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朝鮮王朝實錄
檢索
詳細檢索 文字入力機
明宗實錄 18卷, 明宗 10年 5月 16日 己酉 2番째記事 1555年 名 家庭(嘉靖) 34年

全羅道 觀察使 金株價 달량포에 倭船 70餘 隻이 侵略해왔다고 雉鷄하다

全羅道 觀察使 김주(金澍) 가 雉鷄(馳啓)하기를 ‘5月 11日에 倭船(倭船) 70餘 隻이 달輛(達梁) 【浦口 이름이다.】 밖에 와서 碇泊했다가 이진포(梨津浦) 달량포 에서 東쪽과 西쪽으로 나뉘어 陸地로 上陸하여 城底(城底)의 民家를 불태워 버리고 드디어 城을 包圍했다.’ 하였다.

當初에 倭船 11隻이 바다 섬 가운데 나타났다가 마침내 陸地로 上陸하여 더러는 號角을 불며 불을 놓고 더러는 槍을 휘두르며 칼을 빼들고 덤비므로, 가리포 僉使(加里浦僉使) 이세린(李世麟) 이 卽刻 兵士(兵使) 원的(元績) 에게 馳報(馳報)하자, 원적 이 長興 府使(長興府使) 寒溫(韓蘊) , 靈巖 郡守(靈巖郡守) 이덕犬(李德堅) 과 나아가서 救援하려고 달輛 으로 달려갔다가 包圍되었다.

이때 太平한 지 오래 되어 紀律(紀律)李 解弛(解弛)해지고 凶年이 잇달아 軍卒들이 지쳤는데, 內部(內部)에는 方略을 計劃하는 臣下가 없어 朝廷의 計策이 이미 틀어지고 外部(外部)에는 敵愾心(敵慨心)을 가지고 侵入을 防禦하는 將帥가 없어 邊方의 守備가 안 되었다. 그러다가 倭寇(倭寇)들이 갑자기 밀어닥치게 되자 中外(中外)가 騷亂해져 모두들 어수선하게 두려워하는 생각만 품고 抑制하여 막을 計策을 하지 못했다. 邊方의 城들은 바라만보고도 무너졌고 調整은 束手 無策(束手無策)으로 앉아만 있었으며 大臣들은 비록 날마다 備邊司(備邊司) 에 모였지만 計劃하는 것이 하나도 施行할 만한 方策이 없었다.

使臣은 論한다. 이때의 將帥와 宰相들은 國家에 變故가 없는 때에는 안일(安逸)·부유(富裕)·존귀(尊貴)·영화(榮華)의 즐거움만 누리고 장구(長久)韓 計策을 세우지 않으면서 오직 貪慾을 멋대로 부렸다. 한없는 欲心이 채워지지 않아 邊方의 將帥들에게 責任지워 받아내는 짓을 한 者는 宰相들이고, 怨讐처럼 거두어들여 軍卒들을 侵奪(侵奪)하는 짓을 한 者는 長壽들로서, 苟且하게 自身의 利益만을 圖謀하고 國史(國事)는 돌보지 않았다. 外部의 오랑캐들이 쳐들어왔다는 邊方의 警報가 이미 이르렀는데도, 朝廷에는 代身이 없고 外方에는 어진 將帥가 없어 措置해 갈 만한 計策을 내지 못하고 但只 戰戰 矜矜하여 두려워하기만 하였다. 盜賊의 칼날이 向하는 곳에 敢히 무어라 하는 사람이 없어 마침내 國家의 恥辱을 가져왔으니 痛歎스러운 마음을 견딜 수 있겠는가?

使臣은 論한다. 國家가 太平한 歲月이 오래이므로 臨時 措置만 하는 行政이 많아 紀綱(紀綱)李 紊亂해지고 공도(公道)가 없어졌다. 백사(百司)와 郡邑(郡邑)의 官員들은 쓸데없이 자리만 지키고 있으면서, 오직 權勢있는 要路(要路)에 阿附하여 좋은 벼슬에 올라가고, 賂物로 아름다운 名譽를 차지하는 짓을 하여 自己 한몸을 위한 일만 할 뿐 國家의 일에 對해서는 소 닭보듯이 하였다. 將帥나 宰相들은 職務에는 태만하고 恒時 恩惠는 갚고 怨恨은 報復하는 짓만 하다가 邊方에 한番이라도 風塵(風塵)李 일어나면 唐慌하여 어찌할 줄을 몰랐다. 內部에는 豫備하여 防禦해 갈 計策이 없고 外部에는 攻擊하여 싸울만한 準備가 없으므로, 盜賊의 칼날이 向하는 곳마다 꺾이지 않는 데가 없어 無人之境에 들어오듯 하였으니 痛歎스러운 마음을 견딜 수 있겠는가?


  • 【太白山史庫本】 12冊 18卷 33張 B면 【국便影印本】 20冊 268面
  • 【分類】
    軍事-軍政(軍政) / 外交-왜(倭) / 歷史-私學(史學)

全羅道 觀察使 金澍 馳啓曰: "五月十一日, 船七十餘隻, 來泊 達梁 【浦名。】 外, 自 梨津浦 達梁浦 , 分東西下陸, 焚蕩城底閭閻, 遂圍其城" 云。 初 船十一隻, 見於海島中, 終至於下陸, 或吹角縱火, 或揮?拔?, 加里浦 僉使 李世麟 卽馳報於兵使 元績 , 長興 府使 韓蘊 靈巖 郡守 李德堅 , 將往救之, 馳赴 達梁 , 因爲所圍。 時昇平日久, 紀律解弛, 飢饉相仍, 軍卒困悴, 內無?謨籌?之臣, 而廟算已謬, 外無敵愾禦侮之將, 而邊圍不守。 倭寇 猝至, 中外騷然, 皆懷洶懼之心, 罔有制禦之謀。 邊城望風而潰, 朝廷束手而坐。 大臣雖日會於備邊司, 而其所規?, 無一可施之策也。

【史臣曰: "爲今將相者, 當國家無事之日, 享安富尊榮之樂, 不爲長久之圖, 而惟欲是恣。 谿壑不盈而徵責於邊帥者, 相也; 用乂??, 而漁奪其軍卒者, 將也。 其心以爲苟利於己, 國事其如我何, 及其外夷伺?, 邊報已至, 而朝無大臣, 外無良將, 無策可措, 徒爲戰懼, 賊鋒所向, 莫敢誰何, 終致國家之辱, 可勝痛哉!"】

【史臣曰: "國家昇平日久, 政多姑息, 紀綱板蕩, 公道泯滅, 百司、郡邑, 徒守虛器, 惟以附權要而?美仕, 行賄賂而得佳譽, 爲一身之事業, 其於國事, 不?如 之肥瘠, 將相恬嬉, 常以報復恩怨爲事, 至於邊塵一起, 而蒼黃失措, 內無備禦之策, 外無攻戰之具, 賊鋒所向, 莫不?陷, 如入無人之境, 可勝痛哉!"】


  • 【太白山史庫本】 12冊 18卷 33張 B면 【국便影印本】 20冊 268面
  • 【分類】
    軍事-軍政(軍政) / 外交-왜(倭) / 歷史-私學(史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