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윤채근 SF] 次元 移動者(The Mover) 8-3|新東亞

[윤채근 SF] 次元 移動者(The Mover) 8-3

行星의 죽음

  • 윤채근 단국대 敎授

    .

    入力 2020-05-18 09:55: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卓越한 이야기꾼 윤채근 단국대 敎授가 SF 小說 ‘次元 移動者(The Mover)’를 連載한다. 過去와 現在, 地球와 宇宙를 넘나드는 ‘次元 移動者’ 이야기로, 想像力의 새로운 地平을 선보이는 이 小說 지난 回는 新東亞 홈페이지에서 確認할 수 있다.<편집자주>

    1

    비욱의 屍身은 急速히 말라갔다. 輸液 循環이 멈춘 둥근 눈은 차츰 光彩를 잃더니 이내 쪼그라들어 땅 밑으로 사라졌다. 宿主로부터 빠져나온 으름스는 그 모습을 끝까지 지켜봤다. 波動이 다가와 말했다. 

    “이제 떠나자. 이 行星엔 希望이 없다.” 

    波動을 따라 行星 大氣圈까지 上昇한 으름스가 물었다. 

    “希望이 없다는 건 무슨 뜻인가?” 

    “말 그대로다. 이 行星은 머잖아 滅亡한다. 너 같은 離脫者들 때문이다.” 



    “攝動派가 밀려오나?” 

    “그렇다. 隣接 銀河에서 發生한 巨大한 攝動派가 다가오고 있다. 저 두 太陽이 漸漸 가까워지고 있었던 理由를 아직 모르겠나? 이 行星의 現在 施工은 먼지처럼 粉碎될 거다. 運이 나쁘다면 行星 次元 秩序마저 뒤틀릴 수 있다.” 

    “攝動派가 次元 秩序까지 뒤틀 수 있나?” 

    “勿論이다. 그 때문에 次元 移動은 더 嚴格하게 禁止되고 있다. 난 警告 없이 널 소멸시킬 수도 있었다.” 

    “次元 秩序가 뒤틀리면 어떻게 되나?” 

    “글세…. 그것까진 모르겠다. 아마 該當 施工 次元 사이의 同一性이 喪失되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異質的인 次元이 자꾸 增加할 테고 結局엔 서로 衝突할 거다.” 

    “次元끼리 뒤엉키다 마지막엔 事件 發生까지 不可能해지는 건가?” 

    “글쎄. 그건 아직 아무도 모른다. 狀況이 惡化된다면 아예 次元에 空白이 招來되거나…, 아니면 블랙홀을 凌駕할 暗黑支店으로 變化하겠지.” 

    “暗黑地點?” 

    “入口도 出口도 없는 完璧한 무.”

    블랙홀로 4次元 時空間에 주름을 만든 뒤 그 사이 웜홀을 利用해 바늘로 꿰매듯 움직이는 워프 이동은 攝動派 誘發 原因 中 하나였기에 制限的으로만 許容됐다. 짧은 워프 後엔 긴 光束 移動이 이어졌고 次元 安定性이 確保되면 다시 짧게 워프해야만 했다. 安息의 星團을 向하는 이 긴 旅程은 으름스에게 지루할 따름이었다. 

    “난 個體로 남고 싶다.” 

    으름스가 속삭이자 移動 速度를 늦춘 波動이 물었다. 

    “移動者로 남고 싶다는 뜻인가?” 

    “잘 모르겠다. 그저 感覺을 지닌 채 무언가를 느끼고 싶다. 星團으로 돌아가 意識을 버리고 永遠한 安息에 들기엔…, 난 너무 未熟한 것 같다.” 

    “짝을 그리워하나?” 

    한참 망설이던 으름스가 對答했다. 

    “非욱이 그립다.” 

    으름스는 非욱이 그리웠다. 비욱의 부드러운 觸手는 늘 서늘해 어루만질 때마다 爽快한 느낌을 일으켰다. 相對를 配慮해 만들어낸 갖가지 香氣는 無限한 想像을 刺戟했고, 하늘에 펼쳐진 별의 律動과 기막히게 共鳴했다. 非욱이 옆에 있는 한 一抹의 외로움도 깃들 틈이 없었고 그렇게 永劫토록 靜止해 있어도 좋을 것 같았다. 

    “非욱이 그립다.”

    3

    얼음 星團 外郭은 이리저리 떠다니는 氷質의 隕石과 그 隕石이 破壞한 小行星의 殘骸로 넘쳐나고 있었다. 이 모든 건 오래前 星團 中心部에서 일어난 超新星 爆發의 餘波였다. 한참 沈默하던 波動이 말했다. 

    “난 追擊者 가운데 오래된 便이다.” 

    갑자기 旅程을 멈춘 理由를 궁금해하던 으름스가 조용히 물었다. 

    “멈춘 理由가 무언가?” 

    “提案을 하고 싶어서다.” 

    周邊을 크게 돈 으름스가 물었다. 

    “놓아주는 거라면 謝絶한다. 쫓기고 싶지 않다.” 

    “그 反對다. 或是 追擊者 되고 싶은 생각은 없나?” 

    으름스는 對答할 수 없었다. 수많은 性間 物質이 빚는 빛의 파노라마를 말없이 凝視하던 波動이 다시 말했다. 

    “넌 追擊者로서 最適의 條件을 갖췄다. 우리가 지닌 音波化된 感覺보다 몸이 주는 官能的 感覺을 選好하는 것 아닌가? 그럼에도 移動 自體엔 關心이 없고. 追擊者가 되려면 離脫者만큼 次元 移動을 거듭하되 極度로 自制할 줄 알아야 한다. 移動을 즐기는 瞬間 變節하기 때문이다.” 

    으름스는 如前히 對答하지 않았다. 波動이 덧붙였다. 

    “난 오래됐다. 瞬發力 있거나 加速 能力이 剛한 離脫者를 追擊하기엔 이제 力不足이다. 너처럼 非活性이거나 移動 速度가 느린 離脫者만 捕獲할 수 있게 됐다.” 

    오래 망설이던 으름스가 물었다. 

    “날 어떻게 믿나?” 

    으름스 곁으로 바싹 다가선 波動이 말했다. 

    “넌 潛在的 加速 能力이 뛰어나다. 그리고…, 비욱 속에 처음 육화됐을 때 비욱의 視角으로 네 本質을 봤다.” 

    “어떤 本質인가?” 

    “非욱이 構成한 너는…, 멀리 볼 줄 아는 觀覽者였다. 끈氣 있고 冷徹하며 想像力이 豐富했다. 그건 追擊者에게 必要한 德目이다. 그래서 150年 동안 觀察하며 기다렸다.” 

    오랜 沈默 끝에 으름스가 살며시 속삭였다. 

    “비욱은 眞心으로 날 좋아했나?” 

    “眞心으로 아끼고 尊敬했다.” 

    “비욱의 記憶을 아직 간직하고 있나?” 

    “조금.” 

    “어떤 記憶인가?” 

    暫時 망설인 波動이 낮게 속삭였다.
     
    “永遠한 離別.”


    윤채근
    ●1965年 忠北 淸州 出生
    ●고려대 國語國文學 博士
    ●檀國大 漢文敎育學科 敎授
    ●著書 : ‘小說的 主體, 그 誕生과 轉變’ ‘漢文小說과 欲望의 構造’ ‘神話가 된 天才들’ ‘論語 感覺’ ‘每日같이 明心寶鑑’ 等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