛像을 모시고 念佛과 參禪을 한다는 彈劾을 받아 쫓겨났다.
그뒤 公州牧使로 다시 起用되어 書類(庶流)들과 가까이 지냈으며, 또다시 파직당한 뒤에는 扶安으로 내려가 山川을 遊覽하며 妓生 계생(桂生)을 만났고 賤民出身의 詩人 유희경(柳希慶)과도 交分을 두터이하였다.
1609年(光海君 1)明나라 冊封使가 왔을 때 以上의(李尙毅)의 從事官이 되었다. 이해에 僉知中樞府事(僉知中樞府事)가 되고 이어 刑曹參議가 되었다. 1610年 展示(殿試)의 試官으로 있으면서 조카와 四圍를 합격시켰다는 彈劾을 받아 全羅道 함열(咸悅)로 流配되었다.
그뒤 몇 年間은 態인(泰仁)에 隱居하였는데, 1613年 癸丑獄事에 平素 親交가 있던 書類出身의 서양갑(徐羊甲)·심우영(沈友英)李 처형당하자 身邊의 安全을 圖謀하기 위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阿附하여 對北(大北)에 參與하였다.

3. 逆賊謀議 罪로 斬首되다

1614年 千秋使(千秋使)가 되어 中國에 다녀왔으며, 그 이듬해에는 同志 兼 晉州府使(冬至兼陳奏副使)로 中國에 다녀왔다. 이 두 次例의 射倖에서 많은 明나라 學者들과 사귀었으며 歸國할 때 《太平廣記 太平廣記》를 비롯하여 많은 冊을 가지고 왔는데, 그 가운데에는 天主敎 祈禱文과 指導가 섞여 있었다고 한다.
1617年 左參贊이 되었으며 폐모론을 主張하다가 廢母를 反對하던 領議政 기자헌(奇自獻)과 사이가 벌어지고 기자헌은 吉州로 流配를 가게 되었다. 그 아들 기준격(奇俊格)李 아버지를 求하기 위하여 許筠의 罪狀을 暴露하는 上疏를 올렸으며, 許筠도 上疏를 올려 辨明하였다.
1618年 8月 南大門에 檄文을 붙인 事件이 일어났는데, 許筠의 心腹 玄應民(玄應旻)李 붙였다는 것이 綻露났으며 許筠과 기준격을 對質 審問시킨 끝에 逆賊謀議를 하였다 하여 許筠은 그의 同僚들과 함께 저자거리에서 陵遲處斬을 當하였다.

4. 佛敎 道敎思想에 心醉하다

當時의 許筠에 對한 評價는 총명하고 英發(英發)하여 능히 詩를 아는 사람이라 하여 文章과 識見에 對한 稱讚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그 사람됨에 對하여서는 輕薄하다거나 人倫道德을 어지럽히고 異端을 좋아하여 行實을 더럽혔다는 等 否定的 評價를 내리고 있다. 그의 生涯를 통해볼 때 몇 次例에 걸친 罷職의 理由가 大槪 그러한 否定的 見解를 뒷받침해 준다.
許筠은 國文學史에서는 우리나라 最初의 小說인 〈洪吉童傳〉을 지은 作家로 認定되고 있다. 한때 그가 지었다는 것에 對하여 理論이 提起되기도 하였으나 그보다 18年 아래인 移植(李植)이 지은 《澤堂集 澤堂集》의 記錄을 뒤엎을만한 根據가 없는 以上, 그를 〈洪吉童傳〉의 作家로 보아야 할 것이다. 特히, 그의 生涯와 그의 論說 〈호민론 豪民論〉에 나타난 理想的인 革命家賞을 連結시켜 볼 때 그 具體的인 形象化가 洪吉童으로 나타났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그의 文集에 실린 〈관론 官論〉·〈正論 政論〉·〈病論 兵論〉·〈遺在論 遺才論〉 等에서 그는 民本思想과 國防政策, 身分階級의 打破 및 人材登用과 朋黨排斥의 理論을 展開하고 있다. 內政改革을 主張한 그의 理論은 遠視儒敎思想에 바탕을 둔 것으로 百姓들의 福利增進을 政治의 最終目標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許筠은 儒敎집안에서 태어나 留學을 工夫한 油價로서 學問의 基本을 留學에 두고 있으나 當時의 異端으로 指目되던 佛敎·道敎에 對하여 思想的으로 깊이 빠져들었다. 特히, 佛敎에 對해서는 한때 出嫁하여 중이 되려는 생각도 있었으며 佛敎의 奧妙한 眞理를 接하지 않았더라면 한平生을 헛되이 보낼 뻔하였다는 述懷를 하기도 하였다.
佛敎를 믿는다는 司憲府의 彈劾을 받아 파직당하고서도 自己의 信念에는 아무런 흔들림이 없음을 詩와 便紙글에서 밝히고 있다. 道敎思想에 對해서는 主로 그 養生술과 神仙思想에 깊은 關心을 보이고 있으며, 隱遁思想에도 至極한 憧憬을 나타내었다.
隱遁生活의 方法에 對하여 쓴 〈한정록 閑情錄〉이 있어 그의 關心을 보여주고 있다. 許筠 自身이 西學(西學)에 對하여 言及한 것은 없으나 몇몇 記錄에 依하면, 許筠이 中國에 가서 天主敎의 祈禱文을 가지고 온 것을 契機로 하늘을 섬기는 鶴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곧 그가 새로운 文物과 西學의 理論에 남다른 關心을 보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禮敎(禮敎)에만 얽매어 있던 當時 선비社會에서 보면 異端視할 만큼 許筠은 多角文化에 對한 理解를 가졌던 人物이며, 偏狹한 自己만의 視角에서 벗어나 逼迫받는 下層民의 立場에서 政治觀과 學問觀을 披瀝해나간 時代의 先覺者였다.

5. 많은 著作을 남기다

그의 文集 《惺所覆瓿藁 惺所覆?藁》는 自身이 編纂하여 죽기 前에 外孫에게 傳하였다고 하며, 그 附錄에 〈한정록〉이 있다.
그가 스물다섯살 때 쓴 詩評論집 《학산初淡 鶴山樵談》李 《惺所覆瓿藁》 가운데 실려 있는 〈성수시화 惺?詩話〉와 함께 그의 詩批評 眼目을 보여주는 좋은 資料가 된다. 反對派에 依해서도 인정받은 그의 詩에 對한 鑑識眼은 詩選集 《國朝詩刪 國朝詩刪》을 통하여 오늘날까지도 評價받고 있다. 《國朝詩刪》에 덧붙여 自身의 家門에서 여섯 사람의 詩를 뽑아 모은 《허문세고 許門世藁》가 傳한다.
이 밖에 《告示線 古詩選》·《唐詩選 唐詩選》·《송오가詩抄 宋五家詩抄》·《名사가시선 明四家詩選》·《死體聖堂 四體盛唐》 等의 詩選集이 있었다고 하나 傳하지 않는다. 또, 壬辰倭亂의 모든 事實을 적은 〈同情錄 東征錄〉은 《宣祖實錄》 編纂에 가장 重要한 資料가 되었다고 하는데 亦是 傳하지 않는다. 傳하지 않는 著作으로 〈癸丑남幼初 癸丑南遊草〉·〈을병조천록 乙丙朝天錄〉·〈西邊비로고 西邊備虜考〉·〈한年참기 旱年讖記〉 等이 있다.

참고문헌

  • 許筠의 생각(이이화, 뿌리깊은 나무, 1980)
  • 許筠硏究(金東旭便, 새문社, 1981)
  • 許筠論(李能雨, 淑大論文集 5, 1965)
  • 許筠硏究(金鎭世, 國文學硏究 2, 서울大學校, 1965)
  • 許筠論 再攷(車熔柱, 亞細亞硏究 48, 1972)
  • 許筠(鄭?東, 韓國의 人間像 5, 新丘文化社, 1972)
  • 蛟山許筠(金東旭, 韓國의 思想家 12人, 현암사, 1975)
  • 許筠(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78). 〈金東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