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라이프점프 LifeJump

SEARCH

검색창 닫기

디지털이 바꾼 事業 環境···우리 모두 ‘社長’이 되어 봅시다!

[人生2幕 디지털 遊牧民으로 살아가기]<15>

■정남진 시니어 소셜미디어 마케터

/최정문 디자이너


지난해 이맘때쯤 洞네에 24時間 無人 프린트숍이 생겼다. 버스 停留場에서 집으로 걸어오는 길목에 있던 터라 늘 마주치는 곳이었지만, ‘無人’이라는 單語가 어쩐지 낯설고 生疏하게 느껴졌다. 그러던 어느 날, 큰맘 먹고 이곳을 한 番 利用해 보기로 했다.

無人 프린트숍을 처음 利用하던 날

門을 열고 들어서니, 서너 坪 남짓 空間에 PC 몇 臺와 複合機 몇 臺가 놓여 있었다. 書類 몇 張을 프린팅하기 위해 準備해 간 건 딱히 없었다. PC는 늘 켜져 있다. 이메일을 열고 파일을 내려받는다. 늘 하던 方式으로 파일을 열어 ‘印刷’ 버튼을 누르니, 祕密番號를 設定하라고 한다. 이番엔 PC 옆 複合機로 移動해 秘番을 入力하자 ‘카드를 꽂고 決濟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黑白은 70원, 컬러는 250원이란다. 決濟가 이뤄지고 치익 치익 소리가 나나 싶었는데 어느새 設定한 數만큼 프린트物이 쏟아져 나온다. 와우! 神奇하다. 이 過程 어느 部分에도 군더더기 하나 없다. 언제 어디서나 必要한 分量만큼 딱 그만큼의 費用만 支拂하면 된다. 果然 디지털 新世界다.

디지털時代가 가져온 큰 變化 中 하나는 共有經濟다. 굳이 내가 무언가를 所有하지 않고도 必要한 時間만큼 또는 必要한 空間만큼 費用을 支拂하고 暫時 빌려 쓰면 되는 時代가 됐다. 24時間 無人 프린트숍처럼 디지털 技術 德分에 이런저런 共有 서비스들이 生活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말 그대로 우리는 只今 디지털 인프라 ‘豐年’을 맞고 있다. 最小限의 費用으로, 예전엔 꿈도 꿀 수 없었던 最上의 서비스를 맘껏 누릴 수 있게 됐다.

디지털 共有經濟가 몰고 오는 可能性의 時代

요즘처럼 景氣가 어려우면 시니어들의 再就業 市場은 더 빨리 얼어붙는다. 職場을 나와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보려고 여기저기 기웃거리지만 이미 隱退를 한 사람들을 반갑게 맞아줄 일자리는 글쎄, 참 쉽지 않아 보인다. 기껏해야 1年 남짓, 大部分 몇 달짜리 短期 일자리만 보인다. 勿論 그것마저도 쉽지 않다. 시니어들에겐 힘이 빠지는 現實이다.

하지만 挫折하고 머물러있을 일만은 아닌 것 같다. 디지털로 눈을 조금 돌려보면, 特히 디지털이 몰고 온 共有經濟 인프라를 注目해 보면 새로운 可能性이 보인다.

요즘 시니어들이 어떤 사람들인가. 只今의 디지털 革命을 最初로 經驗한 디지털 첫 世代이면서 어쩌면 우리 歷史에서 專門 知識과 經驗을 가장 體系的으로 쌓은 ‘專門人 첫 世代’다. 이런 디지털 力量과 專門人으로서의 力量을 잘 活用한다면 어느 世代도 가질 수 없었던 潛在力을 發揮해 가장 잘 꽃피울 수 있는 그런 世代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들 시니어들 앞에 디지털 인프라가 無窮無盡하게 펼쳐져 있다. 무언가를 試圖해 볼 수 있는 最上의 環境이 마련되어 있다. 再就業의 劣惡한 現實에만 얽매일 必要는 없다. 나만의 일, 작고 素朴하더라도 나만의 事業을 벌여보기에 참 좋은 世上이다.

예전엔 事業을 한다는 것, 나의 名義로 事業體를 낸다는 건 무척이나 힘든 일이었다. 리스크도 컸다. 먼저, 事業者登錄證을 내기 위해서는 번듯한 事務室 한 칸쯤은 갖춰야 했다. 그리고 그 事業體가 株式會社같은 法人의 模樣새를 갖추기라도 한다면 最少 5000萬 원 以上의 資本金을 마련해야 했었다. 人力을 아무리 最少化한다고 해도 經理 等 支援 業務를 위해 적어도 1, 2名 以上은 雇用해야 했다. 勿論, 프린터나 複合機 같은 事務機器와 什器類 等도 別途로 마련해야 했다. 當場 收益이 나지 않아도 固定費는 꼬박꼬박 나갔다. 이 모든 費用 하나하나가 리스크 要因들이었다.

디지털이 바꾸어 놓은 事業 環境

디지털時代가 되면서 事業體를 運營하는 環境이 크게 바뀌었다. 무엇보다 共有經濟 서비스의 影響이 컸다. 프린터나 複合機 같은 事務機器類는 더 以上 購買하지 않아도 된다. 印刷가 必要하면 24時間 언제든 洞네 無人 프린트숍을 찾아서 必要한 만큼 費用을 支拂하고 쓰면 된다. 共有오피스 서비스 德分에 이젠 事務室의 槪念도 바뀌었다. 돈이 많이 들어가는 事務室 空間을 굳이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最小의 費用으로 必要한 만큼의 空間을 빌려 쓰면 된다. 그것도 負擔이 된다면 그냥 私書函 機能을 提供하는 住所地 서비스를 利用하면 된다. 그렇게 ‘빌린’ 住所地 하나면 事業者登錄도, 法人登錄度 모두 可能하다. 발품을 조금 더 팔면 每달 단돈 몇萬 원으로도 法的인 正體性을 完璧하게 갖춘 나만의 事業體를 세울 수 있다. 株式會社 같은 法人을 設立하고 싶다면 인터넷에서 클릭 몇 番 만으로 손쉽게 處理할 수 있다. 5000萬 원 以上의 資本金도 이젠 必要 없다. 단돈 1萬 원만 있어도 언제든 株式會社를 設立할 수 있는 時代가 됐다.

디지털 德分에 經理業務度 손쉽게 處理할 수 있게 됐다. 大韓民國은 電子政府 分野에서 世界 1, 2位를 다툴 만큼 앞서 있다. 事業을 始作해서 첫 賣出이 생기게 되면 經理業務를 맡은 職員이 없더라도 인터넷 홈택스 사이트에 接續해 클릭 몇 番만으로 稅金計算書를 發行할 수 있다.

디지털時代, 우리 모두 社長이 되어봅시다!

그間 職場生活을 하면서 會社에서 나의 個人通帳으로 入金해 주는 月給만으로 살아왔다면, 이제는 收入의 通路를 하나 더 늘려 볼 必要가 있다. 나만의 事業體를 만들고 첫 賣出의 規模가 크건 작건 個人通帳이 아닌 내 事業體의 通帳으로 資金이 入金되는 經驗, 그것은 어쩌면 새로운 人生을 體驗하는 것 같은 짜릿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人生 2幕을 始作하는 시니어들이 再就業에만 매달린다면 眞正한 나의 潛在力을 發揮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 規模가 아무리 작더라도, 나를 代表하는 또 하나의 나의 分身같은 事業體를 만들어 運營해 본다면, 그間 나도 알아채지 못했던 ‘대단한’ 潛在力이 發現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나의 삶이 擴張되는 그런 體驗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젠, 雇用되기를 기다리지 말고 스스로를 雇用해 보는 것이다. 그래서 거듭 提案해 본다. “디지털時代, 우리 모두 社長이 되어봅시다!”
정남진 記者
doer0125@sedaily.com
< 著作權者 ⓒ 라이프점프, 無斷 轉載 및 再配布 禁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