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韓國史/近代社會의 胎動/宗敎의 새 기운/天主敎의 傳播와 敎勢 擴大 - 위키文獻, 우리 모두의 圖書館 本文으로 移動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韓國史/近代社會의 胎動/宗敎의 새 기운/天主敎의 傳播와 敎勢 擴大

위키文獻 ― 우리 모두의 圖書館.

天主敎의 傳播와 敎勢 擴大〔槪說〕 [ 編輯 ]

天主敎는 西洋文化의 流入(流入)과 더불어 傳來되었다. 그것은 名(明)에 와 있던 宣敎師들을 통해서 西洋의 文化가 吸收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새로운 宗敎의 傳播에 對해서 처음으로 關心을 가진 것은 이수광(李?光)·利益(李瀷)·安鼎福(安鼎福) 같은 實學者들이었다. 天主敎가 本格的 信仰 實踐運動으로 들어가고 따라서 社會像·政治上의 重大問題로 擡頭하기 始作한 것은 正祖 7年(1783) 蛇行(使行)의 一員으로 北京에 갔던 이승훈(李承薰)의 歸國과 더불어 始作되었다.이 같은 運動에 參加한 主要 人物로서는 이가환(李家煥)·정약전(丁若銓)·정약종(丁若鍾)·丁若鏞(丁若鏞)·이승훈·耳甓(李蘗)·권철신(權哲身)·권일신(權日身)·김범우(金範禹) 等을 들 수 있다. 그들은 若干의 中人(中人) 階級 및 例外를 빼고는 大部分 南人들이며, 그들의 團結은 公告한 바가 있었다. 그리하여 兩班 中에서는 政權에서 疏外된 南人의 詩派學者(時派學者), 階級的으로는 抑壓받는 中人이나 常民 및 社會的으로 差別받는 婦女子가 天主敎의 平等思想에 共鳴하여 이를 많이 信仰했다.이와 같이 天主敎는 漸次로 身分上의 制約을 무너뜨리고 民衆 속에 뿌리를 박게 되었으며, 知識層이 壓迫에 못이겨 背敎(背敎)를 했을 때도, 下流層에서도 도리어 이를 지키고 傳播해 갔던 것이다. 天主敎가 流行한다는 것은 兩班 官僚 中心의 社會, 家父長制的(家父長制的)인 家族制度의 社會, 儒敎至上主義 社會에 對한 思想的인 挑戰이었으며, 이로 인한 論難이 典禮問題(典禮問題)로 表面化하였다.이에 國家에서는 天主敎를 邪敎(邪敎)로 規定하고 正祖 10年(1786)부터는 北京으로부터의 書籍 購入을 禁하였다. 正祖 15年(1791)에는 鎭山(珍山) 事件이 일어났다. 卽 鎭山에서 母喪(母喪)에 新株(神主)를 없앤 윤지충(尹持忠)을 死刑에 處한 事件으로서, 이와 같은 典禮問題가 契機가 되어 天主敎는 漸次 彈壓을 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淸나라 사람인 新婦 周文謨(周文謨)가 入國하여 活躍함에 따라 敎勢가 더욱 擴張되어 約 4千의 信徒가 생겼다. 正祖가 昇遐하고 順調가 卽位하면서 정순대非(貞純大妃) 金氏가 垂簾聽政(垂簾聽政)하고자 天主敎에 對한 酷毒한 迫害가 닥쳐왔으니, 이것이 辛酉邪獄(辛酉邪獄)이었다. 이 敎難(敎難)은 天主敎에 對한 彈壓일 뿐만 아니라 詩(時)·壁(僻)派 사이의 政治鬪爭과 큰 關係가 있는 것이었다. 이 때에 황사영(黃嗣永)李 몰래 北京으로 白書(帛書)를 보내려다 잡혀 反對派에게 反國家的 行爲라는 絶好의 구실을 提供해 주었다.안동 金氏가 勢道를 잡은 뒤에는 天主敎에 對한 甚한 彈壓은 없었고, 그 동안 朝鮮 敎區가 獨立, 西洋 新婦로서는 最初로 模倣·샤스탕(Chastun) 等이 들어와서 天主敎勢가 크게 일어나려 하였으나 憲宗 5年(1839) 當時 勢道政治를 하고 있던 풍양 조氏에 依해 己亥邪獄(己亥邪獄)이 일어났다. 以後는 마카오에서 김대건(金大建)李 歸國하여 活躍하다가 殉敎하였다.헌종이 昇遐하고 哲宗이 들어서면서 安東 金氏가 執權하여 天主敎에 對한 禁壓은 즐어들었으며, 이에 많은 西洋人 宣敎師가 들어오고 信徒도 늘어났는가 하면, 堤川에는 神學校가 設立될 程度로 天主敎世가 漸漸 커졌다.

辛酉邪獄 [ 編輯 ]

辛酉邪獄

純祖 卽位초에 일어난 天主敎 迫害事件. 詩派·僻派의 政治鬪爭에서 詩派의 除去를 오랜 宿願으로 한 僻派가 社交(邪敎)排斥을 名分으로 일으킨 事件이다. 正祖 15年의 辛亥邪獄(辛亥邪獄) 以來 正祖의 在位期間 동안은 天主敎에 對해 比較的 寬大한 政策을 썼고 淸나라 神父 周文謨(周文謨)가 入國함에 따라 새로운 기운이 胎動했으나 純祖 卽位와 함께 이런 기운은 逆轉하고 말았다. 나이 어린 純祖의 後見(後見)을 맡은 정순대非(貞純大妃)는 男인 詩派를 打倒하기 위해 天主敎를 邪敎(邪敎)로 規定, 代金押領(大禁壓令)을 내리고 老論 僻派와 連結했다. 이리하여 詩派 男인 系統의 天主敎徒들은 無慈悲한 迫害와 살륙을 當했으며, 이 때에 이승훈·권철신·정약종·李家煥·周文謨 等이 死刑당하고 정약전·丁若鏞은 流刑을 當하였다. 雪上加霜으로 黃嗣永의 帛書事件이 일어나 天主敎 彈壓의 좋은 口實이 되었으며, 이에 關聯된 者를 모조리 죽이고, 淸國 政府에는 天主敎 彈壓 理由와 經緯 그리고 朱神父 處刑 經緯를 報告했다. 이 獄事로 滿 1年 內外에 虐殺당한 信徒만도 300名이 넘었다.

己亥邪獄 [ 編輯 ]

己亥邪獄

憲宗 5年(1839)에 일어난 天主敎 迫害事件. 純祖 1年(1801)의 辛酉邪獄으로 天主敎歲는 몹시 萎縮되었으나 安東 金氏가 勢道를 누리면서는 김조순(金祖純)李 詩派(時派)였기 때문에 天主敎에 對한 彈壓이 없었다. 그 동안 敎區가 獨立하였으며, 西洋人 新婦로서는 처음으로 模倣·샤스탕(Chastun)·앵베르(Imbert) 等이 들어와서 天主敎世가 回復되고 信徒는 增加되어갔다. 이에 놀라 朝廷에서는 다시 迫害 議論이 일어났고, 드디어 憲宗 5年(1839)에 第2次 大虐殺을 展開하였다. 當時 朝廷에서는 金大妃를 中心으로 한 安東 金氏에 對立하여 憲宗의 母后(母后)인 조氏의 戚族 풍양 조氏의 僻派가 새로 登場하면서 無慈悲한 迫害 旋風이 휘몰아쳐 많은 敎徒가 投獄·虐殺되었고, 3人의 西洋人 神父도 殉敎하였다. 當時 朝廷에서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을 막자는 것이 重要한 課題로 登場되었고, 따라서 迫害와 살륙度 無慈悲하였다. 이 事件을 契機로 憲宗은 斥邪綸音(斥邪綸音)을 發表하고 5家作統法(五家作統法)을 더욱 强化시켜 天主敎 信仰을 禁했다.

丙寅邪獄 [ 編輯 ]

丙寅邪獄

1866年(高宗 3) 大院君이 天主敎人들을 크게 虐殺한 事件. 本來 天主敎에 對해서 특별한 反感이나 怨恨이 없던 大院君이 갑자기 天主敎徒의 大虐殺을 敢行하게 된 裏面에는 天主敎에 對한 沒理解(沒理解)나 反感보다도 러시아의 南下政策이 重要한 原因으로 作用하였다. 1864年(高宗 1) 러시아人이 경흥부(慶興府)에 와서 通商을 要求하였을 때, 大院君 以下 政府要員들의 놀람과 唐慌은 대단하였지만, 이에 對한 對策 講究에는 束手無策이었다.이 反面에 몇몇 天主敎人들은 이 事件에 對해 重大한 關心을 가지고 그 對策을 스스로 생각하여 이를 大院君에게 建議하였다. 卽 나폴레옹 3歲의 威力을 업고 한·佛·英 3國 同盟이라도 締結할 수 있다면 러시아의 南下政策을 막을 수 있으리라는 것이었고, 그들은 그들대로 이것이 成事되면 布敎(布敎)의 自由도 얻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 것이었다. 이리하여 그들은 大院君으로부터 프랑스 宣敎師를 만나게 해달라는 請을 받는 데까지 成功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그 時期를 놓치고 말았으니 모처럼의 이러한 大院君의 態度에 機敏하게 應하지 못하고 時日을 遲延시킨 것이었다. 地方에서 布敎에 從事하던 다블뤼 主敎와 베르累 主敎가 서울에 들어왔을 때는 이미 時期가 너무 늦었다.그 동안 調整에서 그렇게도 시끄럽던 러시아人의 月經(越境) 行爲와 通商 要求도 時日이 經過함에 따라 지나친 杞憂(杞憂)였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한便 天主敎徒의 至鈍(遲鈍)·無能한 周旋(周旋)과 無責任한 發說로 ‘雲峴宮(雲峴宮)에도 天主學(天主學)쟁이가 出入한다’는 所聞만 長安에 퍼지니, 大院君도 所期의 成果는 到底히 거둘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그의 出世를 積極 支持해 준 조大妃(趙大妃) 以下 要路(要路) 對官(大官)들도 天主敎의 策動을 非難하기 始作하였다. 때마침 淸나라에서도 天主敎 彈壓이 다시 고개를 들어, 大院君으로서도 自身의 政治的 基盤을 위태롭게 하는 冒險은 하고 싶지 않다는 心情에 이르렀다. 이리하여 天主敎徒에 對한 一切의 期待를 抛棄하고 目前의 輿論에 率先 順應함이 上策이라고 決心, 天主敎 彈壓令이 短時日 內에 準備되고, 이것이 全國을 휩쓸게 되었다.1866년(고종 3) 正月 大院君의 天主敎 彈壓 敎領(敎令)李 布告되자, 이로써 프랑스 宣敎師 12名 中에서 9名이 虐殺당한 것을 筆頭로 不過 數個月 동안에 國內 信徒 8,000餘 名이 悽慘한 虐殺을 當하였다. 山中(山中)으로 避身하여 쫓겨다니다가 病으로 죽고, 굶주림에 쓰러지는 婦女子와 어린이가 不知其數였으며, 이 통에 信徒도 아닌 者들이 박해당한 例도 許多하였다. 그러나 大院君 政府는 아직도 逮捕되지 않은 3名의 프랑스 神父의 行方을 追跡하였다. 여기서 脫出에 成功한 리델 神父는 天津(天津)에 있는 프랑스 海軍司令官 로오즈 提督에게 이 事實을 報告하여 丙寅洋擾(丙寅洋擾)를 招來하는 結果가 되었다.

黃嗣永 白書 [ 編輯 ]

黃嗣永帛書

1801年(純祖 1) 辛酉邪獄(辛酉邪獄) 때 天主敎徒 黃嗣永이 北京에 있는 主敎에게 酷毒한 迫害의 顚末報告와 그 對策을 흰 緋緞에 記入한 密書(密書). 黃嗣永은 慶尙道 昌寧(昌寧) 사람으로 鄭약현(丁若鉉:若鏞의 맏兄)의 사위이다. 中國人 神父 周文謨(周文謨)에게 알렉산드로라는 校名으로 領洗를 받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으며, 1791年(正祖 15) 17歲의 어린 몸으로 進士에 合格하여 試驗管을 놀라게 하였고, 王으로부터 稱讚과 學費를 받았다.1798

9年 頃에는 서울에 머물면서 나이 많은 여러 敎友들에게 敎理를 가르쳐 주고, 敎理書를 謄寫하였다. 周文謨 神父가 들어오자 그를 도와 布敎에 힘썼으며, 中國에까지 그의 심부름을 갔다. 辛酉邪獄이 일어나자 忠淸北道 堤川郡 봉양면(鳳陽面) 배론(舟論)이라는 土器를 만드는 天主敎徒의 마을에 가서 土窟 속에 숨었다. 황심(黃心)이라는 熱烈한 信者와 黃嗣永이 連絡이 닿아 危機에 놓인 朝鮮 敎會를 救出할 方策을 相議했다.그들은 朝鮮敎會가 迫害받은 實情을 仔細히 記錄하고 敎會의 再建策을 呼訴하는 길이 62m, 너비 38cm되는 흰 明紬 緋緞에다 한줄에 110字씩 121行, 都合 1萬 3千餘 者를 검은 먹으로 깨알같이 쓴 긴 便紙를 황심(黃沁)과 沃川희(玉千禧)로 하여금 10月에 떠나는 冬至使 一行에 끼어서 北京 主敎에 傳達하려고 하였다. 白書 속에는 發送人 황심의 이름만이 씌여 있으며, 지은 날짜는 <天主 降生後 1801年 西滿). 달두(達?) 瞻禮(瞻禮)後 1日> (9月 22日:陽曆 1801年 10月 29日)이라고 적혀 있다.이 密書를 지은 黃嗣永은 不幸히도 9月 29日 잡혀 서울로 끌려올라와 11月 5日에 處刑되었으며 家産을 몰수당하고 어머니는 巨濟島(巨濟島), 妻는 濟州道(濟州道), 아들은 추자도(楸子島)에 各各 귀양갔다. 먼저 잡힌 황심과 沃川희度 며칠 前에 各各 處刑되었다. 白書는 官憲의 손에 넘어가 朝廷을 啞然케 하고 天主敎의 彈壓은 한層 嚴峻하게 되었으니 이것을 黃嗣永帛書 事件이라고 한다.그러나 朝廷에서도 問題의 深刻性에 비추어 事件 顚末의 辨明冊으로 이 白書를 줄이고 원 記錄에서 不利한 周文謨 等에 關한 記事는 되도록 빼고 고쳐서 겨우 1行에 65字 15行, 都合 860餘 者로 만들어 明紬緋緞에 써서 冬至使 兼 眞珠紗(陳奏使)로 北京 靑帝(淸帝)에게 報告하여 諒解를 求하였다.오늘날 傳하는 白書는 原本과 寫本의 2種이 있으며, 이것은 辛酉迫害 後 近 百年 동안 義禁府 倉庫 속에 保管되어 오다가 1894年 甲午更張 뒤 發見되어 當時 朝鮮 敎會의 主敎이던 뮈텔(Mutel)의 손으로 넘어갔다가 1925年 7月 5日 로마에서 朝鮮 殉敎福者 79名의 諡福式이 擧行될 때에 敎皇에게 傳達되어 只今은 로마 敎皇廳에 保管되고 있다. 現在 影印本이 있으며 佛語로 飜譯된 것도 있다.백서의 內容 中 原文의 內容은 大略 3個 대목으로 나눌 수 있다. 1. 當代는 敎勢와 周文謨

神父의 活動과 社屋 때의 殉敎者 藥典, 2. 朱神父의 自首(自首)와 受刑(受刑), 3. 政界의 實情과 以後 布敎하는 데 必要한 4個의 根本 建議冊은 아래와 같다. ① 西洋 帝國의 同情을 얻어 性交(聖敎)를 받들어 나가고 百姓들의 救濟에 必要한 資本의 要求. ② 淸皇帝(淸皇帝)의 同意를 얻어 西洋人 神父를 보낼 것. ③ 朝鮮을 淸에 附屬시키고 親王(親王)에게 命하여 조선국을 監督케 할 것. ④ 戰爭을 모르는 朝鮮에 倍 數百 隻과 强한 兵士 5, 6萬으로 西洋 全校臺(傳敎隊)를 組織해 와서 宣敎師의 捕校를 쉽도록 할 것 等이다. 이와 같이 當時의 常識으로는 容認될 수 없는 極端의 文句까지 使用하였으며 뮈텔 主敎도 佛譯本(拂譯本) 序文에서 ‘陰謀의 大部分이 空想的이며 危險千萬한 것’이라는 同時에 ‘朝鮮 政府가 筆者에게 嚴罰을 加했다는 點도 理解할 수 있다’고 論하였다. 辛酉邪獄에 對한 貴重한 史料이다.

斥邪綸音 [ 編輯 ]

斥邪綸音

憲宗 5年(1839) 西敎(西敎)를 排斥하기 위하여 國民에게 내린 綸音(綸音). 太祖 以後 歷代의 敎訓·格言을 모아 사(邪)의 肺毒을 指摘하고 귀정(歸正)의 길을 가르친 것이다. 檢校提學(檢校提學) 조인영(趙寅永)李 猪津(製進)한 것으로 한글로 飜譯하여 大衆이 알기 쉽게 하였다.

이승훈 [ 編輯 ]

李承薰 (1756

1801)

朝鮮 最初의 天主敎 零細(領洗) 敎人. 교명은 베드로, 本貫은 平昌(平昌), 書狀官(書狀官) 동욱(東郁)의 아들. 훌륭한 兩班으로 南人(南人) 學者의 家門에 났으며,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20歲 前後에 高明한 學者들과 사귀었고, 1780年(正祖 4) 眞사(進士)試驗에 合格했다.당시 南人 學者들 사이에는 베이징(北京)으로부터 들어온 西學(西學:天主敎)李 單純한 學問으로 硏究되다가 漸次 그 뛰어난 眞理를 깨달음에 이르러 하나의 實踐學으로 받아들여 마침내 宗敎的 信仰으로 귀의(歸依)해 가는 뚜렷한 움직임이 있었다.1783년(정조 7)에 이승훈은 冬至使 兼 社은정사(冬至使兼謝恩正使) 황인점(黃仁點)의 書狀官(書狀官)으로 베이징에 가는 아버지를 따라 가기로 決心했다. 이 旅行은 當時 南人 學者들 中에서도 가장 熱烈히 天主敎를 硏究하던 李蘗(李蘗)·정약종(丁若鍾)·丁若鏞(丁若鏞) 等의 周旋에 依한 것으로 떠나기 前에 李蘗은 李昇薰을 찾아와 懇切히 付託하기를 “베이징에 가거든 곧 天主堂에 가서 歐羅巴 敎師(敎師)를 만나고 모든 것을 그들에게 물어서 敎義(敎義)의 깊고 참된 뜻을 밝히며, 天主 敎理의 實踐 方法을 仔細히 살피고, 또 必要하고 重要한 敎理의 實踐 方法을 仔細히 살피고 또 必要하고 重要한 敎理에 關한 冊을 모두 가지고 돌아오게. 人間이 죽느냐 사느냐 그리고 永遠토록 幸福하느냐 不幸하느냐가 달린 큰 問題가 자네에게 매여 있네”라고 하였다. 世界 天主敎上

類例 없는 民族的 自進 歸依의 特使로서 이승훈은 이해 10月 14日 서울을 떠나 12月 21日 베이징에 到着했다. 40餘 日 동안

이곳에 머무르며 主敎座(主敎座)이던 남천주당(南天主堂)에서 筆談(筆談)으로 敎理를 배운 後, 이듬해 1月 이승훈은 그라몽(Louis de Grammont) 神父로부터 領洗를 받고 朝鮮 敎會의 주춧돌이 되라는 뜻에서 베드로(Peter:盤石)라는 本名(本名:敎命)을 받았다. 1784年(正祖 8) 3月 24日 이승훈은 數十 種의 敎理書와 十字苦像(十字苦像)·默珠(默珠) 그 밖에 貴重한 物件들을 가지고 서울에 돌아왔다.마침내 1785年(正祖 9) 봄 名例洞(明禮洞:明洞) 김범우(金範禹)의 집에 最初의 朝鮮 敎會를 세우게 되고, 李蘗·李家煥(李家煥) 및 정약종·정약전(丁若錢)·丁若鏞 3兄弟와 더불어 主日미사와 說法을 行하면서 敎理書를 한글로 飜譯하여 널리 頒布했다. 1789年(正祖 13)에는 官職에 나가 平澤 縣監(平澤縣監)을 지내기도 했으나 1791年(正祖 15) 天主敎의 全國的 傳播를 막으려는 朝廷의 彈壓으로 辛亥邪獄(辛亥邪獄)이 일어나 官職을 빼앗기고, 1795年 周文謨(周文謨) 神父 入國 事件으로 豫算(禮山)에 귀양갔으며, 1801年 神紐帶社屋(辛酉大邪獄) 때 서울 西大門(西大門) 네거리에서 목을 잘리었다.

이가환 [ 編輯 ]

李家煥 (1742

1801)

朝鮮의 天主敎徒. 字는 正祖(廷藻), 號는 錦帶(錦帶)·정헌(貞軒). 本貫은 여흥(驪興). 實學者 益(瀷)의 宗孫(從孫)으로 當時 이름 높았던 南人學者 안정복(安鼎福)·丁若鏞(丁若鏞)·권철신(權哲身) 等과 交遊(交遊)하면서 새로운 學問 硏究에 힘썼다. 1784年(正祖 8) 叔父 승훈(承薰)李 베이징에서 돌아왔을 때 天主敎에 對한 學問上의 興味를 갖고 李蘗(李蘗) 等과 함께 敎理를 飜譯·硏究했으나 入校는 하지 않았다. 그 後 天主敎가 迫害를 받게 되자 敎理 硏究를 中斷했고, 1791年(正祖 15) 辛亥迫害(辛亥迫害) 때는 光州 府尹(廣州府尹)으로 自身이 天主敎를 彈壓했다. 1795年 淸나라 周文謨(周文謨) 神父의 密入國 事件으로 反對黨의 謀陷을 받아 忠州 牧師로 左遷되어 그 곳에서도 如前히 天主敎人에 對한 彈壓을 繼續했다. 뒤에 罷職되어 다시 天主敎에 對한 硏究를 繼續, 마침내 信者가 되고 宗敎 運動에 獻身, 1801年(純祖 1) 辛酉迫害(辛酉迫害) 때 李承薰 等과 함께 逮捕되어 殉敎했다. 文章에도 能했으며 筆法이 뛰어났다.

정약전 [ 編輯 ]

丁若銓

朝鮮 正祖 때의 學者. 號는 연경재(硏經齋), 鄭약현(丁若鉉)의 동생. 정약종(丁若鍾)·丁若鏞(丁若鏞)의 刑으로 西學에 뜻을 두고 天主敎의 全校에 힘썼다. 南人 學者로서 1694年(肅宗 20) 甲戌獄事(甲戌獄事) 以後 隱退하여 天主學 實踐에 힘썼으며 當時 西學의 大家 李蘗(李蘗)의 누이同生과 結婚하여 李承薰과 더불어 全國的인 信仰運動을 展開하였다. 1801年 辛酉邪獄(辛酉邪獄) 때 약종은 장살(杖殺)당하였고 藥用은 康津(康津)으로 流配가고 藥典은 黑山島(黑山島)로 귀양갔다. 適所에서 『玆山魚譜(玆山魚譜)』를 著述하였다.

정약종 [ 編輯 ]

丁若鍾 (1760

1801)

朝鮮 正祖 때의 學者. 洗禮名 아오스딩, 丁若鏞의 셋째 兄. 英祖 때의 碩學 利益(李瀷)의 文人으로서 西學을 硏究하고 天主敎에 入敎하여 권일신(權日身)·권철신(權鐵身)·이덕조(李德祚)·洪유하(洪有河) 等과 더불어 信仰 實踐 運動에 加擔, 因習打破와 階級打破의 社會運動을 促進하여 天主敎의 全校에 힘썼다. 그리하여 이승훈(李承薰) 等과 謀議하고 淸나라 神父 周文謨(周文謀)를 맞아들여 前途에 努力하였다. 그의 딸 정혜(情蕙)와 그의 兄弟는 西小門 밖에서 殉敎했으며, 약종은 이승훈·최필공(崔必恭)·홍교만(洪敎萬)·홍낙민(洪樂敏)·崔昌賢(崔昌顯) 等과 같이 序文 밖에서 殉敎하였다. 이것을 所謂 辛酉邪獄(辛酉邪獄:敎獄)이라고 한다. 1984年 5月 韓國殉敎者 103位 諡聖式 때 敎皇 요한바오로 2世로부터 聖人品에 올림을 받았다.

홍봉주 [ 編輯 ]

洪鳳周 (?

1866)

天主敎 殉敎者. 本貫은 豫算(禮山). 낙민(樂民)의 孫子, 自營의 아들. 어려서부터 父母에게 天主敎를 배웠다. 祖父 낙민은 辛酉邪獄(辛酉邪獄) 때 殉敎하였으며 어머니는 殉敎者 정약종(丁若鍾)의 맏兄인 鄭약현(丁若鉉)의 딸이었다. 1851年(哲宗 2) 프랑스 新婦 메스트르(Maistre:李神父)가 상하이로부터 朝鮮에 들어와 서울 全東(典洞)에 있는 이군심(李君心)의 집에 머물러 있었는데 封奏가 그의 指示를 받아 1855年(哲宗 6) 상하이로 들어가 프랑스 社交(司敎) 베르뉘(Bernux) 및 新婦 샤를 안트와느 프르티(漢名 申妖案) 等을 데리고 들어와 태평동(太平洞)에 집을 빌려 머무르게 하면서 聖經 硏究와 前途에 努力하였다. 그 뒤 러시아의 侵略에 對備하여 宣敎師를 통해 英國·프랑스와 손잡을 것을 大院君에 建議한 바 있었으나 1866年(高宗 3) 大院君의 天主敎 彈壓으로 남종삼(南鍾三)과 함께 西小門(西小門) 밖에서 殉敎하였다.

李蘗 [ 編輯 ]

李蘗 (1754

1786)

朝鮮 後期의 天主敎徒. 原名은 德操(德祚), 本貫은 慶州. 正祖 1年(1777) 권철신(權哲身)·정약전(丁若銓) 等의 西學(西學) 討論會에 參席한 後 天主敎에 關心이 커졌다. 그 後 李承薰에게 付託하여 南人들 사이의 同志를 糾合, 宣敎에 投身하였으며 李承薰에게 領洗를 받았다. 同王 9年(1785) 김범우(金範禹)의 逮捕로 西學運動이 表面化하자 背敎者 이기경(李基慶)의 勸誘로 天主敎와 絶緣, 同志들과 交際를 끊었고 이듬해 페스트로 죽었다.

권철신 [ 編輯 ]

權哲身 (1736

1801)

朝鮮 後期의 天主敎 殉敎者. 일신(日身)의 兄. 이승훈에 依해 天主敎에 入校, 正祖 1年(1777) 京畿道 洋酒(楊州)에서 정약전·丁若鏞·耳甓(李蘗) 等 南人의 여러 學者와 함께 西學敎理硏究會(西學敎理硏究會)를 열면서 本格的인 信仰生活을 始作했다. 純祖 1年(1801) 辛酉邪獄 때 정약종·李家煥·이승훈 및 中國人 神父 周文謨 等과 함께 逮捕되어 死刑당했다.

권일신 [ 編輯 ]

權日身 ( ?

1791)

朝鮮의 天主敎 神父. 號는 이암(移庵). 校名은 프란시스 자비에르(Francis Xavier), 順菴(順菴) 안정복(安鼎福)의 사위. 양근(楊根) 出生. 利益(李瀷)의 弟子인 정약전·丁若鏞·권철신·이덕조 等과 함께 1777年(正祖 1)부터 漢江가에 있는 産家에 모여, 天主敎 敎理를 硏究하는 信仰運動을 展開했다. 1783年(正祖 7) 同志 이승훈이 그의 아버지 書狀官 이동욱(李東郁)을 따라 베이징에 갔다가 이듬해 봄에 領洗를 받고 돌아오자, 當初 信仰運動을 같이 하던 同志들과 함께 領洗를 받고 天主敎 信者가 되었다.1785년(정조 9) 이승훈의 主宰(主宰)로 서울 名例洞(明禮洞:明洞) 김범우(金範禹) 집에 數十 名의 信徒가 모인 가운데 이덕조(李德祖)와 함께 新婦로 뽑혀 天主敎의 指導者的 位置에 오르게 되었다. 그 뒤 집안과 이웃에 熱心히 傳道하여 그 門下에 이존창(李存昌):유항검(柳恒儉) 等 熱烈한 信者가 나왔으며, 양근(楊根:楊平) 地方 一帶에 熱心히 傳道하여 當時 그곳을 西學(西學)의 搖籃地라 하였다. 1791年(正祖 15) 辛亥邪獄으로 잡혔던 權尙然(權尙然)·윤지충(尹持忠) 두 信者가 處刑된 後 李承薰과 함께 西學冊 刊行의 嫌疑로 잡혀 이승훈은 削職(削職)되고 一身은 濟州島로 귀양갔다가 다시 豫算(禮山)으로 옮겨 간 後 老母의 處地를 생각하고 信仰心에 動搖를 일으켜 悔改서(悔改書)를 바치고 釋放되었다.

김대건 [ 編輯 ]

金大建 (1822

1846)

最初의 韓國人 天主敎 神父(神父). 洗禮名은 앙드레(Andr

), 兒名(兒名)은 財福(再福). 京畿道 龍仁 出生. 제준(濟俊)의 아들. 天主敎 信者인 아버지는 1839年(憲宗 5) 己亥邪獄 때 殉敎하였다. 韓國에 最初로 들어온 外國 神父 模倣(P. Maubant)의 周旋으로 中國으로 歸國하던 中國人 神父 유방제(劉方濟:Pacifique)를 따라, 다른 少年 2名과 더불어 마카오 外方傳敎會(外邦傳敎會:Soci

t

des Missions Etrang

res)의 神學校에 가서 受學하게 되었다. 1843年(憲宗 9) 12月 31日에 步轎(輔敎)로 就任되자, 當時 우리나라 敎會의 迫害 後의 慘狀을 듣고 프랑스 神父 Joseph Ambroise Maistre와 入國을 祈禱하였다. 1844年 2月 咸北 慶源(慶源)에 이르렀으나 境界가 森嚴하여 入國을 못 하고 그 해 12月에 페레올(Ferr

ol) 新婦와 함께 義州에 왔으나 警備가 甚하여 대건만이 入國, 萎縮된 敎勢의 再建에 邁進하였다. 5個月 後에 國內 實情을 奏請(?淸) 宣敎部에 알리기 위하여 작은 배로 黃海를 건너 상하이에 갔다. 그곳 宣敎師들은 그의 勇敢한 活躍에 感服하여 1845年 8月 17日 그에게 新婦의 職을 주었다. 다시 그 해 9月 페레올·다블뤼(Daveluy) 두 神父와 같이 黃海를 건너 入國하여 全校(傳敎)에 專力하였다. 1846年 5月 宣敎師의 入國과 奏請 宣敎部와의 通信連絡에 必要한 祕密航路를 開拓하기 위하여 黃海道 沿岸을 踏査하려다가 登山(登山)에서 逮捕되어 서울로 押送, 9月 16日 새남터에서 死刑당하고 25歲로 殉敎하였다. 1925年 7月 5日 로마 敎皇 비오 11世로부터 福者위(福者位)에 올림을 받았다. 1972年 漢江邊에 銅像을 建立하였다.

模倣 [ 編輯 ]

Maubant, Pierre-Philibert (1803

1839)

韓國 最初의 西洋人 神父. 純祖 31年(1831) 파리 外方傳敎會 所屬으로 敎皇廳이 朝鮮 敎區의 敎會事業을 命令하자 브뤼기엘 主敎와 함께 朝鮮에의 入國을 企圖하다 獻宗 1年(1835) 鴨綠江을 건너 入國했다. 그 뒤 정하상(丁夏祥)의 案內로 서울에 들어와 全校에 힘써, 全國에 걸쳐 9千 名의 信徒를 包攝했다. 한便 그는 金大建 等을 마카오에 있는 神學校에 입학시켜 敎勢 擴張의 劃期的 業績을 쌓았으며, 同王 3年(1837) 앵베르 主敎와 샤스탕 新婦와 함께 全國的인 敎勢擴張을 위해 奮鬪하다가 다른 2名의 神父 및 2百餘 信徒와 함께 새남터에서 死刑을 當했다.

丁夏祥의 活動 [ 編輯 ]

丁夏祥-活動

정하상은 丁若鍾의 次男으로 天主敎의 敎務(敎務)를 連絡하기 위하여 9回에 걸쳐 隱密히 北京을 往復했다. 그의 北京 往復은 神父迎入運動(神父迎入運動)李 目的으로 이 蛇行에는 敎友이자 譯官(譯官)인 劉進吉(劉進吉) 等이 同伴하였다. 이러한 그의 活動에 感動한 敎皇廳은 파리 外方傳敎會 傘下에 朝鮮代理監牧區(朝鮮代理監牧區)를 設置, 브뤼기엘 主敎를 初代 監牧代理로 임명케 하는 데 成功했다. 純祖 33年(1833) 中國人 神父 유방제(劉方濟)를 맞아들였고, 以後 模倣·샤스탕·앵베르 等의 新婦를 맞아들여 朝鮮敎會의 發展에 많은 役割을 擔當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