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21世紀 小說의 地圖와 領土의 現象學|新東亞

21世紀 小說의 地圖와 領土의 現象學

  • 함정임│小說家·동아대 文藝創作科 敎授 etrelajiham@empal.com

    入力 2012-09-20 10:2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21세기 소설의 지도와 영토의 현상학

    ‘地圖와 領土’<br>미셸 우엘벡 지음, 장소미 옮김, 文學동네, 518쪽, 1萬4800원

    지난 8月 4日 子正 무렵 파리에 到着해 날이 밝자마자 달려간 곳은 센 江邊 咫尺의 지베르 조제프라는 단골書店이었다. 프라하에서 파리로 오자마자 곧바로 프랑스 北東部 國境地帶에 있는 랭보의 故鄕 마을 샤를르빌 메지에르로 向하는 길이었다. 以後 사흘 동안 프랑스와 벨기에를 自動車로 돌아볼 豫定이었다. 自動車를 골목에 暫時 세워놓고 늘 그렇듯 書店에 들어서자마자 2層으로 뛰어 올라갔다. 그리고 (늦었지만) 올해 미슐랭 地圖를 샀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尖端 디지털 時代에, 그것도 世界 디지털 超强國인 三星 本社가 있는 韓國에서 온 作家로서는 뜻밖의 行動이라 여길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앞으로 世上이 어떻게 變한다 해도 每年 新版 地圖를 살 것이고, 그것에 依支해 낯선 길을 떠날 것이고, 그 어떤 作品에서보다 벅찬 感動을 느낄 것이다.

    아버지가 車에 기름을 가득 채우는 동안 第드는 아버지의 付託으로 크뢰즈 地域의 미슐랭 地圖를 샀다. 비닐 包裝된 클럽 샌드위치 陳列臺에서 두어 발짝 떨어져 地圖를 펼쳐들었을 때, 第드는 生涯 두 番째로 커다란 美學的 發見을 했다. 地圖의 아름다움에 戰慄이 일었다. … 그는 크뢰즈 地域과 오트 비엔 地域을 15萬分의 1로 縮小해놓은 이 미슐랭 地圖만큼이나 훌륭하고 感動的이고 意味 있는 物件은 한 番도 본 적이 없었다. - 미셸 우엘벡 지음, 장소미 옮김, 文學동네, ‘地圖와 領土’ 中에서

    내가 처음 指導의 存在를 알게 된 것은, 그러니까 指導의 魅力에 푹 빠지게 된 것은 한글을 막 깨쳤던 初等學校 1學年 때였다. 저녁 食事가 끝나고, 宿題까지 마친 오빠와 나는 指名 찾기 놀이에 熱中하곤 했다. 딱히 놀잇감이 없던 때였고, TV보다는 라디오에 친숙했던 時節이었다. 미션으로 주어지는 指名은 작고 稀微하게 적혀 있는, 主로 奧地였고, 때로는 눈앞에 큼지막하게 쓰여 있는 大都市가 슬쩍 搜索 對象이 되기도 했다. 地圖는 廣闊한 宇宙였고, 地名은 셀 수 없이 퍼져 반짝이는 별이었다. 그때 내 눈에 들어온 별, 아니 地名을 後날 지나가거나 直接 訪問하는 일이 생기기도 했는데, 그때는 마치 映畫나 小說 속 假想의 都市 속으로 들어가듯 神祕로운 氣分에 사로잡히곤 했다. 어쩌면 일찍부터 먼 곳, 낯선 곳을 憧憬하며 틈만 나면 떠나려는 노마드的인 氣質은 그때 指導찾기의 恍惚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하여, 때로 나는 이렇게 堂堂히 외치며 사는지도 모른다. 地圖, 그것은 곧 나에게 事前이고, 世上이고, 文學이다.

    指導 속에는 世界에 對한 科學的 技術的 理解와 모더니티의 本質이 動物的 삶의 本質과 한데 섞여 있었다. 色깔로 區分되는 略號만 使用한 그림은 複雜하고 아름다웠으며, 完全無缺한 明瞭함을 가지고 있었다. 重要度에 따라 달리 標示된 各各의 마을과 村落들에서 數十, 數百餘 生命과 靈魂들의 脈搏 소리와 喊聲이 들리는 듯했다. 그中 어떤 靈魂들에게는 天刑이, 어떤 靈魂들에게는 영생이 約束되어 있을 터였다. - 위의 冊 中에서

    ‘地圖와 領土’의 線解釋



    地圖愛好家를 넘어 指導例贊者인 나에게 미셸 우엘벡의 ‘地圖와 領土’는 프랑스에서 出刊되던 瞬間(2010)부터 題目만으로도 나를 사로잡았다. 1年 後 韓國語版으로 飜譯돼 나오자마자 點檢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런데 나는 卽時 그것을 읽고 쓰지 않았다. 겨울과 여름 中央아메리카와 유럽으로 떠났다가 돌아와서 書齋 壁과 書架에 現地 地圖들을 붙여놓고 그 앞에 서곤 했는데, 그때마다 그것은 冊床 한 便에서 길어지는 沈默에 抗議하듯 隨時로 나를 刺戟했다. 그러면 나는 冊床 위에 地圖를 펼쳐놓고 컴퍼스를 든 채 몸을 비스듬히 굽혀 빛이 쏟아져 들어오는 窓밖을 凝視하는, 베르메르의 油畫‘地理學者’(1668)를 떠올렸고, 그때마다 精神醫學者 크리스토프 앙드레가 쓴 이 ‘地理學者’에 對한 洞察을 喚起했다.

    數世紀 동안 우리는 떨어져 있었음에도 不拘하고, 地理學者의 探究는 우리와 가까이 있다. 作業室의 닫힌 空間으로부터 그는 世界地圖를 그리느라고 熱情을 바치고 있다. … 事實 우리는 늘 幸福을 찾고 있다. … 畫家들은 神祕를 푸는 데 그림은 하나의 가이드가 되거나 그 自體로 수수께끼가 될 수 있다. … 우리의 地理學者, 그도 하나의 수수께끼를 찾으려고 애쓴다. 오랫동안 잘못된 方式으로 그것을 찾고 探究하고 亭亭하고 省察해왔다는 事實을 그는 마침내 認識하게 된다. 그래서 그는 고개를 들어 빛이 들어오는 쪽으로 고개를 돌린다. - 크리스토프 앙드레 지음, 함정임·박형섭 옮김, 마로니에북스, ‘幸福의 技術’ 中에서

    베르미르의 ‘地理學者’와 2012/13年 미슐랭 프랑스指導를 거쳐 지난 8月 10日, 나는 及其也 파리에서 돌아오자마자 ‘地圖와 領土’를 펼쳐 들었다. 그러나 그것으로도 나는 무엇인가, 망설이고 있었다. ‘領土(territoire)’가 내내 마음에 걸렸다. 내가 알기로, 그것은 單純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프라하에서 파리에 到着하자마자 美術랭 地圖를 챙겨 달려갔던 샤를르빌 메지에르의 랭보와 관계된 것이고, 랭보가 외친 정언 ‘絶對 現代 世界로 들어가라’와 관계된 것이고, 그리고 20世紀 프랑스의 精神分析學者인 펠릭스 가타리와 哲學者 질 들뢰즈가 오랜 歲月 共同으로 探究한 ‘千 個의 高原’으로 收斂되는 것이다. 곧, 領土란 무엇인가! 미셸 우엘벡의 ‘地圖와 領土’를 읽으려면 그러니까, 쿤데라가 ‘커튼’에서 指稱한, ‘先(先)解釋’들에 對해 點檢해야 했다.

    어떤 事物에 自己 이름을 署名하는 것과 어떤 땅에 自己 旗발을 꽂는 것은 같은 일이다. 어느 高等學校 校長은 校庭에 흩어져 있는 나뭇잎을 한 張도 남김없이 주운 다음 圖章을 찍어 元來대로 뿌려두었다. 署名(sign)韓 것이다. 領土를 나타내는 指標는 旣成品(ready-made)이다. … 素朴한 藝術家는 領土性의 運動 가운데 表現의 質料를 形成하고 解放시킨 것뿐이다. 이것이 바로 藝術의 土臺 또는 土壤을 이루고 있다. 어떤 것이라도 醉해 表現의 質料로 바꾸는 것. - F.가타리 · G.들뢰즈 지음, 김재인 옮김, 새물결, ‘千 個의 高原’ 中에서

    領土보다 흥미로운 地圖

    미슐랭 地圖와 베르미르의 ‘地理學者’, 그리고 가타리와 들뢰즈가 앞서 解釋한 ‘領土론’을 通過한 뒤에야 나는 ‘地圖와 領土’의 첫 場을 열 수 있었다. 파리에서 돌아온 지 한 달 만이었고, 冊床 한 篇에 이 冊이 자리 잡은 지 1年 만이었다. 小說의 基本的인 特性은 ‘재미’에 있지만, 小說이 時代를 超越해 生命力을 確保하게 된 것은 이 재미와 더불어 우리 삶의 벅찬 瞬間과 感動을 傳하는 記錄과 見解(史上), 美(美·藝術)의 機能을 遂行해왔기 때문이다. 記錄은 事實(fact·歷史)의 次元에, 思想은 世界觀(비전)의 次元에, 미는 새로움(도전)의 次元에 連繫된다. 小說을 持續的으로 읽는 行爲는 人間과 世上에 對한 探究이며, 探究는 年代記的 흐름과 只今-이곳의 現象을 두루 살필 수 있는 鑑識眼의 作動과 硏磨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파리國立藝術學校 出身의 제드 마르탱이라는 寫眞家이자 畫家를 主人公으로 현대와 藝術의 關係, 人間의 삶과 죽음의 方式, 威脅的으로 變化하는 21世紀의 速度와 屬性을 正面으로 다루고 있는 미셸 우엘벡의 ‘地圖와 領土’를 끝까지 (살피며 또 견디며 甚至於 재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는 데 特히 必要하다.

    제드 마르탱이 生涯 後半部에 沒頭했던 作品들은 유럽 産業時代의 終末, 보다 폭넓게는 人類가 이룩한 産業 全體의 一時的이고 덧없는 特性에 對한 鄕愁 어린 冥想으로 비칠 수 있다. … 當惑感은 제드 마르탱이 이 땅에서 사는 동안 함께 했던 人間들을 素材로 한 作品, 卽 酷毒한 氣候의 影響을 받아 分解되고 剝離되고 散散이 찢겨나간 寫眞들을 撮影한 映像을 마주할 때도 繼續된다. 아마 이것이 人類의 全滅을 象徵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리라. -미셸 우엘벡 지음, 장소미 옮김, 文學동네, ‘地圖와 領土’ 中에서

    이것은 寫眞家이자 畫家인 제드 마르탱의 最後를 證言하는 形式의 小說 마지막 대목이다. 小說은 한 人間의 生涯를 順次的으로 誠實하게 쫓아가는 傳統的인 敍事의 흐름에서 벗어난 지 오래됐다. 作家는 人物에게 일어난 事件과 事件에 담긴 時間을 解體해 (혼란스럽게) 再配置하고, 讀者는 혼란스러운 事件과 時間의 조각을 하나하나 찾아 한 篇의 (반듯한) 퍼즐 作品으로 完成해간다. 作家의 氣質에 따라 誘發하는 混亂의 程度가 다른데, 미셸 우엘벡의 境遇, 振幅도 크고 內容도 다채롭다. 小說이라는 種子가 世上에 던져진 後 只今껏 그랬지만, 21世紀의 小說家들은 文字 또는 記號로 할 수 있는 모든 實驗이 可能한 장르가 小說임을 證明하려고 애쓰는 中이다. 額子形式에다 多重時點은 基本이고 甚至於 小說 속에 自身을 直接 등장시키는가 하면, 古典的인 藝術批評에서부터 21世紀的 디지털 媒體 環境의 知識과 情報 짜깁기까지 ‘地圖와 領土’를 통해 우엘벡이 이끄는 小說的 行步는 종횡무진하다. 窮極的으로 그것은 그가 小說 題目을 통해 傳하고자 했던 主題, 곧 ‘地圖는 領土보다 興味롭다’ 한 文章으로 歸結된다. 그리고 地圖를 小說로, 領土를 現象學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純全히 나, 또는 讀者의 몫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