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政治/國 제 정 치/지 驛 分 箏/아프리카 - 위키文獻, 우리 모두의 圖書館 本文으로 移動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政治/國 제 정 치/지 驛 分 箏/아프리카

위키文獻 ― 우리 모두의 圖書館.

흑아프리카 民族主義 [ 編輯 ]

黑Africa-民族主義

아프리카 民族主義는 아시아·아랍民族主義의 形成과 性格 및 그 過程에 있어서 다른 것으로, 아시아·아랍民族主義는 西歐의 衝擊이 決定的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革命過程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따라서 아프리카 民族主義는 第1次的 抵抗 또는 原住民保護主義(nativism)와는 區別되어야 한다.

對內的으로 西歐의 植民主義는 極히 制限的이기는 하지만 아프리카 植民地에 近代文明을 導入하였다. 近代化는 植民統治의 方便으로 利用되었기 때문에 近代化가 미치는 範圍 亦是 植民本國의 通商과 行政에 必要한 極히 一部地域에만 局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制限된 近代化도 아프리카社會에 다음과 같은 變化를 일으켰다고 보겠다.

첫째, 經濟·社會的 側面에서 볼 때 西歐 植民地 統治國은 植民地 經濟體制를 自給自足經濟로부터 貨幣經濟로 변화시켰다. 그 結果 勞賃階級과 新中産階級이 登場하였다. 또한 近代産業과 商業의 發展은 都市化의 傾向을 가져왔으며, 都市化는 傳統的 血緣關係를 약화시키고 國家統一을 促進시켰다. 交通通信의 發展은 社會的 流動性(social mobility)을 促進하였고, 이를 통하여 社會的·政治的 統一을 强化하였다.

둘째, 宗敎的·敎育的 側面에서 볼 때 植民地 統治國이 普及한 西歐式 敎育과 基督敎는 아프리카人들에게 人間의 平等과 自由主義思想을 가르쳐 주었다. 西歐的 敎育은 西歐的 知性人을 算出하였으며, 이 西歐化된 엘리트는 自己들이 創出한 植民地 統治者가 바로 自己들의 앞길을 가로막는 政敵(政敵)임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自身들이 土着人과는 人種은 같으나 文化的으로는 童話하기 어려운 反面에 통치국人과는 人種은 다르나 文化的으로는 親近感을 갖는 二律背反的인 人間이 된 것을 發見하게 된다. 그러나 그들은 土着人에 對해서는 支配者의 位置에 설 수 있으나, 統治國人에 對하여는 被支配者의 立場에 서지 않을 수 없다는 事實을 깨닫게 된다.

셋째, 政治的 側面에서 볼 때 植民地 統治國은 植民地域 內에 있는 여러 統治的 政治體制를 統合하고 中央集權化된 單一政府를 樹立하였다. 따라서 傳統的 權威를 약화시키고 植民時代 以前의 社會·政治的 單位를 감소시켰다. 또한 유럽勢力에 依한 領土所有化는 새로운 民族(nation)을 創造하였고, 이것은 社會的 疏通과 經濟的 相互交換이 擴大됨에 따라 境界線의 創設과 共通된 行政構造와 法律制度, 그리고 地域的 個別性을 象徵하는 政治機構의 結果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西歐列强의 植民統治의 結果는 아프리카 民族主義 發生에 커다란 影響을 미쳤다. 賃金勞動者와 山中産階級의 登場은 土着人의 政治意識을 培養하였는데, 植民支配體制下에서 勞賃階級은 失業과 貧困을 맛보게 되고 山中産階級은 植民地 資本家로부터 壓迫과 差別을 經驗하게 된다. 都市化 및 交通·通信의 發達과 그에 따른 急速한 社會的 移轉(移轉)은 非不足的(非部族的) 人種集團間의 社會的 疏通을 促進시킴으로써 民族意識의 根源인 共同運命體的 連帶感을 造成하고 民族統合(national integration)에 寄與하였다.

또한 西歐敎育은 植民地 原住民에게 身分과 威勢를 누릴 수 있는 知識과 道具가 되었고 새로운 社會構造內의 刺戟劑가 되었으며, 外國統治와 植民主義를 攻擊하는 理念과 價値가 되었다. 아프리카人은 西歐敎育을 통하여 科學的 方法과 進步的 思想으로 覺醒되었다.

西歐敎育과 基督敎의 影響으로 일어난 自由와 平等思想은 植民地 統治國人들이 人種差別에 反對하고 民族自決主義를 提唱하는 理論的 바탕이 되었다. 結局 植民統治가 輩出한 土着地成人은 植民統治의 모든 副産物을 利用, 植民地主義(植民地主義) 自體를 埋葬하는 主役이 되었던 것이다. I.Jennings 驚異 說破한 것처럼 '輸入된 유럽人의 特權第 官僚制'가 土着社會에 定着함으로써 여기에 對한 土着人의 政治的 覺醒이 아프리카 民族主義를 胎動시켰다고 볼 수 있겠다. 유럽의 敎育에 影響받은 엘리트들이 바로 伴食民主主義旗幟를 들 수 있었는데, 反植民의 感情的 動機는 유럽體制에 對한 價値否定이나 强壓에 對한 아이러니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흑아프리카 民族主義 發生의 對外的 側面에서 決定的 契機가 된 것은 2次世界大戰이었다. 2次世界大戰이 흑아프리카 民族主義의 形成에 미친 影響으로 다음 몇 가지를 指摘할 수 있겠다.

첫째, 民族自決主義와 民主主義 政治思潮의 影響이다. 民族自決主義는 윌슨 大統領이 國際聯盟에서 提唱하여 1918-1919年 戰後處理에 適用한 以來 2次大戰 後 全世界的으로 蔓延하여 植民地 獨立運動 指導者들의 民族主義的 運動을 刺戟시키는 데 重要한 役割을 擔當했다. 民族自決主義 原則은 民主主義 政治思想의 國際的 適用이었다고 볼 수 있겠다. 卽 아프리카 民族主義 指導者들은 植民地 統治者에게 自國에서 實施하는 '主權在民(主權在民)의 原則'을 植民地에도 適用할 것을 要求하고 나선 것이다.

둘째, 國際政治의 構造的 變革, 卽 東西冷戰의 影響을 들 수 있다. 2次大戰 後 自由主義 理念과 資本主義的 體制를 갖는 國家들은 美國을 中心으로 自由陣營을 形成하고, 다른 한便에서는 蘇聯을 盟主로 하는 共産陣營으로 兩分되었는데, 美·蘇는 異質的 對立에도 不拘하고 모두 自己 勢力의 擴大를 위하여 大體로 反植民主義 原則을 信奉하면서 冷戰을 展開하였기 때문이다.

蘇聯은 反植民主義가 西方世界에 對한 가장 效果的인 攻擊 이데올로기임을 認識하고 西歐의 植民地主義를 批判함으로써 書房을 분열시키는 同時에 植民地 指導者들의 支持를 얻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美國은 西方의 植民主義를 攻擊하면 植民地 指導者들의 支持는 獲得할 수 있어도 西方陣營의 結束이 弱化될 憂慮가 있었으므로 처음에는 消極的인 態度를 取하였으나 漸次 美國의 國家利益을 위하여 友邦國들에게 植民地主義를 버릴 것을 慫慂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英國·프랑스 等은 兩次大戰 期間동안 아프리카 原住民으로부터 協力을 얻기 위한 方便으로 아프리카人들에게 自治權의 許容을 約束함으로써 自治의 意志가 充滿되었는데 이것이 民族主義 發展의 原動力이 되었다.

이같은 兩陣營의 對立 渦中에서 아프리카人들의 民族的 鬪爭이 勝利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 反面 아프리카의 民族主義는 兩 强大國이 自身의 國家利益을 위하여 利用하려 했기 때문에 民族主義의 發展에 沮害要因으로 作用한 것도 事實이다.

셋째, 아시아 植民地域에서 일어났던 民族主義 運動에 刺戟받아 아프리카社會에 있어서도 民族主義 運動에 對한 大衆的 關心이 增大되어 아프리카人의 政治意識을 昂揚하였기 때문이다. 2次大戰後 아시아 地域에서 인도네시아(1945), 印度(1947), 파키스탄(1947), 미얀마(1948)가 次例로 獨立을 獲得하였는데, 特히 印度의 獨立運動 指導者인 M. 간디는 非暴力 手段에 依하여 英國으로부터 獨立을 爭取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의 指導者들은 아프리카의 與件上, 그리고 아프리카의 文化的 傳統에 비추어 非暴力的 方法에 依存할 수밖에 없다고 믿었다. 그런데 印度의 獨立은 그 可能性을 示唆해 준 것이다.

마지막으로 植民地國의 衰弱과 植民地의 國際監督化의 影響도 컸다. 2次大戰後 西歐 植民地國은 戰勝國, 敗戰國을 莫論하고 政治的·經濟的으로 衰弱하였다. 特히 敗戰國인 獨逸·이탈리아의 아프리카 植民地는 前後에 創設된 國際聯合의 管轄下에 들어갔는데, 國際聯合은 그 前身인 國際聯盟보다 더 强力한 植民地 創設에 中樞的 役割을 한 西方 植民統治國의 反對로 極히 弱化되었다. 國際聯合은 植民地를 두 가지로 分類하고 옛 國際聯盟의 委任統治下에 있던 植民地와 敗戰國民의 植民地만 信託統治下에서 國際聯合이 監視하고 窮極的으로는 獨立을 附與하도록 되어 있으나 戰勝國의 植民地는 信託統治機構의 監視下에 두지 않고, 非自治令이라는 이름아래 國際聯合의 監視를 거의 받지 않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新生獨立國은 大擧 國際聯合에 加入한 後 世界輿論의 힘을 입고, 西區紛爭의 混亂을 利用하여 非自治領에대한 監視를 强化하였다. 植民地主義의 終結과 植民地의 卽時 獨立을 要求하는 國際聯合의 決意는 植民地國에 直接·間接으로 壓力을 加하였던 것이다.

또한 지그문트에 依하면, 아프리카大陸에서 民族主義를 成長하게 할 수 있었던 要因으로 ① 生存經濟에서 貨幣經濟로의 變動, 賃金勞動力의 成長에 따른 中産階層의 生成 ② 都市化를 통한 人種集團의 强化와 相對的인 民族集團의 性格 强化, 社會的 動員을 통한 意思疏通과 交通의 擴大로 政治·社會的 再結合意識의 高陽, 그리고 西方敎育의 影響으로 原住民에게 促進시켰으며, ③ 基督敎의 福音傳播, 西方敎育에 對한 欲求不滿, 國家象徵의 갑작스런 捏造 等이 民族意識을 促進시킨 要因이라고 한 것과 一脈相通한다.

以上에서 筆者는 흑아프리카 民族主義 發生의 重大한 與件을 對內的 側面과 對外的 側面에서 各各 列擧하였다. 이 要因들은 그 어느 것이 더 重要한 變數였다고 하기 어렵고, 對內外的 諸變數間에 相互回歸的 效果가 作用함으로써 民族主義運動이 本格化되기 始作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흑아프리카 民族主義 展開過程 [ 編輯 ]

黑Africa 民族主義-展開過程

萌芽期 [ 編輯 ]

萌芽期 (1900-1945) 이 時期는 1900年의 汎아프리카 抗爭會議에서부터 1945年의 第5次 汎아프리카會議 以前까지를 말하며 그 特徵은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라고 할 수 있다.

흑아프리카 民族主義의 淵源은 1900年 런던에서 開催되었던 '汎아프리카抗爭會議(Pan-African Protest Conference)'까지 溯及해 올라가는데, 이 會議는 以後 5次에 걸쳐 열린 汎아프리카會議(Pan-African Conference)의 前身이었다는 點에 그 意義가 있다.

汎아프리카會議를 줄곧 主導해 왔던 듀뵈는 1900年부터 런던 會議에서 '20世紀의 問題點은 人種差別의 問題'가 될 것이라고 豫言하면서 人種的 障壁을 超越하여 黃色·褐色·黑色인에게도 民主主義的 理念을 擴張시켜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듀뵈의 人種博愛主義的 平等思想은 1919年 파리에서 열린 第1次 汎아프리카 會議에서부터 1945年 맨체스터 第5次 汎아프리카 會議에 이르기까지 一貫하였으며, 黑人意識(Black Consciousness)을 鼓吹하고 黑人의 人種的 解放과 黑人이 社會的 地位 向上에 메시아的 役割을 하였다.

그런데 1920年代에 들어서면서 듀뵈의 범아프리카주의 思想보다 훨씬 戰鬪的이고 革命的인 범아프리카주의가 자메이카 出身 가비(Marcus M. Garvey)에 依해 뉴욕을 舞臺로 登場하였다. 加比는 1916年 美國에 건너와 블랙시오니즘(Black Zionism)의 旗幟아래 UNIA(Universal Negro Improvement Association)를 組織했다. 그는 全世界 黑人 人種宣言을 發表하는 同時에 '아프리카人을 위한 아프리카(Africa for the Africans)'라는 '黑人連帶(Black Solidarity)'를 鼓舞하면서 아프리카로의 歸還運動을 大大的으로 展開했다. 加比의 이같은 運動은 듀뵈 中心의 穩健主義者들의 挑戰을 받고 1923年 그가 瀆職事件으로 逮捕됨으로써 霧散되지만, 그의 哲學과 思想은 後에 엔크루魔와 같은 急進的 民族主義者들에게 큰 影響을 끼쳤다.

이와 같은 아프리카大陸 外部로부터의 民族主義運動과는 別個로 大陸 內에서도 民族主義的 組織이 結成되기 始作했다. 1920年에는 黃金海岸(Gold Coast)을 中心으로 나아지리아, 시에라리온, 감비아의 代表가 아크라(Accra)에서 英國領 西아프리카 國民회의를 組織하였고, 英國領 東아프리카의 케냐에서는 매콜리에 依해 KCA(Kikuyu Central Association), 프랑스領 西아프리카의 세네갈에서는 區에이에 依해 SFIO(The Sengegalese Section of French Socialist Party)가 各其 結成되었다.

또한 1923年 매콜리의 NNDP(Nigerian National Democratic Party)가 組織되는 等 草創期 흑아프리카 民族主義의 生成에 拍車를 加하게 되었다.

要컨대 第1期에 該當하는 이 時期의 아프리카 民族主義의 特徵은 汎아프리카 民族主義라는 點이며, 이것은 人種的·地理的 要素를 同時에 가지고 있었다. 처음에는 人種的 性格이 剛한 民族主義였으나 漸次 地域的 性格이 强化되는 變化를 보여주었다고 하겠다.

開化期 [ 編輯 ]

開花期 (1945-1960) 이 時期는 1945年 第5次 汎아프리카 會議로부터 1960年 아프리카의 해(Year of Africa)를 맞이하기 直前까지의 期間에 該當하며, 범아프리카주의가 後退하고 아프리카 大陸에 局限되는 本格的인 아프리카 民族主義 性格, 卽 領土的 民族主義가 그 特徵이었다.

眞正한 意味에서의 흑아프리카 民族主義의 擡頭는 第2次大戰을 契機로 크게 進展되었는데, 그것은 1945年의 맨체스터 5次 汎아프리카會議를 契機로 主導權이 듀베에서 엔크루마, 케냐타, 비오그니 등 아프리카 土着民出身 指導者들에게 넘어가면서 사하라 以南의 흑아프리카 民族主義運動이 本格化되었기 때문이다. 1947年 單쿠아(J.Danquah)에 依한 黃金海岸統一會議(United Gold Coast Convention)나 1951年 요루바族 文化團體인 Egbe Omo Oduduwa를 基盤으로 한 行動集團 等 英國領 아프리카에서 民族主義 政黨團體들이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프랑스領 아프리카에서도 1946年 코트디브와르의 비오그니를 中心으로 AOF(Afrique Equatorale Fran

aise)의 모든 領域은 勿論이고 프랑스의 委任統治領인 토고 및 카메룬을 橫的으로 結合시켜 地域間 民族主義政黨인 아프리카民主同盟(RDA:Rassemblement Democratique Africaine)을 創設하였는데, 이 同盟은 아프리카의 開城 確認과 自由意思에 依한 帝國民의 聯合에의 同意에 依한 植民地 支配에서의 脫皮를 指導理念으로 하고, 政治的 差別의 撤廢, 平等한 市民權의 適用 等을 主張하면서 아프리카 最大의 民族主義 大衆運動으로 發展하였다. 1950年代에 들어와 아프리카 民族主義 運動은 아시아와의 連繫 속에서 이루어지기 始作했는데 1955年의 반둥會議가 그 代表的 모임이었다고 보겠다.

그런데 1957年 가나(Ghana)가 사하라 以南의 흑아프리카國家 中에서 最初로 獨立함으로써 흑아프리카 民族主義運動은 엔크루마를 中心으로 하는 새 局面에 접어들게 되었다.

1958年 Nkrumah의 主導로 가나의 首都 아크라에서 第1次 아프리카獨立國會議(CIAS;Conference of Independent African State)가 開催되어 反帝國主義·反植民主義·反人種差別主義·반둥會議 原則固守 및 中立主義 外交路線 等 11個項을 決意하였다. 또한 同年 12月 亦是 아크라에서 召集된 第1次 前아프리카人民會議(AAPC:All Africans Peoples Conference)에는 前아프리카 大陸에 散在해 있던 62個의 民族主義 政黨團體가 參加하여 AAPO(All Africans Peples Organization)를 創設하였다.

이러한 흑아프리카 民族主義運動은 기니의 토레(S. Toure)가 "기니는 奴隸의 몸으로 富를 누리는 것보다 自由人으로서 貧困을 擇하겠다"면서 프랑스 共同體의 參加를 拒否하고 獨立을 宣布함으로써 아프리카 民族主義 思潮에 더욱 拍車를 加하였고, 第2回 ICAS가 1959年 8月 라이베리아에서, 第2回 AAPC는 1960年 1月 튀니스에서 繼續됨으로써 1960年을 전후하여 絶頂에 達하였다.

葛藤機 [ 編輯 ]

葛藤期 (1960-1975) 이 時期는 1960年 所謂 '아프리카의 해'를 맞이하여 開催된 第3回 CIAS로부터 現在까지를 말하는데, 그 特徵은 범아프리카주의가 分裂하면서 大陸的 범아프리카주의와 領土的 民族主義間에 葛藤이 일어났다는 點이다. 1960年 아프리카大陸에는 17個國이 大擧 獨立하여 아프리카大陸의 政治構造 形成에 새로운 問題點을 提起했으며, 아프리카 民族主義의 目的追求에도 戰後의 同質的 一體性이 所願(疎遠)하게 되고 個個의 國家利益이 優先하는 分裂火 傾向으로 그 樣相이 變質되었다. 이같은 分裂을 加速化시킨 外的 變數는 東西冷戰이었으며 아프리카大陸이 强大國의 勢力擴張 對象地域으로 登場함으로써 利害關係의 相衝으로 內的 團合이 沮害받게 됨을 의미한다.

아프리카 獨立國들의 不調和는 1960年 모리타니共和國의 UN加入 問題를 討議하기 위하여 召集된 브라자빌 會議에서부터 더욱 露骨化되기 始作한다. 이 會議는 아프리카 統合에 漸進論을 主張하는 國家들의 모임으로써 前 프랑스領 아프리카에 屬했던 12個國이 參加하였다.

다른 한便에서는 브라자빌그룹에 反旗를 들고 아프리카 統合에 急進論을 主張하는 國家들이 1961年 1月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서 會議를 開催함으로써 아프리카 民族主義運動은 二元化되었다.

브라자빌그룹과 카사블랑카그룹에 이어 第3分離集團이 1961年 5月 리베리아의 몬로비아에서 會議를 開催함으로써 '몬로비아그룹'李 形成되었는데, 그 目的은 브라자빌과 카사블랑카그룹의 對立을 解消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1·2次에 걸린 이 會議에 카사블랑카그룹이 繼續 不參함으로써 兩 그룹의 統合은 結局 失敗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같은 다양한 段階를 거치면서 아프리카 民族主義는 小國的 民族主義(Micro-Nationalism)보다는 大陸全體를 單位로 한 大局的 民族主義(Macro-Nationalism)의 性格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大局的 民族主義의 하나의 結實로 1963年 OAU(Organization of African Unity)가 結成되었다. 그러나 外觀上 아프리카大陸의 共同體 結成과는 달리 個別 獨立國家에 揭載하는 다양한 異質的 要件의 利害關係가 相値되기 때문에 目的 追求의 同質性을 쉽사리 期待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아프리카 民族主義는 效果的인 國家建設에 密接한 關係가 있기 때문에 OAU의 歸屬이 그러한 一次的 目的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에는 個別國家의 所屬意識은 그만큼 弱化될 것이 分明하다. 더욱이 흑아프리카에 對한 强大國의 介入은 다양한 國家利益을 갖고 있는 이들의 合意(Consensus)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1976年 1月 10日 아디스아바바에서 OAU 創設 以來 처음으로 흑아프리카의 當面課題를 解決하기 위하여 緊急 首腦會議를 열었으나 르안다 政府(MPLA) 承認問題에서 會員國이 22代 22의 同數로 分裂됨으로써 否決되었으며 앙골라, 南아메리카 問題를 둘러싸고 急進·穩健派間의 分裂이 深化되었음은 하나의 좋은 例라고 볼 수 있다.

要컨대 이 段階에서의 흑아프리카 民族主義는 범아프리카주의와 領土的 民族主義, 小國的 民族主義와 大局的 民族主義가 相互葛藤을 일으켰으며, 特히 범아프리카주의는 大陸的, 人種的인 性格이 아니라 思想的 性格이 剛하다고 보여진다.

混亂期 [ 編輯 ]

(1975-現在) 混亂期

아프리카 國家들의 獨立과 脫植民地化 以後의 政治狀況은 內的으로는 軍部쿠테타의 惡循環으로 인한 끊임없는 訂正(政情)不安으로 要約되며 이는 政治指導者의 잦은 交替로 나타났다. 그리고 外的으로는 各國의 政治指導者 交替過程과 '民族없는 民族主義' 形成過程에서 나타난 地域紛爭에 따른 새로운 外部勢力의 介入으로 이 時期는 對內外的으로 紛爭 및 混亂期라고 할 수 있다.

于先 獨立 後 政權交替를 한 次例도 겪지 않은 國家는 아프리카大陸 全體 55個國 가운데 團地 9個國뿐이었으며, 1950年代 以後 아프리카 各國 全體의 政治指導者 交替는 總 137回로, 이 가운데 暴力的 交替 92回, 平和的 交替 45回로 나타나고 있어 아프리카 大陸의 全般的인 訂正不安을 確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狀況 속에서 新生獨立國들은 西歐 列强의 植民統治에서 벗어나는 대로 보다 평화스러운 將來를 期待했으나, 이와는 反對로 끊임없는 內亂, 戰爭, 人種問題, 虐殺, 追放 또는 人民解放, 獨立戰爭 等으로 시달려 왔다. 그 結果 1958年 以後에 치른 主要戰爭만 해도 20回가 넘으며, 約 40回의 쿠데타를 겪었다. 21個國이 아직도 일당獨裁體制를 維持하고 있으며, 10個國家가 軍政下에 있는 實態이고, 1979年에만도 無慮 15個國 以上이 參戰해야 했던 戰爭이 8回나 있었다. 그리고 民主化가 이루어진 나라는 세네갈, 베냉 等 單 2個國뿐이며, 많은 國家들이 民主化 過程에 있거나 그 以前의 狀態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狀況에서 美國·中國·蘇聯을 비롯한 强大國들은 제各其 아프리카大陸에서 自國의 利益을 最大限으로 保障받기 위하여 熾烈한 外交的 努力을 展開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아프리카民族主義에 또 다른 挑戰이며 分裂의 要因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卽 로디지아紛爭, 에리트리나紛爭, 콩고危機, 앙골라事態, 소말리아 國境紛爭事態, 나미비아問題 等에서 나타난 問題點을 살펴보면, 새로 獨立한 아프리카帝國은 現代國家建設에 있어서 重要한 民族形成, 民族統一體, 民族的 單一性을 構築해 나가는 것이었으나, 副族의 槪念이 더 剛한 아프리카人들에게 民族的 意識을 주어 現在의 國境線 안에서, 國家의 統一性을 追求하고 不足을 넘어 하나의 새로운 民族의 이름으로 國家를 忠誠의 對象으로 삼게 한다는 것은 7百에서 1千에 가까운 部族들이 있는 아프리카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 結果 政治制度의 安定化, 政策의 一貫性, 政治文化의 卓越性보다도 個人中心의 政治體制, 政治的 參與의 虛構化, 非效率的인 官僚制度와 行政, 政策形成의 獨立과 一黨獨裁 等의 問題가 惹起되고 있다. 또한 部族間의 그와 같은 同族意識은 앞서 言及한 것과 같이 植民主義가 사라지기 前 民族主義運動에도 沮害要因이 되었으며, 그들의 힘의 不足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民族主義者가 熱望하는 國家의 形成에 障礙要因이 되었으며,범아프리카주의도 매우 複雜하고 廣範圍하게 범아프리카주의를 理論上의 幻想에 지나지 않게 하고 있다.

이러한 事實들은 最近의 흑아프리카 種族紛爭狀況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卽 사하라沙漠 以南에 살고 있는 種族은 1千個가 넘는데, 國家는 그것도 人爲的으로 46個만이 세워졌다. 이처럼 많은 種族들이 한 울타리 안에서 살게 되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國家的 統合은 期待하기 어려웠다. 自然히 主導權을 잡은 種族이나 政治集團은 獨裁的인 統治를 施行하고, 이를 持續하기 위하여 外勢와 結託하는 境遇도 있다.

最近 200萬名의 難民이 發生한 '르완다事態'도 후투족과 투치족의 해묵은 葛藤의 連續이다. 또 1993年까지 內戰과 飢餓로 數十萬名이 死亡한 '소말리아事態'도 結局은 種族을 바탕으로 結成된 5個 戰鬪團體間의 싸움의 結果이다. 葛藤의 原因으로는 生態的이고 歷史的인 것도 있지만 여기에 宗敎, 이데올로기 等 갖가지 外來的인 要素들이 重疊돼 葛藤을 더욱 심화시키고 解決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卽 아프리카를 分轄統治했던 西歐 列强들은 植民地 支配를 쉽게 하기 위해 種族間의 競爭, 敵對感 等을 利用했다. 그 結果 以前까지 있었던 種族間의 反目은 더욱 더 깊어지게 되었으며, 獨立 後에도 人爲的인 國境線 때문에 政治發展을 꾀하기는 어려웠다. 여기에 戰後 冷戰體制가 아프리카新生國들을 對象으로 美·蘇의 熾烈한 影響力 擴張의 試驗場이 되어 왔는데, 이것 亦是 種族間의 競爭과 反目에 다시 이데올로기라는 葛藤要素를 添加시켰다.

冷戰體制下에서는 世界史를 壓倒한 이데올로기의 對立으로 인해 種族間의 葛藤이 아프리카民族主義 政治의 前面에 登場하지 못했지만, 冷戰의 漸進的 終熄과 더불어 種族間의 葛藤이 再演되고 있다. 이에 對한 處方으로 처음에는 各國에서 多黨制 選擧 等 民主化 政策이 施行되었는데, 오히려 西歐的인 民主制度가 이들 問題를 解決할 수 있는 萬病通治藥이 아니라는 것만이 立證되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흑아프리카 大陸의 수많은 種族들이 共同도 線을 찾지 못하는 한 部族間의 勢力다툼은 戰爭, 虐殺, 追放으로 나타나고, 이에 따른 범아프리카주의의 向方도 매우 流動的일 것이다.

앙골라 內戰 [ 編輯 ]

-內戰

1855年 以後 포르투갈의 植民支配下에 놓인 앙골라는 1951年 포르투갈의 海外屬州로 編入되었는데 1953年부터 앙골라 革命 亡命政府와 앙골라 解放人民運動(MPLA)을 主軸으로 獨立鬪爭이 加速化되었고 1961年 以後 武裝抗爭으로 轉換되는 過程에서 革命 亡命政府가 앙골라 民族解放戰線(FNLA)과 앙골라 完全獨立 民族同盟(UNITA)으로 分裂, 3派間의 헤게모니 鬪爭이 일기 始作했다. 植民支配體制의 崩壞라는 世紀的 潮流에 아랑곳없이 獨裁體制와 植民主義를 固守해 왔던 포르투갈에서 1974年 4月 軍部의 쿠데타가 發生, 獨裁政權을 붕괴시키는 同時에 植民支配體制의 抛棄를 宣言하였다. 그 結果 1974年 10月 포르투갈 軍事政府는 앙골라 獨立運動 제파와 休戰協定을 締結하고 1975年 1月 3波와 獨立協定을 調印, 同年 11月 11日을 獨立宣布日로 定하였으나 MPLA·FNLA·UNITA 3波가 政權獲得을 위한 鬪爭에 突入함으로써 內戰이 勃發하였다. 結局 앙골라는 蘇聯과 쿠바의 支援을 받는 MPLA와 中國·자이르·美國 및 西方國家들의 支援을 받는 FNLA, 그리고 南아메리카 共和國·잠비아, 포르투갈系 및 白人의 支援을 받는 UNITA 間의 3波 內戰에서 MPLA가 洋파를 制壓하고 1975年 11月 앙골라 人民共和國을 樹立하였다.

앙골라 內戰은 外勢의 介入으로 인한 國際代理戰 樣相과 더불어 로디지아(現 짐바브웨)·자이르·남아프리카공화국·잠비아 等 周邊國家들에 對한 軍事的 緊張과 衝突을 惹起시켰으며 美·蘇間, 美·쿠바間 外交的 對立을 심화시켰다. MPLA에 밀려 자이르 接境地域으로 退却한 FNLA는 1980年 初盤 以後 潰滅하였으나 잠비아 國境地域으로 退却한 UNITA는 美國 等 西方國家의 支援下에 臺 MPLA 鬪爭을 繼續하고 있다. 앙골라의 MPLA 政權은 아프리카의 民族解放鬪爭에 對한 支援을 宣言, 나미비아와 로디지아의 解放鬪爭을 支援하여 南아메리카 共和國과 繼續的인 武力衝突을 빚어왔는데 1984年 2月 兩側間 停戰協定을 締結, 紛爭을 일단락하였고 1988年 10月 쿠바·앙골라·南아프리카 共和國 3國은 國際聯合의 仲裁案을 받아들여 '西南아프리카 平和協定'을 締結했다. 나미비아 獨立과 앙골라 內戰의 終熄을 위한 東協定에 依해 1989年 1月 쿠바軍의 撤收가 始作되었으며, 1995年 5月 산토스 大統領과 叛軍指導者 사빔비間의 平和會談으로 20年間의 內戰이 終結되었다.

차드 內戰 [ 編輯 ]

-內戰

1960年 8月 프랑스領 아프리카 共同體에서 獨立한 차드는 차드進步黨(CCP)의 一黨獨裁가 繼續되는 가운데 種族·宗敎紛爭의 불씨가 擴大되고 있었다. 卽 11個 主要種族에 192個 少數種族이라는 複雜한 國民構成에 北部地域의 아랍系·回敎界 不足과 南部地域의 基督敎界·黑人系 部族間의 對立이 날로 激化되고 있었다. 1965年 以後 北部·中部의 回敎界 部族이 分離獨立運動을 展開, 中央政府와 對立하기 始作했고 南部의 黑人系는 사라足을 中心으로 차드 民族解放戰線(FCNC)을 結成, 植民主義 打倒와 聯合政府의 樹立 및 外勢의 撤收 等을 要求하면서 執權 CCP에 對한 鬪爭에 突入했다. CCP 政權은 南部系로서 그 때문에 北部의 回敎界가 分離獨立鬪爭을 展開한 것인데 1978年 11月 主要種族間의 合意로 남北部 統合過渡政府(GUNT)가 樹立, 執權 CCP를 붕괴시키고 選擧에 依한 新政府樹立을 推進하는 過程에서 南部·北部部族間의 헤게모니 爭奪戰이 內戰으로 擴大되었다. GUNT는 大統領 우에에이와 國防長官 아브레가 權力을 兩分하는 狀態로 維持되고 있었는데, 아브레가 反政府 北部軍(FAN)을 이끌고 우에데이 政府와 內戰에 突入했다. 種族·宗敎對立에서 發端된 차드 內戰은 1980年 12月 우에데이가 카다피에게 支援을 要請, 7千 名의 리비아軍이 介入함으로서 그 樣相이 變質되기 始作했고 아브레는 수단·자이르·이집트(그 背後는 프랑스)의 支援 아래 우에데이에 對抗했다. 1982年 6月 아브레가 우에데이 政府를 逐出하고 은자메나를 占領하여 大統領에 就任, 政權을 掌握하였고 리비아로 亡命한 우에데이는 叛軍의 立場에서 아브레 政權打倒 鬪爭을 벌이게 되었다. 1983年 6月 리비아君의 支援下에 우에데이의 攻擊이 再開되었고 이에 舊宗主國 프랑스와 隣接國 자이르가 아브레 政府를 支援하기 위해 派兵했으며 美國 또한 軍事援助를 提供하였다. 이미 强大國·周邊國家들이 利害關係가 얽히기 始作한 차드 內戰은 우에데이가 北部地域의 戰略要衝地를 占領하면서 '赤色線'을 中心으로 아브레 統治地域(黑人·사라足 地域)과 우에데이 占領地域(아랍·回敎界 地域)으로 2分되었다. 1984年 9月 프랑스와 리비아間 駐屯軍 撤收가 合意되어 小康狀態에 들어가 收拾의 兆朕이 보이기 始作하였으나 리비아가 合意를 破棄, 1985年 2月 리비아君의 支援下에 우에데이의 攻擊이 再開되자 프랑스도 아브레 政府를 支援하기 위해 再派兵함으로서 內戰은 再擴大되었다. 이 期間中 아브레는 FAN을 獨立革命 民族運動(UNIR)로 改編, 政治勢力化함과 同時에 强大國·周邊國家들을 相對로 大大的인 外交的 攻勢를 展開했는데 人民軍(FAP)을 主軸으로 한 우에데이 側은 1984年 8月 以後 愛國勢力同盟(RFP)과 行動調停委員會(CAC)로 分裂되었다.

1986年 2月 以後 內戰이 激化되면서 프랑스가 우에데이側에 對한 大大的인 攻擊을 擴大했고 이에 리비아가 아브레側에 報復攻擊을 加하면서 프랑스軍과 리비아君의 直接 對決이라는 國際戰 樣相을 始作되었다. 結局 차드는 프랑스의 直接介入下에 美國·이집트의 支援을 받는 아브레側과 리비아의 直接支援下에 蘇聯·에티오피아에 密着한 우에데이側 사이의 政權獲得 鬪爭의 結果로 事實上 破壞와 射殺이 繼續되는 國際代理戰場이 된 것이다.

傳貰는 漸次 아브레側에 유리해져 리비아軍과 우에데이는 北部地域으로 몰리기 始作했는데 그 過程에서 우라늄·마그네슘 等 鑛物報告인 北部 아오즈 地球의 歸屬問題로 차드·리비아間 一帶爭奪戰이 展開되었으나 兩國이 OAU에 一任하기로 合意함으로써 一段落되었고 이를 基礎로 아브레側과 리비아는 停電에 合意했으며 1988年 5月 리비아는 아브레政權을 承認, 戰爭終結을 宣言했다. 1990年 12月 데비의 救國愛國運動(MPS)李 리비아와 手段의 支援下에 쿠데타가 成功하였고, 1997年 첫 民選大統領이 되었다.

콩고 內戰 [ 編輯 ]

-內戰

벨기에 國王의 私有地(直轄植民地)에서 1960年 6月 킨샤샤 콩고로 獨立한 直後부터 카사부부·루뭄바·촘베 3人이 3巴戰을 벌였는데 當時 總理 촘베가 東部의 카黨街州에서 分離獨立을 宣言, 當時 大統領 카사부부와 對立하는 사이에 1965年 11月 當時 陸軍司令官 모부투가 쿠데타를 일으켜 2字를 逐出하고 執權했다. 모부투는 脫西歐化政策을 推進하는 한便 1971年 國名을 現在의 名稱으로 變更하고 一黨獨裁 體制와 民族主義가 짙은 社會主義的 改造作業을 强行하였다. 左傾化하기 始作한 모부투는 中國·北韓에 接近했으나 1976年 以後 앙골라 內戰事態를 둘러싸고 자이르가 親書傍系人 FNLA를 支援하는데 反하여 北韓이 MPLA를 支援하고 그 前해인 1975年 11月 北韓 軍事顧問團에 依해 養成된 軍隊 一部가 武裝抗命하는 事態가 發生하자 親西方으로 反轉하기 始作했다. 1977年 3月 蘇聯과 쿠바軍의 支援을 받고 있는 앙골라(MPLA 政府)로부터 '콩고 民族解放戰線(FNLC)'이라고 밝혀진 武裝勢力이 南部 샤바주에서 카탕가주로 侵入하자 모부투는 그들이 叛亂勢力을 憑藉하여 앙골라軍이 蘇聯과 쿠바의 支援下에 侵攻한 것이라고 非難하며 西方側의 援助를 要請했다. 前記한 바와 같이 콩고民主共和國(자이르)는 앙골라 MPLA 政府에 對抗하고 있는 親書傍系 FNLA를 支援하고 있었고 앙골라의 MPLA는 蘇聯과 쿠바의 支援下에 아프리카 民族解放鬪爭과 社會主義革命의 前衛임을 自處하고 있었으며, 1972年 以後 左傾化하기 始作하였다가 다시 西方側으로 反轉하고 있었다. 蘇聯·쿠바·앙골라 MPLA는 자이르의 主張을 否認했으나 이미 앙골라에서 經驗한 바와 같이 아프리카 新生國家들의 共産化를 憂慮한 西方國家들은 콩고 政府에 對한 軍事支援을 推進했다. 1977年 4月 모로코軍이 直接 介入했고 이어 프랑스·美國·벨기에·이집트·남아프리카공화국 等의 支援과 介入이 繼續됨으로써 자이르 콩고軍은 反擊을 開始, 叛亂勢力은 敗退하였다. 1978年 5月에도 FNLC가 앙골라·쿠바軍의 支援下에 재侵入하였으나 프랑스·벨기에·모로코의 直接 介入과 美國의 支援을 받은 자이르 政府軍의 反擊으로 擊退되었고 1979年 12月 東部地域에서도 一連의 政府 顚覆企圖가 있었으나 亦是 鎭壓되었다. FNLC 또는 카탕가軍으로 指稱되는 反政府 勢力은 過去 모부투에 依해 逐出된 촘베를 支持하는 分離主義 勢力으로 1983年 1月 亡命 反政府그룹을 結集하여 '콩고 民主回復電線'을 結成, 反政府鬪爭을 展開하였다. 그後 1994年 르완다에서 후투족이 투치족을 集團 大虐殺하였고, 투치族 政府가 들어서면서 報復을 憂慮한 후투족 200萬 名이 콩고로 脫出하여 紛爭이 擴大되었다.

에티오피아·소말리아 領土紛爭 [ 編輯 ]

-領土紛爭

에티오피아 領土의 4分의 1을 占하는 아프리카 東北部 오가덴 沙漠地域을 中心으로 일어난 兩國間의 紛爭事態를 말하는데 '아프리카의 모서리'라고 指稱되는 에티오피아·지부티·소말리아 및 그 周邊部는 戰略的 價値 때문에 美·蘇의 軍事戰略的 利害關係가 尖銳하게 對立하고 있는 緊張地域이다. 에티오피아는 植民地時代부터 아프리카 唯一의 獨立國으로서 1936年 이탈리아에 一時 점령당했다가 1941年 英國의 支援下에 國權을 回復했다. 1952年 이탈리아令 에리트리아 分離獨立鬪爭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君主政 當時에는 親西方路線을 堅持해왔으나 1974年 9月 쿠데타로 軍事調停委가 政權을 掌握, 1975年 3月 군주정을 廢止하고 一黨制 社會主義 共和國을 宣布하였다. 內部의 權力鬪爭을 거쳐 軍事政府는 反美親疏 左傾化路線을 宣言했는데 그 渦中에서 에리트리아 分離獨立運動이 加熱되자 軍事政府는 强勁한 彈壓을 加했고 이러한 에티오피아 政情不安에 便乘, 소말리아가 오가덴 沙漠地域의 '西部 소말리아 解放戰線(WSLF)'의 鬪爭을 支援한다는 名目下에 에티오피아에 侵入함으로써 兩國間의 紛爭이 發達된 것이다. 소말리아는 植民時代 當時 이탈리아令과 英國領으로 分離되어 있다가 1960年 6月 北部의 英國領이 먼저 獨立, 同年 7月 이탈리아令을 合倂하여 單一國家를 이루었는데 1969年 10月 쿠데타로 軍事革命評議會가 政權을 掌握, 社會主義 路線을 標榜하면서 親蘇 非同盟路線을 追求하였다. 소말리아 執權 軍事政府는 隣接國家들에 흩어져 있는 소말리族을 吸收, 對소말리아 建設이라는 侵略的 勢力擴大政策을 推進하여 隣接國들과 紛爭이 繼續되었는데, 오가덴 沙漠地域에 居住하는 소말리아系 住民을 使嗾하여 WSLF를 組織케 하고 그를 支援하여 오가덴 地域을 掌握한 것이다.

오가덴 沙漠은 우라늄 賣場 可能性이 높은 地域으로 에티오피아는 國家 總動員令을 宣布, 反擊에 나섰으나 初期에는 WSLF에게 밀리기 始作했다. 事實上 兩國은 모두 社會主義 左傾化 路線의 軍事政權들로서 西方世界로서는 달갑지 않은 國家들이나 紛爭이 擴大되는 過程에서 에티오피아가 蘇聯에 援助를 要請, 쿠바의 直接 介入下에 소말리아軍과 WSLF를 敗退시킴으로써 一大 變化가 發生했다. 卽 當時까지 親疏路線으로 偏向해온 소말리아는 蘇聯이 에티오피아를 支援하자 1977年 11月 14日 蘇聯·쿠바와의 外交關係 斷絶을 宣言함과 同時에 親西方 路線으로 急旋回했다. 그 結果 소말리아는 美國·프랑스·中國·穩健 아랍國家들의 支持를 받아 에티오피아와의 紛爭을 繼續했는데 一旦 에티오피아가 오가덴 地域을 回復했다. 그러나 兩國間의 軍事的 緊張狀態가 持續되고 있고 WSLF는 에티오피아 軍事政府를 相對로 게릴라전을 展開하고 있는데, 親西方化한 소말리아는 1980年 美國과 軍事基地 提供協定을 締結하였다.

에리트리아 分離獨立紛爭 [ 編輯 ]

-分離獨立紛爭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의 唯一한 海岸地域의 一部로서 19世紀中 이탈리아에 强制 割讓되었고 이를 根據로 이탈리아는 第2次 世界大戰 直前에 에티오피아를 强占下였다. 1941年 國權을 回復한 에티오피아는 1947年 講和條約에서 이탈리아가 洞地域에 對한 領有權을 抛棄하자 國際聯合에서 領土回復을 主張했고 에리土리아側은 獨立을 主張, 論難끝에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聯邦制'가 決定되었다. 그 結果 1952年 6月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聯邦法이 公布되고 에리트리아 憲法이 制定되어 聯邦制가 實施되었으나 에리트리아側은 聯邦制 自體를 拒否하고 있었는데, 에티오피아 中央政府가 1960年 5月 聯邦法을 廢棄하여 에리트리아를 특권주로 格下시키고 1962年末 다시 一般週로 格下시켜 合倂함으로써 分離獨立鬪爭이 本格化된 것이다. 抵抗精神이 剛하고 더욱이 獨自的인 政治權力을 構築·享有한 바 있는 에리트리아人들은 에티오피아에 맞서 抵抗組織을 結成했는데 그것이 '에리트리아 人民解放戰線(EPLF)'이다. EPLF의 鬪爭이 加速化되자 에티오피아政府는 에리트리아에 自治權을 附與하고 獨自的인 制度를 認定하는 等 宥和政策을 實施함과 同時에 EPLF에 對한 政治的·軍事的 彈壓을 强化했는데, 1970年代 中盤 에티오피아의 政治的 變革事態와 더불어 周邊 國家들의 利害關係가 맞물려지면서 事態는 擴大되기 始作했다. 1991年 5月 에티오피아 人民革命民主前線과 함께 에티오피아 멩기스투 獨立政權을 逐出하고 에리트리아 人民解放戰線 讀者政府 樹立을 一方的으로 發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