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핀천

토머스 핀천은 1937年 뉴욕州 롱아일랜드에서 태어났고 코넬 大學을 다니던 中 海軍에서 服務했다. 大學 卒業 後 보잉 社에서 技術書 作成 業務를 보다가 첫 小說 'V.'로 一躍 스타덤에 올랐다. 그러나 그 以後로 핀천은 作品 發表 外에 大衆에게서 모습을 감췄다. 인터뷰도 없었고 寫眞도 없었다. 言論은 이런 그에게 '隱遁者'라는 라벨을 붙여줬지만 핀천의 말에 따르면 '隱遁者'라는 라벨은 인터뷰를 拒絶하는 사람들에게 言論이 붙이는 '暗號名'이다. 그는 아마 그저 自己 뻐드렁니가 猖披했을 뿐인지도 모른다.

大衆에게 핀천은 作品들보다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作家'로서 더 알려졌지만 決코 그가 그것 때문에 사람들의 關心을 받는 것은 아니다. 只今 이 글을 쓰고 있는 本人도 言論의 인터뷰를 頑强히 拒否해왔지만 (그 理由는 勿論 인터뷰를 要請하는 言論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거기 關心을 갖는 사람은 없다. 사람들이 핀천에게 關心을 갖는 理由는 當然히 그의 作品들이다.

핀천은 初期에 發表한 短篇 小說 몇 篇 外에 (알려진 作品 中 한 便만 빼고 모두 그의 短篇集 '늦게 배우는 사람'에 收錄됐다) 세 篇의 '짧은 小說' ('49號 競賣品의 외침', '바인랜드', '固有의 瑕疵')과 네 篇의 '긴 小說' ('브이.', '重力의 무지개', '메이슨과 딕슨', '그날이 올 때까지 (Against the Day)')을 썼다. '짧은 小說'들은 캘리포니아를 背景으로 현대를 그리고 있고 '긴 小說'들은 유럽을 包含해 全 世界를 背景으로 重要한 歷史的 時期들을 다루고 있다.

핀천의 트레이드마크라면 萬華鏡 같은 플롯, 빈틈없는 描寫, 高級文化와 大衆文化의 區別없는 受容, 科學技術의 完璧한 借用, 被害妄想的 歷史 認識 等을 들 수 있다. 또 빼먹을 수 없는 것이 언제 노래를 부르며 브로드웨이 俳優처럼 춤을 추기 始作할 지 모를 怪짜 登場 人物들이다. 그의 小說에서는 워싱턴도 自己 下人에게 스탠드업 코메디를 시키며 마리화나를 피운다. 이런 登場人物들은 歷史라는 無彩色 背景 위에 잉크를 쏟은 듯 여러가지 色깔의 얼룩이 번지게 한다. 於此彼 '熱力學的 죽음'으로 向하는 宇宙지만 그 위에서 나름의 춤을 추며 '저 건너 世上'에서 나오지 않을 것 같은, 그러나 가끔씩 엉뚱한 곳에서 그 옷자락을 내비치는 神의 救援을 기다린다. 그들의 춤이 歷史의 墮落을, 엔트로피의 增加를 實際로 늦추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날이 올 때까지.

그의 첫 長篇 小說인 '브이.'는 두 男子의 이야기이다. 베니 프로페인은 海軍에서 除隊하여 混亂스런 現代의 뉴욕에서, 放蕩한 藝術家 集團을 만든 無意味한 것만 같은 苦惱에 찬 젊은이들과 섞여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허버트 스텐실은 그의 아버지의 글에서 '歷史의 危機'의 瞬間마다 登場하는 '브이.'라는 女人에 對한 얘기를 發見하고 그 女人의 正體를 찾아 探偵처럼 歷史의 痕跡을 뒤진다. 이들 두 사람의 이야기는 마지막에 스텐실이 프로페인을 데리고 말타로 向하면서 V字 模樣으로 합쳐진다.

1966年 發表된 '49號 競賣品의 외침'은 存在하는지 存在하지 않는지 알 수 없는 '트리스테로'라는 祕密 集團의 存在를 追跡하는 女主人公 에디派 마스(主人公의 이름을 잘못 읽으면 '오이디푸스, 헛소리'價 된다)의 이야기이다. 實際 存在하는 것인지 보는 사람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인지 알 수 없는 表式들을 따라 迷宮 속을 헤매며 陰謀를 파헤쳐간다는 이 小說의 줄거리는 以後 數없이 많은 小說에서 借用되었으며 有名한 例를 들자면 움베르토 에코의 '푸코의 振子'가 있다. 이 小說에 登場하는 消音器를 단 喇叭의 그림은 60年代 對抗文化의 象徵 中 하나가 됐다.

7年의 空白 後 發表한 '重力의 무지개'는 空白 期間이 어떻게 그것 밖에는 안 됐는지, 어떻게 7年 만에 이런 怪物을 만들어냈는지 疑訝하게 만드는 小說이다. 2次世界大戰 末期 獨逸의 V2로켓 攻擊 下에 놓인 런던에서 始作하는 이 小說은 로켓의 抛物線 軌跡을 追跡해가는 사람들을 통해 歷史의 暴力的인 辨證法과 回歸, 人間의 宿命과 自由에 對해 이야기하고 있다.

以後의 空白은 더 길었다. '重力의 무지개'가 發表되고 17年 後 發表된 '바인랜드'는 1980年代가 되었는데도 아직 히피 生活을 淸算하지 못하고 미치광이 짓을 해 國家 醫療 豫算을 타먹으며 홀로 딸 프레어리를 키우는 조이드 휠러가 헤어진 아내 프레네詩를 追跡하는 FBI 要員들과 겪는 葛藤을 다루고 있으며 60年代 半 文化 運動과 그 餘波, 그리고 그 때와 마찬가지로 如前히 暴力的인 公權力에 對한 批判的 視角을 보여주고 있다. 特히 이 小說에서는 大衆文化의 飽和된 影響力 속의 삶을 보여주면서 高級文化를 徹底히 排除하고 大衆文化에 對한 言及 만을 하고 있으며 플롯도 空中 拉致, 닌자 修鍊園, 祕密 殺人 拳法 等의 '싸구려 장르 文學'에서 借用했다.

有名한 評論家 마이클 더다는 '메이슨과 딕슨'(1997)을 보면 핀천의 天才性의 限界를 알 수 없다고 한다. 메이슨과 딕슨은 美國 獨立 前 펜실바니아와 매릴랜드 사이의 論爭에 휩싸인 株 境界를 決定하기 위해 400킬로미터에 達하는 距離를 測量했다.

이들이 그은 線은 以後 南北 戰爭에서 南과 北을 가르는 境界의 一部가 되면서 歷史的 意味를 띠게 된다. 小說은 英國의 天文學者 메이슨과 測量가 딕슨이 錦城의 太陽面 通過를 觀測하기 위해 南아메리카로 向하면서 始作된다. 南아메리카의 植民地 狀況은 主人公들이 美國으로 測量 旅行을 떠나며 美國의 人種 問題, 인디언과의 葛藤 問題와 連結된다. 小說은 主人公들이 西쪽으로 測量을 해가며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을 통해 '可能했었을 지도 모르는' 美國의 다른 歷史를 꿈꾼다. 또한 두 主人公의 友情을 통해

그동안 보기 쉽지 않던 作家의 感傷的인 面을 보여준다.

'그날을 기다리며'(2006)는 핀천의 小說 中 가장 긴 小說이다. (핀천의 小說들이 길기로 有名하기에 이건 正말 쉽지 않은 記錄이다.) 小說은 1893年 시카고 世界 엑스포에서 始作해 1次 世界大戰 勃發 時點까지 다양한 사람들의 人生 歷程을 다루고 있다. 超認知能力을 가진 探偵, 勞動運動家, 數學도, 寫眞家, 資本家 들을 包含한 수많은 登場人物들을 통해 마치 世界를 담으려는 努力을 하는 것 같은 小說이다. 特히 器具를 타고 다니는 10代들의 모임인 '偶然의 벗들'이 펼치는 冒險은 小說의 플롯의 뼈대가 된다. 여러 個의 줄기를 꼬아 놓은 形態의 플롯을 갖고 있고 各各의 줄기는 다른 장르의 스타일로 敍述된다.

여러가지 實驗的 試圖가 있지만 이 小說은 다른 小說과 比較해 꽤 線形的인 構造를 維持하고 있다. '歷史로부터의 舊怨'이라는 主題는 如前히 主要한 背景을 이룬다.

'固有한 瑕疵'는 핀천의 唯一한 '장르 小說'이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小說들을 연상시키는 導入部를 包含해 全體 構成이 正統 探偵 小說의 構成을 따른다. 60年代 半 文化 運動이 맨슨의 殺戮으로 致命的인 傷處를 입고 숨결이 끊어져가던 1970年, 마리화나에 절은 探偵 닥 스포텔로는 前 女子親舊가 連累된 恐喝 陰謀를 搜査하다가 不動産 巨物이 連累된 殺人 事件의 容疑者로 指目받게 된다.

핀천의 小說들이 壯大하고 무거운 主題를 다룬다는 것은 事實이다. 歷史에 對한 洞察, 文明 社會와 知識에 對한 批判 等. 그러나 핀천을 읽는 가장 큰 理由는 小說로서의 재미이다. 핀천만한 이야기꾼은 正말 찾아보기 힘들다. 그는 그 自體로도 興味津津한 이야기를 하면서 同時에 讀者의 머리 속에 徐徐히 無意識的인 形象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멋진 나무들과 여러 動物들의 모습을 鑑賞하며 오솔길을 지나고 나면 讀者는 方今 自己가 지난 숲이 얼마나 雄壯한 것이었는지 새삼 깨닫게 된다.

'重力의 무지개' 한글版에 修正 揭載된 內容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