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第2 돈바스 될까…'확전 憂慮' 提起된 트란스니스트리아는 :: 共感言論 뉴시스通信社 ::
  •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第2 돈바스 될까…'확전 憂慮' 提起된 트란스니스트리아는

登錄 2022.04.28 15:26:44 修正 2022.04.28 19:38: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우크라 接境 親러 地域…國際社會 認定 안 한 分離獨立

러, 兵力 1500名 駐屯에 經濟 支援…"러시아 衛星國家"

잇따른 爆發 두고 서로 誹謗…우크라 "러의 自作劇"

[팔랑카=AP/뉴시스] 지난 26일(현지시간) 몰도바 국경 도시 팔랑카에 우크라이나 피란민들을 위한 캠프가 설치돼 있다. 2022.04.28.

[팔랑카=AP/뉴시스] 지난 26日(現地時間) 몰도바 國境 都市 팔랑카에 우크라이나 避亂民들을 위한 캠프가 設置돼 있다. 2022.04.28.


[서울=뉴시스] 이혜원 記者 = 몰도바의 親러 分離獨立 紛爭 地域인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잇따른 主要 施設 攻擊을 받으면서, 우크라이나 戰爭이 몰도바까지 擴戰되는 것 아니냐는 憂慮가 나오고 있다.

러시아軍이 掌握한 우크라이나 南部와 連結돼 있어, 러시아의 軍事 作戰이 이곳까지 擴大될 수 있다는 可能性이 提起되고 있다.

27日(現地時間) 英國 日刊 가디언에 따르면 트란스니스트리아는 드네스트르江과 우크라이나 南西部 國境 사이에 位置한 地域으로, 옛 蘇聯 崩壞 以後 몰도바에서 分離 獨立했다.

分離主義者들은 1992年 親西方 性向 몰도바 政府를 相對로 戰爭을 벌였고, 分離主義 勢力을 支持한 러시아軍 介入으로 戰爭이 終了됐다. 이 過程에서 數百名이 死亡했다.

2006年 國民投票에서 有權者 97.1%가 러시아 合倂을 支持해, 루마니아와 다른 옛 蘇聯 國家들처럼 유럽聯合(EU)에 加入하려는 몰도바 努力을 좌절시켰다. 다만 當時 國民投票는 國際社會 認定을 받지 못했다.

現在 親政府 分離主義者가 統制하고 있으며, 러시아 兵力 1500名과 大規模 武器庫가 配置돼 있다. 如前히 키릴 文字를 使用하고 있으며, 人口 大多數가 러시아語를 使用한다. 自體 通貨와 保安軍, 旅券 等도 갖고 있다.

러시아는 無料 가스 供給 等으로 트란스니스트리아 經濟를 支援하고 있으며, 軍隊를 駐屯시켜 事實上 衛星國家로 삼고 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곳곳엔 大型 레닌 銅像 等 蘇聯 象徵物이 大擧 配置돼 있다.

[서울=뉴시스] 지난 26일(현지시간) 몰도바의 친러 분쟁지역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러시아 라디오 방송 송신탑 2개가 공격을 받아 파괴돼 있다. (사진=NEXTA TV 트위터 갈무리) 2022.04.28.

[서울=뉴시스] 지난 26日(現地時間) 몰도바의 親러 紛爭地域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러시아 라디오 放送 送信塔 2個가 攻擊을 받아 破壞돼 있다. (寫眞=NEXTA TV 트위터 갈무리) 2022.04.28.


앞서 우크라이나 國境 地域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선 지난 25日과 26日 各 國家安保部 廳舍와 러시아 라디오 放送 送電塔 2個가 攻擊을 받는 事件이 發生했다.

攻擊 主體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는 背後로 러시아를 指目하고 있다. 2014年 크름반도(러시아식 表記 크림半島) 事態나 이番 우크라이나 侵攻과 같이 이른바 '自作劇'을 벌여 러시아軍 介入 名分으로 삼으려 한다는 指摘이다.

特히 이番 攻擊은 러시아 高位 司令官이 몰도바에서 러시아語 使用 人口가 抑壓받고 있다고 主張한 지 며칠 만에 發生했다. 루스貪 민네카예프 러시아 中部 軍官部 副司令官은 우크라이나 南部 掌握이 러시아와 트란스니스트리아를 連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發言하기도 했다.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우크라이나의 테러라고 主張하며 糾彈하고 있다. 러시아는 背後를 指目하지 않으며 狀況을 지켜보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宮 代辯人은 지난 26日 取材陣에게 이番 攻擊에 對해 "憂慮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우크라이나 東部 親러 도네츠크人民共和國(DPR) 側은 "러시아는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다음 軍事 作戰 段階 計劃에 考慮해야 한다"며 軍事 介入을 부추기고 있다.


◎共感言論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記事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댓글
  • 홈페이지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