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東洋思想/東洋의 思想/引渡의 思想/佛敎 - 위키文獻, 우리 모두의 圖書館 本文으로 移動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東洋思想/東洋의 思想/引渡의 思想/佛敎

위키文獻 ― 우리 모두의 圖書館.

佛敎 [ 編輯 ]

佛敎

佛敎란 佛陀가 說法한 가르침이며 同時에 眞理를 깨달아 불타(깨우친 사람)로 될 것을 가르치는 宗敎이다.

불타 [ 編輯 ]

佛陀 Buddha (前 566 ?∼前 480 ?)

佛敎의 創始者. 性은 고타마(Gotama), 이름은 싯다르타(Siddhartha 悉達·悉陀). 紀元前 566年頃에 석家族(釋迦族)의 中心地인 카필라城(現在는 네팔)에서 國王인 淨飯王(淨飯王, 首都다나)의 長子로서 誕生하였다(그의 連帶는 確定的으로 알려지고 있지 않으나 北方에 傳해지고 있는 第傳說에 依한 硏究結果에 따랐다)고 한다. 16歲 때에 비(妃)를 맞아들여 라훌라(Rahula)라는 아들을 얻었다. 人生問題에 깊이 煩惱하여 29歲 때 出家(出家)하였다. 두 線인(仙人)을 次例로 찾아서 그들이 體得한 選定(禪定)을 따라 行하였으나, 그 수행법에 滿足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山林(山林)으로 들어가 6年間 苦行에 힘썼다. 그러나 苦行(苦行)李 無意味한 것을 알고, 부다가야(佛陀伽倻, Budda gaya)의 菩提樹(菩提樹) 밑에서 침사冥想(沈思瞑想)하여 35歲에 隊伍聖徒(大悟成道)하여 各自(覺者, 붓다)가 되었다. 그後 여러地方을 遍歷하면서 衆生敎化에 힘썼으며, 쿠시나라에서 80歲로 入滅(入滅)하였다(전 480 ?). 尊稱하여 釋迦牟尼(釋迦牟尼, Sakiyamuni-석家族 出身의 聖者, 釋尊)라고 한다.

원시佛敎의 思想 [ 編輯 ]

原始佛敎-思想

고타마에 依하면 當時의 哲學者들은 結局 解決되지 않는 形而上學的(形而上學的) 問題로 論爭을 하고 있기 때문에, 確執(確執)에 사로잡힌 나머지 그 結果로 생각지도 않은 罪惡을 犯하고 있었다. 고타마는 이와 같은 論爭은 意義(意義)가 없는 것이라 하여 論爭에 加擔하려고 하지 않았다. 따라서 나와 世界는 尙州(常住)한 것인가 或은 無常한 것인가? 나와 世界는 有限(有限)한 것인가 或은 無限(無限)한 것인가? 身體와 靈魂(靈魂)은 하나인가 或은 別個의 것인가? 完全한 人格者는 죽은 뒤에 生存하는가 或은 生存하지 않는 것인가? 等의 質問이 나왔을 때 그는 對答하지 않았다고 한다(<14無記> 또는 <捨置記>). 왜 對答하지 않았는가 하면 이런 式의 形而上學的 問題의 論議는 無益한 것이어서 眞實한 認識(認識, 正覺)을 가져오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 한다. 그는 하나의 立場을 固守하여 其他의 것과 다투는 일이 없었다. 그는 여러 가지의 哲學설이 어느 것이나 特殊한 執着에 起因한 偏見이라는 것을 認識하고 그 어느 것에도 執着하지 않고 스스로 自身이 省察(省察)하면서 內面의 適正(寂靜)韓 境地에 到達하려고 하였다. 그는 自身이 眞實한 婆羅門 또는 努力하는 사람이 되는 道理를 說破하는 것이라 標榜하고 있었다. 佛敎는 어디까지나 人間이 生活해야 할 道理를 밝힌 것인데, 이 道(道)나 또는 規定을 法(다르마)이라고 불렀다. 佛敎의 實踐的 認識이 最初로 當面한 問題는 人生의 고(苦)라는 것이었다. 人間은 어디에 있거나, 또 어떠한 것에 依支하더라도 高(苦)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고(苦)란 自己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우리들이 經驗하는 모든 것이 고인 것이기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모든 것이 無償(無常)한 것인 때문이다. 이 世上의 一切의 事物(事物)은 여러 가지 因緣에 依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恒常 變化하고 있으며 刹那(刹那)의 瞬間도 停止하는 일이 없다(諸行無常). 그러므로 사람은 어느 것이건 '내 物件', '나의 所有(所有)이다'라고 執着해선 안 된다. 歲인(世人)이 아트만이라고 解釋할지도 모르는 여하한 原理(原理) 또는 機能도 實際는 아트만이 아니다. 또한 아트만에 屬하는 것도 아니다. 佛敎에서는 實體的 或은 機能的인 나를 想定하려는 것에 反對하였다. 그러나 數없이 많은 法(法, 다르마)을 認定하였다. 法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들의 現實 存在로 하여금 現在 이와같이 存在하게 하는 規定, 規範인 것이다. 우리들의 現實 存在 속에는 수많은 法이 作用하고 있다. 거기서 우리들의 具體的인 現實 存在를 解明하기 위하여 다양한 法體系를 說明하고 있다. 예컨대 우리들의 存在는 5溫(五蘊, 五陰), 卽 5種類의 法의 領域에 있어서 維持(維持)되며 形成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5溫(五蘊)이라 함은 色(色-感覺的 物質的인 것 一般), 수(受-意義 中에 무엇인가 印象을 받아들이는 것), 上(想-意義 속에 像을 構成하는 일), 行(行-能動的이며 潛在的인 形成力), 式(識-對象을 各各 區別하여 認識하는 作用)이다. 우리들의 存在는 이와 같은 다섯 가지 種類의 法의 領域 안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그렇게 이루어진 모든 것을 總括하여 世俗的 立場에서 그것을 于先 나(我), 自己(自己)라고 부르지만, 우리들의 中心主體(中心主體)는 그 어느 法의 領域 속에서도 認定할 수가 없다. 一切의 '나, 나의 것'이라고 하는 觀念은 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 또 別途의 法體系로서, 例컨대 우리의 認識 및 行動이 成立하는 領域으로서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의6입(六入)이 세워지고, 또한 그것에 對立하는 對象(對象)을 성립시키는 領域으로서 色(色)·性(聲)·向(香)·美(味)·蜀(觸)·法(法)의 6景(六境)을 들고 있다. 歲인(世人)은 勿論, 一般 哲學者들도 이러한 理法(理法)을 깨닫지 못한다. 그리하여 무엇인가 尙州 永遠(常住永遠)韓 내가 있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固執한다. 그로 말馬林아 많은 煩惱가 생기고, 그것에 苦惱(苦腦)하게 된다. 人間의 煩惱에는 貪慾(貪慾)·怒氣(怒氣)·迷惑(迷惑) 等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것은 妄執(妄執 妄執=渴愛 渴愛)에 起因하고 있다. 人間이 이 妄執에 煩惱하고 있는 것은 結局 나를 固執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사람이 고(苦)·무상(無常)·비아(非我)의 理致를 깨달아 正當한 智慧를 完成하면 이 妄執을 斷絶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認識을 얻으면 이미 그 무엇인가를 나(我) 或은, 나의 것이라고 執着하여 欲求(慾求)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을 實現하여 眞理의 認識을 體得하기 위해서는 隨行(修行)하는 데 努力하고, 戒律(戒律)을 嚴守하여 禪定(禪定)을 닦을 必要가 있다. 그 修行에 依해 眞理를 體得하고 妄執을 斷絶한다면 一切의 束縛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그것이 解脫(解脫)의 境地이다. 그것을 不辭(不死)라든가 涅槃(涅槃)이라고 한다. 涅槃이라는 말은 元來 '불어 끈다(吹消)는 것' 或은 '불어 끈 狀態(吹消狀態)'를 의미한다. 그것은 마치 바람이 타는 불을 불어 끈 境遇와 같이, 성하게 타오르는 煩惱의 火焰(火焰)을 智慧에 依하여 불어 꺼서 苦惱가 없어진 狀態를 가리킨다. 거기에서는 適正(寂靜)韓 最上의 安樂境地(安樂境地)가 實現된다고 생각하였다. 고타마는 以上과 같은 道理를 機會 있을 때마다 弟子(弟子)·信者(信者)·異敎徒(異敎徒:外道)들에게 說敎하였는데, 說敎의 强擊(綱格)으로서 綜合要約된 것이 <4除雪(四諸說)이다. 그것은 다음네 가지 種類의 眞理를 가리킨다. (1) 高弟(苦諦):凡夫(凡夫)의 生存은 고(苦)라고 하는 眞理 (2) 集諦(集諦):凡夫의 여러가지 苦惱는 結局 煩惱 特히 妄執에 依해서 일어난다고 하는 眞理 (3) 滅諦(滅諦):妄執을 完全히 消滅함에 따라 故(苦)를 消滅해 버린 涅槃이 解脫의 李相庚(理想境)이라고 하는 眞理 (4) 徒弟(道諦):이 고(苦)를 消滅로 引導하는 水道法은 '8程度(八正道)'에 不過하다고 하는 眞理. 8程度(八正道:또는 八聖道)라 함은 政見(正見)·情事(正思)·정어(正語)·正業(正業)·正名(正命)·正精進(正精進)·情念(正念)·訂正(正定)을 이른다. 또 延期(緣起)의 敎說(敎說)은 우리들의 迷惑된 生存이 무엇으로 말미암아 成立되어 있는 것인가를 分明히 하고, 그와 同時에 그 根本 條件을 소멸시킴으로 해서 우리들의 迷惑된

生存도 消滅할 수 있음을 가르치는 것이다. 원시佛敎 聖殿(聖典) 中에는 여러 가지 形式의 延期說(緣起說)李 說明되고 있으나, 어느 延期說이나 生老病死(生老病死)의 고(苦)로 煩惱하고 있는 存在가 바로 우리 自身임을 直視하라고 指摘한다. 또한 고(苦)의 根本原因은 우리의 無名(無明) 或은 無知(無知)에 있으므로 그 無名(無明)을 消滅시켜야만 우리들의 高(苦)도 消滅한다고 하는 論理를 共通的으로 展開하고 있다.(가장 發達된 形式의 延期說에서는 無明·行·識·名色·六入·觸·受·取·有·生·愛·老死의 12段階를 提示한다).

원시佛敎에 있어서의 實踐 [ 編輯 ]

原始佛敎-實踐

佛敎가 가르치는 實踐은 한 마디로 말해서 道德的으로 惡한 行爲를 하지 않는 것. 卽 生活을 淸淨하게 하는 것이다. 올바른 道德은 古今을 一貫한 永遠한 法으로 고타마가 새로 만들어낸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는 眞實하게 努力하는 사람, 眞實한 婆羅門이 될 수 있는 道를 사람들에게 校時(敎示)하는 者임을 標榜하고 있었다. 그는 또 옛날의 德行이 있는 性腺(聖仙)을 稱讚하고 있다. 8程度(八正道)의 實踐을 中道(中道)라고 한다. 當時의 新興 自由思想家의 사이에서 道德에 違反되는 일일지라도 現世(現世)의 快樂에 貪慾할 것을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었는가 하면 自己몸을 苛酷하게 하는 苦行(苦行)에 專心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고타마는 이것들을 가리켜 어느것도 極端으로 잘못된 實踐法이라고 하여 排斥하였다. 원시佛敎의 敎團(敎團)을 僧家(僧伽)라고 한다(승가라 함은 政治的으로는 共和政體, 經濟的으로는 組合으로 比喩 할 수 있다). 敎團은 出家修行者人 男性(比丘 比丘)과 女性(比丘尼 比丘尼) 그리고 在家信者(在家信者)인 男性(右派韓 優婆寒)과 女性(右派이優婆夷)等 4種類로 이루는데, 敎壇의 中心은 出家修行者이었다. 고타마는 德行이 높은 夫人을 尊敬해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敎壇 內에서 女性에게 男性과 같은 地位(地位)를 준 것은 宗敎上의 平等主義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타마는 出家(出家)의 맑고 자유스러운 生活을 讚美하였다. 修行에 精麗하려고 생각하는 사람은 裁可(在家)의 愛慾生活로부터 떠나 出家하여 獨身이 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曹操(早朝)에 村落이나 都市에서 托鉢乞食(托鉢乞食)하여 얻은 얼마 만큼의 飮食物로 滿足하고, 正午 以後에는 아무 것도 먹는 것이 許諾되지 않았다. 衣服은 恒常 삼의(三衣)를 걸치는 것뿐이었다. 飮食物이나 衣服을 獲得하여 貯藏하는 것은 禁止되어 있었다. 世俗的인 職業에서 떠나고 點(占)·呪術(呪術)·魔法 等도 禁止되어 있었다. 他人에 對한 態度로서는 他人을 尊重하라, 他人을 輕視(輕視)해서는 안 된다. 他人과 싸움해서는 안 된다. 怨望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하고, 一切衆生(一切衆生)에 對하여 慈悲(慈悲)를 베풀어 주어야 할 것을 强調하였다. 이러한 遂行을 實踐한 比丘는 煩惱를 消滅해버려 근심에서 떠나고, 마음은 適正(寂靜)으로 돌아가 現貰도 내세(來世)도 願하지 않는다. 毁譽褒貶(毁譽褒貶)에 마음을 움직이지도 않는다. 그 心境은 淸冷(淸冷)韓 湖水와 같이 그 靜寂의 境地를 즐겼다. 在家信者(在俗信者)는 불(佛)·法(法)·承(僧)의 3報(三寶)에 歸依하는데, 그 戒律로서는 5係(不殺生·不偸盜·不邪·不妄語·不飮酒)가 週(主)였다. 賭博(賭博)도 禁止되었다. 父母·妻子·親族을 愛好할 것을 가르치고 客인(客人)을 後代(厚待)하라고 한다. 經濟問題에 關해서는 正當한 職業에 從事하여, 眞實을 말하고 他人의 利益을 圖謀해 주고, 熱心히 努力하여 信賴와 名譽와 財産을 獲得할 것을 勸하고 있다. 그러나 自己가 財貨를 一方的으로 獲得만 해야 한다고 한다 하여 다만 自己 밑에 貯蓄해 놓는 것은 意義(意義)가 없기 때문에 財貨를 自己가 使用하는 同時에 他人에게도 分配下에 有效하게 使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한다. 또 負債(負債)는 반드시 辨濟해야 한다고 한다. 원시佛敎의 聖殿(聖典)으로서는 팔리어(語)의 <三藏(三藏)>과 그에 相當한 漢譯(漢譯)이 있다.

佛敎信仰의 普及 [ 編輯 ]

佛敎信仰-普及

佛敎는 고타마의 事後에 主로 모든 都市의 王后(王侯)와 商工業者의 귀의(歸依)를 받아서 中部 印度를 中心으로 한 東部 印度에 傳播되고 있었으나, 아소카王(在位 軟한 藥 전 268∼前232)의 絶對的인 援助와 保護를 받음으로써 全印度에 普及되었다. 불타는 當時의 印度人 一般이 바라는 理想的 위인(偉人)으로서 갖추어야 할 特徵을 모두 갖추었고, 特히 그가 不可思議(不可思議)韓 힘을 具備하고 있다고 믿었다. 現實의 歷史的 存在가 神格化(神格化)된 것이다. 佛陀의 偉大性이 强調됨에 따라 그러한 偉大한 人格은 團地 今生(今生)의 遂行에 依하여 完成된 것만이 아니고, 過去의 많은 生涯를 통한 오랜 修行의 힘에 依한 것이라는 믿음이 생겨났다. 釋尊(釋尊)은 過去世(過去世)에 있어서 飛上한 功德을 蓄積하고 先行(善行)을 하였기 때문에 現世(現世)에 있어서 이와 같은 超人的 存在로 出現하였음이 틀림 없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釋尊의 傳貰(前世)에 緣由된 많은 本生譚(本生譚)李 製作되었다 (現在 파리어 經典 속에 546篇이 傳해지고 있다). 本生譚은 元來 中央 印度에 옛부터 民衆 사이에서 퍼지고 있었던 敎訓的 寓話(寓話)었으나 그것을 釋尊의 前生과 결부시켜 釋尊은 過去 世上에서, 或은 先王(善王)으로, 或은 良臣(良臣) 等으로, 或은 짐승으로서 이러한 先行(善行)을 하였다고 말하는 것이다. 本生譚은 社會的 感化가 대단히 커서 一般民衆을 佛敎에 歸依시키고 道德的으로 그 心情(心情)을 崇高하게 하는 點에서 非常한 貢獻을 하였다. 佛敎의 蕃盛과 함께 불타나 或은 佛弟子(佛弟子), 聖者(聖者) 等의 遺骨(遺骨)과 遺品(遺品)에 對한 崇拜가 盛行하게 되어 그것들을 埋藏하고 있는 場所에는 壯大한 塔(塔=스투파)李 建立되었다. 佛像崇拜(佛像崇拜)는 아직 일어나지 않아 當時의 많은 彫刻을 보아도 釋尊(釋尊)의 賞은 아직 彫刻되지 않았다. 塔의 周邊의 亂順(欄楯) 및 석주(石柱) 等은 많은 比丘·比丘尼 및 裁可(在家) 信者들이 시주한 것이다. 그들은 施主함으로써 父母親族과 或은 社長(師匠)의 冥福(冥福)을 빌고 또 自身의 功德을 쌓으려고 祈願하고 있었다. 裁可 詩走者의 職業을 보면 商工業者 및 그의 家族에 이어 農村의 資産家가 壓倒的으로 많았다. 또 婦人이 많이 있어 거의 男性에 筆跡(匹敵)한다. 이에 反하여 王族, 無事 및 一般 農民의 施主는 거의 볼 수 없다.

小乘제파의 成立(上座部와 大衆部) [ 編輯 ]

小乘諸派-成立 (上座部-大衆部)

佛敎 敎團(佛敎敎團)李 發展하여 아쇼카왕(在位 軟한 大略 前 268∼前 232)의 時代가 될 무렵, 敎團은 上座部(上座部)와 大衆部(大衆部)로 分裂하였다. 自由主義的인 修行僧들은 傳統的인 敎壇에 對하여 獨立을 宣言하고 大衆部(摩詞僧祗部)를 樹立하였다. 이에 對하여 保守的인 長老(長老)들의 一派를 上座部라고 하였다. 現在 南方 아시아 帝國의 佛敎徒는 上座部에 屬한다. 敎理(敎理)에 關하여서도 여러 가지의 變化가 일어났다. 그 中에서 가장 顯著한 變化는 理想的 人格으로서의 불타 및 理想的 狀態로서의 涅槃(涅槃)李 一般修行者에게 너무 距離感 있게 여겨졌다. 그래서 遂行과 關聯하여 克服해야 할 煩惱에 關한 考察도 漸次로 詳細하게 考察되었고, 選定(禪定)의 種類도 많이 생겼다. 當時의 佛敎는 印度의 모든 階級·職業에 걸쳐 傳播되었을 뿐 아니라 그리스人·사카人 等의 信者들도 적지 않았다. 그들은 父母의 冥福을 비는 追善供養(追善供養)으로서, 或은 一切 衆生에 功德을 미치기 위하여 스투파(탑)라든가 僧院(僧院:伽藍)을 乾燥하여 敎壇에 施主했다. 特히 사카族 및 파르티아族의 國內에서는 國家의 安寧이나 或은 王后 一族의 幸福을 祈禱하기 위하여 施主한다고 하는 思想이 났다. 當時의 出家修行者는 僧院에 居住하는 者가 漸次로 많아졌으나 僧院은 어느 便의 剖破(部派)엔가에 所屬되어 있었다. 이미 아소카王 時代에 上座部·大衆部의 系統의 두 派로 分裂하였고, 그後 約 百年 동안에 大衆部 系統이 雜多하게 分裂하였고 이어 約 百年間에 上座部 系統이 分裂되었다. 흔히 傳說에 依하면 18剖破(部派)가 새로 分立하였다고 한다. 卽 根本 2部(根本二部 上座部와 大衆部)와 分派(分派) 18部를 합쳐서 小乘 20部(小乘二十部)라고 傳해오고 있다. 이들 中에서도 上座部 系統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독자부(犢子部)·정량부(正量部)·火支部(化地部)·經量部(經量部)는 特히 重要하다. 이들 第剖破(諸部派)의 分裂이 紀元前 百年頃에는 거의 完了된 것 같다. 各 剖破는 各各 自派의 敎說(敎說)에 權威를 붙여 正統설(正統說) 임을 證明하기 위하여 各 剖破마다 各各 自己나름대로의 立場에서 從來의 聖戰(聖典)을 編纂하고 集大成하였다. 佛敎 第剖破(佛敎諸部派) 中에서 가장 有力했던 것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이었다. 설일체유부(弱하여 有部)라는 것은 一切의 法 卽 5溫(蘊)·12處(處)·18係(界)라 하는 것과 같이 各自의 法의 體系를 의미한다. 有婦(有部)에서는 自然世界가 原子(原子 極微)로 構成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經量部(經量部)는 經典(經典)만을 典據(典據)로 하여 有婦에서 말한 것을 批判的으로 改正하였다. 그들은 色法(色法) 中의 4代(四大)와 마음의 實有(實有)를 認定하면서 其他의 것의 實有(實有)는 否認하였다. 以上의 上座部 系統의 思想에 對하여 大衆部 系統에서는 불(佛)의 超人性(超人性)·絶對性을 强調하며, 菩薩(菩薩)의 美德을 强調하여 우리들의 '心性(心性)은 本來 鄭(本淨)하다'고 主張하였다. 이것들은 어느것이나 大乘佛敎(大乘佛敎)에 이르는 過渡的 思想 形態이다. 4世紀 以後가 되면 許多한 强要서(綱要書)가 作成되었으나, 後世에 가장 重視된 것은 바수반두(Vasubandhu 世親·天親 320 ?∼400 ?)의 <阿毘達磨俱舍論(阿毘達摩俱舍論)>이다. 실론에 傳하는 上座部(上座部)에서는 팔리어(語)의 聖戰(聖典)을 註解硏究(注解硏究)하고 있었다. 붓다枯死(4世紀 後半∼5世紀)가 印度 本土로부터 실론에 와서 大政事(大精舍)에 傳播된 3張(三藏)의 第主席(諸注釋)을 팔리어로 개서(改書)하면서 自身이 註釋을 하였다(415∼450경). 또 上座部의 敎義(敎義)를 組織的으로 綜合하여 <淸淨度론(淸淨道論)>을 지었다.

大乘佛敎의 興氣 [ 編輯 ]

大乘佛敎-興起 紀元後 1∼2世紀의 佛敎界에 있어서는 傳統的 保守的 佛敎가 壓倒的으로 優勢한 社會的 勢力을 維持하고 있었으나, 一般民衆과 더불어 그 指導者었던 說敎師(說敎師)의 사이에서는 새로운 宗敎運動이 일어나고 있었다. '大乘佛敎(大乘佛敎)'(마하야나)이다. 이에 對하여 舊來 傳統的, 保守的 佛敎는 一般的으로 小乘佛敎(히나야나)라고 불려졌는데 그것은 大乘佛敎側에서 붙인 貶稱이며 正統의 舊來의 佛敎 諸派(諸派)는 그와 같이 부르지 않고 있다. 그들은 스스로 佛敎의 正統派로 自處하여 大乘佛敎를 無視하고 있었다. 正統的 佛敎第파는 커다란 社會的 勢力을 가지고 莫大한 財産에 依存하여 홀로 自身이 몸을 孤高하게 함으로써 그 몸을 精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態度는 한層 더 獨善的·高踏的이었다. 그들은 洞里를 떠난 地域의 巨大한 僧院 內部에 居住하며 고요하게 冥想(瞑想)하고, 坐禪(坐禪)을 하면서 複雜한 敎理硏究에 從事하고 있었다. 大乘佛敎는 이와 같은 生活態度를 强力하게 攻擊하였다. 甚至於 部派佛敎의 그러한 態度는 利己的·獨善的이라고 하며 輕視하여, 그들을 小乘(小乘)이라고 貶稱하였다. 그러면서 自身들은 남을 이롭게하는 利他行(利他行)을 强調하였다. 大乘佛敎에서는 慈悲精神(慈悲精神)에 立脚하여 生命을 가진 生物 모든 것을 고(苦)에서 救出할 것을 希望한다. 自己自身이 彼岸(彼岸)의 世界에 達하기 以前에 于先 他人을 救濟하지 않으면 안 된다(自未度先度他). 이와같은 利他行(利他行)을 實踐하는 사람을 菩薩(菩薩·大士·開士)이라고 한다. 出嫁한 比丘이거나 裁可(在家)의 國王·商人·職印(職人)이거나 衆生濟度(衆生濟度)의 서원(誓願·悲願)을 세워서 그것을 實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菩薩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慈悲에 根本하는 菩薩行(菩薩行)은 理想으로서는 어느 사람이라도 行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지만 一般 凡夫에게는 좀처럼 實踐하기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諸佛(諸佛)·第菩薩(諸菩薩)에 歸依하여 그 힘에 依하여 救濟하고 誓願을 實行할 것을 말한다. 諸佛中에서도 特히 阿閦佛·阿彌陀佛(阿彌陀佛)·彌勒佛(彌勒佛)·藥師如來(藥師如來) 等이 熱烈한 信仰을 받았다. 또한 菩薩도 超人和(超人化)되어서 그 救濟力이 强調되었다. 觀世音菩薩(觀世音菩薩)·文殊菩薩(文殊菩薩)·普賢菩薩(普賢菩薩) 等이 많은 信者들의 念佛對象이었다. 그들은 衆生을 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몸으로 이 世上에 나온다. 그들은 衆生에 對한 慈悲(慈悲) 때문에 自己 스스로는 涅槃(涅槃)에 들어가는 일도 없다. 諸佛(諸佛)·菩薩에 對한 信仰이 高調됨에 따라 그들의 身體(身體)를 具體的인 形態로 表現하여 그것을 崇拜하고 싶은 熱望이 일어나 마침내 많은 佛像(佛像)과 菩薩像(菩薩像)李 製作되었다. 中央 引渡의 마투라視(市)와 西北 印度의 간다라 地方이 佛像 製作의 中心地였다. 前者는 아소카王(在位 前268∼前232) 以來의 印度 국수美術(國粹美術)의 傳統을 좇고 있으나 後者는 그리스 美術의 影響을 많이 받고 있다. 大乘佛敎의 敎化方法은 當時 民衆의 精神的 素質(素質)이나 傾向에 적합한 方法에 依支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래서 불·菩薩을 信仰하여 歸依할 것 같으면 많은 財富와 幸福이 얻어지며 無病으로 災害를 없앨 수 있다고 했다. 特히 注目해야 할 것으로는 敎化의 重要한 한 手段으로서 주구(呪句=陀羅尼·총지總持)를 使用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敎化方策은 飛上한 成功을 거두었다. 그러나 同時에 大乘佛敎가 뒤에 墮落하게 된 原因(原因)을 여기서 싹트게 하였던 것이다.

般若經前의 公館 [ 編輯 ]

般若經典-空觀

公館(空觀)이라 함은 一切諸法(一切諸法)이 공(空)이며, 그 무엇도 固定的인 實體(實體)를 所有하고 있지 않다고 보는 思想이다. 이미 원시佛敎에서 世上을 空이라고 說明되고 있거니와, <般若經前(般若經典)>에서는 그 思想을 받아 더 발전시켜 大乘佛敎의 基本的 敎說(敎說)로 삼았다. <般若經前>으로서는 <大般若波羅蜜多經(大般若波羅蜜多經)>(600卷 玄裝譯)의 一帶집聖書(一大集成書)인데 그中에 <般若心經(般若心經)>

<金剛般若經(金剛般若經)> <理趣經(理趣經)> 等이 特히 有名하다. 當時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等의 所謂 小乘제파(小乘諸派)가 法의 實有를 主唱하고 있었는데 그것을 攻擊하려고 否定的인 공(空)이라는 말을 <般若經前>은 더욱더 反復 使用하고 있는 것 같다. 그것에 依하면 우리들은 固定的인 '法(法)'이라고 하는 觀念을 가지면 안 된다. 一切諸法(一切諸法)은 공이다. 왜냐하면 一切諸法은 다른 法에 條件이 지워져 成立함으로써 固定的·實體的인 本性을 갖고 있지 않는 것, 卽 <무自省(無自性)>인데, 무自省한 것은 空이라고 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諸法(諸法)이 功이라면 本來 當然히 공이어야 할 煩惱(煩惱) 等을 斷滅한다고 하는 것도 眞實한 意味로는 있을 수 없다. 이와 같은 理法을 體得하는 理法을 體得하는 일이 無償正等覺(無上正等覺)이다. 그 外에 어떠한 無償正等覺이라고 하는 것은 따로 別달리 存在하지 않는다. 實踐(實踐)은 이와 같은 公館(空觀)에 基礎된 것이 아니면 안 된다. 菩薩은 無量, 無水, 武弁(無量無數無邊)의 衆生을 制度(濟度)하지만 그러나 自己가 衆生을 濟度하는 것이다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眞實한 菩薩이 아니다. 그에게 있어서는 舊(救)하는 者도 공이며, 救濟되는 衆生도 공이며, 救濟되어서 到達하는 境地(境地)도 공이다. 如來(如來)에는 小說(所說)의 가르침이 없다. 가르침은 뗏木과 같은 것이다. 衆生을 引導한다고 하는 目的을 達하였으면 뗏木은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實踐的 認識을 智慧의 完成<般若波羅密多>이라고 한다. 布施(布施)·持戒(持戒)·人慾(忍辱)·精進(精進)·煽情(禪定)이라고 하는 다섯 가지의 完成과 아울러 6度(六度:六波羅密多)라고 한다.

裁可佛敎運動 [ 編輯 ]

在家佛敎運動

公館(空觀)으로부터의 論理의 必然的인 結論으로서, 輪廻(輪廻)와 涅槃(涅槃)이 그 自體로서는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고 說敎되었다. 따라서 우리들의 現實의 日常生活이 그대로 理想的 境地로서 示現되지 않으면 안 된다. 以上 警戒(理想境界)는 우리들의 迷惑한 生存을 떠나서는 存在하지 않는다. 공(空)의 實踐으로서의 慈悲行은 現實의 人間生活을 통하여 實現된다. 이 立場을 徹底하게 한 나머지 出家生活을 否定하여 裁可(在家)의 世俗生活 속에 佛敎의 以上을 實現하려고 하는 宗敎運動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運動의 所産으로서 誕生한 代表的 經傳(經典)李 <유마힐小說頃(維摩詰所說經)>이다. 거기에서는 유마힐(維摩詰)이라고 하는 裁可(在家)의 擧事(居士)가 主人公으로 登場하여, 出家者人 釋尊(釋尊)의 高弟子들의 思想이나 或은 實踐修行을 未盡한 데 없이 徹底히 論難追求(論難追究)하여, 그들을 위축시킨 다음 그後에 眞實한 眞理를 밝혀서 그들을 指導한다고 하는 줄거리로 되어 있다. 裁可佛敎運動의 以上은 조금 後代에 나타난 <勝萬頃> 속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釋尊의 面前에서 승만부인이 諸問題에 對하여 大乘法(大乘法)을 說明하였더니, 釋尊은 자주 賞讚(賞讚)하는 말을 하면서 그 說法을 是認한다고 하는 줄거리로 되어 있다.

華嚴經의 思想(菩薩行의 强調) [ 編輯 ]

<華嚴經>-思想(菩薩行-强調)

華嚴經의 趣旨는 師事撫愛의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을 바탕으로 菩薩行(菩薩行)을 說破한 것이다. 菩薩의 遂行에는 자리(自利)와 利他(利他)와의 두 方面이 있으나, 菩薩에에게는 衆生制度(衆生濟度)라고 하는 것이 자리(自利)이기 때문에 자리 卽 利他이다. 이 敬意 10지품(十地品)에서는 菩薩의 修行이 進行하는데 따라서 마음이 向上하는 過程을 10址(十地 10種의 階段)로 나누어 說明하였다. 또 제6현 電池(第六現前地)에서는 <三界虛妄 短詩 日심작9三界虛妄但是一心作), 12因緣憤慨疑心(十二因緣分皆依心)>(3契는 虛妄한 것 다만 이 마음의 지陰이요, 12因緣分은 다 마음에 依한다)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매우 重要한 말이다. 또 立法啓稟(入法界品) 中에서는 善財童子(善財童子)의 構圖(求道)가 注目할 만한 것이다. 그는 菩提心(菩提心)을 일으켜서 菩薩行(菩薩行)을 完全하게 알기 위하여, 南方에 旅行하여 53人(또는 44人)이 있는 곳을 訪問하여 說敎를 請하고, 最後에 普賢菩薩(普賢菩薩)의 가르침을 받아서 究極의 境地에 到達한다.

淨土3부경 [ 編輯 ]

<淨土三部經>

一部의 大乘敎徒(大乘敎徒)는 現世를 穢土(穢土)라고 하여 彼岸(彼岸)의 世界에서 淨土(淨土)를 求하였다. 後世에 가장 影響이 컸던 것은 阿彌陀佛(阿彌陀佛)의 淨土인 極樂世界의 觀念이다. 阿彌陀佛의 信仰은 當時의 民衆 사이에서 行하여져 <第大乘經典(諸大乘經典)>속에 나타나고 있는데, 特히 主要한 것은 <淨土3부경(淨土三部經)>이다. <不屑無量壽經(佛說無量壽經)> 2卷, <不屑觀無量壽經(佛說觀無量壽經)> 1卷, <不屑阿彌陀經(佛說阿彌陀經)> 1卷, 그것이다. 淨土經典(淨土經典)은 五濁惡世(五濁惡世)의 衆生을 위하여 釋尊이 阿彌陀佛(阿彌陀佛)에 依한 救濟를 말한 經典이라고 하는 것을 標榜하고 있다. 阿彌陀佛이라 함은 原語(原語)를 省略한 音譯이다. 意譯(義譯)하여 無量壽佛(無量壽佛) 또는 無量光佛(無量光佛)이라 한다. 阿彌陀佛은 過去世(過去世)에서 法藏比丘(法藏比丘)라는 修行者였는데, 衆生制度의 서원(誓願)을 일으켜서 長子(長者)·擧事(居士)·國王(國王)·堤川(諸天) 等이 되어 無數한 衆生을 敎化하였으며, 第불을 供養(供養)하여 드디어 깨달음(悟)을 얻었다고 한다. 이 世界에서 西方(西方)으로 十萬億(十萬億)의 佛國土(佛國土)를 지난 곳에 極樂世界가 있는데 그 部處는 現在 그곳에 계시면서 說法(說法)하고 있다. 善男子(善男子) 或은 線女人(善女人)李 無量壽如來(無量壽如來)의 名號를 듣고서 마음으로 念願한다면, 그 사람의 臨終時에는 無量壽如來(無量壽如來)가 聲聞(聲聞) 및 菩薩(菩薩)의 성중(聖衆)을 거느리고 그의 앞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現世의 意義가 後代의 淨土敎에서도 큰 問題가 되었으나 이미 經典 속에서 6度(度)의 實踐意義가 强調되고 있다.

法華經의 思想(一乘思想과 救援의 本佛 觀念) [ 編輯 ]

<法華經>-思想

大乘佛敎徒는 小乘佛敎度에 對하여 極力 攻擊하지만 佛敎 內의 여러 가지 敎說은 어느것이나 그 存在意義(存在意義)를 갖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道理(道理)를 戱曲的 構想과 文藝的 形式을 빌어서 明瞭하게 表現한 法驚異 <法華經(法華經)>이다. <法華經>은 特히 鳩摩羅什(鳩摩羅什) 驛(譯)인 <妙法蓮華經(妙法蓮華經)> 8卷에 依해 有名해졌는데 그의 全般 14品에서는 다만 聲聞乘(聲聞乘, 釋尊의 說敎를 듣고서 充實하게 實踐하는 것)·緣覺乘(緣覺乘, 혼자서 悟覺을 開拓하는 實踐)·菩薩乘(菩薩乘, 自利利他를 目標로 하는 大乘의 實踐)의 3勝(三乘)李 1勝(一乘)에 돌아간다고 하는 것을 强力히 主張하고 있다. 從來 이들 3勝은 一般的으로 別個의 敎法(敎法)으로 看做되었으나 그것은 皮相的인 見解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 3勝은 어느것이나 부처가 衆生을 引導하기 위한 方便으로서 說破한 것이며 事實은 1乘法(一乘法)이 있을 따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敎法(敎法)이 어느 것이나 存在意義를 갖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그것들은 肉身(肉身)의 釋尊人 까닭은 아니다. 그것들을 성립시키는 根源은 時間的·空間的 限定을 超越하고 있으면서 特히 그 根源 속에서 開顯(開顯)하여 오는 絶對者(絶對者)·諸法實相(諸法實相)의 이(理)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이 舊怨(久遠)의 本佛(本佛)이다. 世上의 모든 사람들은 釋迦如來가 석家族(釋迦族)에서 出家하여 遂行함으로써 五角(悟覺)을 열고 80歲에 入滅(入滅)하였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實狀 釋尊은 永遠한 옛날 五角(悟覺)을 열어 衆生을 敎化하고 있는 것으로서 常住不滅(常住不滅)이다. 人間으로서의 釋尊은 다만 方便으로 나타난 形象에 不過하다(이상 後半 14品, 本門)는 것이다.

中觀派 [ 編輯 ]

中觀派

大乘敎(大乘敎)의 哲學 學派의 하나. 공(空)의 思想을 哲學的으로 基礎 세운 것은 나가르주나인데, 그의 學界(學系)를 中觀派라고 한다. 나가르주나의 弟子에 아리아데바(Aryadeva 提婆·聖天가 있다. 銳利한 論法으로 모든 學派를 論破하였기 때문에, 타파로부터 怨望을 산 나머지 殺害되었다고 한다. 著書에 <百論(百論)><四百론(四百論)> 等이 있다(중국·한국의 三論宗은 <中論> <百論> <十二門論>에 遵據한다). 後世의 中觀派에서는 붓다팔리打(佛護)와 바비야(淸辯) 두 사람이 對立하여 各各 푸라想起카파(派)와 스바탄트리카파(派)의 開祖가 되었다. 또 他人에 對한 奉仕를 强調한 샨티데바도 中觀派의 立場을 取하고 있다.

나가르주나(用水) [ 編輯 ]

Nagarjuna 龍樹 (150 ?∼250 ?) 印度의 佛敎思想家. 南印度 사람. 佛敎와 아울러 다른 學問에도 精通하여 공(空)의 思想을 哲學的으로 基礎 세운 最初의 사람이다. 그는 後世의 佛敎에 깊은 影響을 미쳐, '8種(八宗)의 調査(祖師)'로 준숭되고 있다.

著書로서는 <衆論(衆論)> <十二門論(十二門論)> <大智度論(大智度論)> 等이 있다.

衆論의 思想 [ 編輯 ]

<中論>-思想

나가르주나는 著書 <衆論>에서 有婦(有部)의 法油主張(法有主張)을 包含하여 實體的 原理를 想定하는 모든 種類의 哲學思想을 批判하며 論難하고 있다. 萬若 法油(法有)의 立場에 서서 槪念이나 或은 本質(本質)과 같은 것을 實體視한다고 하면 現象界(現象界)의 變化의 理由를 說明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그는 主張한다. 于先 時間的 規定을 받아서 實體的 本質을 갖는 것은 變化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現實의 經驗世界(經驗世界)에 있어서는 生滅去來(生滅去來)의 變化가 成立하고 있다. 따라서 제법 그 自體는 實有(實有)일 수는 없다. 공(空)이어야 하며 무自省(無自性)李 아니면 안 된다. 또 現象界(現象界)에 있어서 個個의 上(相)은 相互間에 다른 像과의 對立 依存關係에 있어서 成立하고 있다. 어떠한 것도 自己에 對하여 否定的으로 對立하는 것을 前提로 하며, 더욱이 이와 같은 否定的 대립자를 不正함으로 인하여 成立되고 있다. 그러므로 제법 그 自體는 얻지 못할 것이어서 公(空)이다. 어떠한 槪念으로도 言語로도 敍述할 수 없다.

다만 否定的으로만 表現될 수 있다. 모든 것은 공(空)일 뿐이기 때문에 實踐이 可能한 것이다. 萬一 공이 아니었다면 우리들이 目標를 向하여 努力하는 것도 不可能하다고 主張한다. 이 공(空)의 理法(理法)을 나가르주나는 '演技(緣起)'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을 諸法實相(諸法實相)이라고도 하며, 또 <無我(無我)>와 같은 意味라고도 解釋하고 있다. 이 理法(理法)은 相對的으로 對立하고 있는 제 槪念 속에서 어느 한便에 執着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또한 <中道(中道)>라고도 한다. <衆論(中論)>의 除名(題名)은 여기에서 由來한다. 나가르주나에 依하면 輪廻(輪廻)와 涅槃(涅槃)은 아무 區別도 없다. 涅槃이라고 하는 特別한 境地가 實際로 存在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凡夫(凡夫)의 迷妄(迷妄)이다. '繫縛(繫縛)과 解脫(解脫)이 있다'고 생각하는 곳에 解脫이 있다.

이 理法(理法)을 體得해야만 慈悲行(慈悲行)의 實踐이 成立한다.無我)>와 같은 意味라고도 解釋하고 있다. 이 理法(理法)은 相對的으로 對立하고 있는 제 槪念 속에서 어느 한便에 執着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또한 <中道(中道)>라고도 한다. <衆論(中論)>의 除名(題名)은 여기에서 由來한다. 나가르주나에 依하면 輪廻(輪廻)와 涅槃(涅槃)은 아무 區別도 없다. 涅槃이라고 하는 特別한 境地가 實際로 存在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凡夫(凡夫)의 迷妄(迷妄)이다. '繫縛(繫縛)과 解脫(解脫)이 있다'고 생각하는 곳에 解脫이 있다. 이 理法(理法)을 體得해야만 慈悲行(慈悲行)의 實踐이 成立한다.

唯識派 [ 編輯 ]

唯識派

從前의 大乘佛敎(中觀派의 哲學을 包含하여)는 哲學思想은 있었으나 理論的 體系를 갖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굽타 王朝 時代에 들어서 時代 全般의 風潮에 따라 大乘佛敎徒 理論的 體系가 세워져서 學派를 確立하였다. 그 學派를 唯識派라 한다. 唯識派를 요가 行自派(行者派)라고도 한다.

唯識說(唯識說)은 이미 <解深密經(解深密經)>에서나 <大勝阿毘達磨頃(大乘阿毘達摩經)> 中에 說破되고 있는데, 唯識派의 改造(開祖)는 마이트레이아(Maitreya, 彌勒, 270年頃∼350年頃)이다. 後世의 傳說에서 그는 彌勒菩薩(彌勒菩薩)과 同一視되었다. 그는 <瑜伽師地論(諭伽師地論)> <大乘莊嚴經論(大乘莊嚴經論)> <중변분별론(中邊分別論)> 等을 咀嚼하였다. 마이트레이兒의 가르침을 받아서 唯識說을 組織的으로 論述한 것이 아상가(Asanga,

無著, 無着, 310年頃∼390年頃)이다. 그는 많은 書籍을 著述하였는데 <攝大乘論(攝大乘論)>이 特히 有名하다.

아상가의 동생에 바스반두(Vasbandhu, 世親·天親 320年頃∼400年頃)가 있다. 처음에는 小乘佛敎를 硏究하여 <俱舍論(俱舍論)>을 咀嚼하였으나 後에 兄(兄)인 아상가의 指導를 좇아 大乘敎(大乘敎)에 歸依하여 많은 著書를 지어냈다. 그의 著書 中에서 <侑食20론(唯識二十論)><侑食30頌(唯識三十頌)>이 特히 有名하다.

唯識說 [ 編輯 ]

唯識說 唯識說에 依하면 人間의 現實存在를 構成하고 있는 여러 가지 法(法)은 實有(實有)가 아니고, 그 實相(實相)은 공(空)이다. 다만 無差別하고 한결같이 공(空)이라고 하는 한 原理(原理)에 따라 일정하게 秩序있는 現實의 差別賞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 모든 種類의 法(法)이 現在 있는 것과 같이 成立하기 위해서는 各各 공에 根據된 原因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 原因은 이미 可能性의 狀態에서 存在한다. 그것을 '種子(種子), (非쟈)'라고 부른다. 種子라고 하는 것은 '法(法)을 생하는 可能力(可能力)'을 말한다. 이와 같은 可能力은 純粹한 精神作用 卽 式(識)이다. 式이라는 것은 對象을 分別하여 아는 作用이다. 萬有(萬有)는 式에 依하여 顯現(顯現)한 것에 不過한 것이라고 하여 唯識說을 主張한다. 이 動向을 食滯(識體)의 轉變(轉變)이라고 한다. 食滯가 前變하여 세 가지 種類의 式을 성립시킨다. 첫째로 阿羅耶識(阿賴耶識)은 根本識(根本識)이라고도 하는 것인데, 이는 諸法의 種子(種子)가 된다. 둘째로 사량(思量)의 作用을 하는 式(未那識)으로서, 阿羅耶識에 依存하여 일어나지만 阿賴耶識을 對象(對象)으로 하여 我執(我執)을 일으킨다. 셋째로 安息(眼識)·移植(耳識)·鼻息(鼻識)·舌識(舌識)·新式(身識)·意識(意識)의 6式인데 各各 色(色)·性(聲)·向(香)·美(味)·蜀(觸)·法(法)을 認識한다(합쳐서 8食이 된다). 그런데 自己의 對象(對象所緣)을 공(空)이라고 깨달아 實在(實在)하는 것을 認定하지 않을 境遇에는 마음은 有識性(唯識性)에 存在한다. 이와 같은 境地에 到達한 修行者는 生死(生死)와 涅槃(涅槃)을 相異한 別個의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그 어느 것에도 存在하지 않는다. 그는 眞如(眞如)의 智慧(知慧 般若)를 所有하고 있기 때문에 生死의 次元에서 存在되지 않는다. 또한 慈悲(慈悲)를 갖고 있기 때문에 衆生을 救濟하는 일에 努力하여 倦怠함이 없으며, 涅槃에 머무르는 일도 없다(無住處涅槃). 具體的인 德目(德目)으로서는 6度(六度)를 實踐한다.

唯識派의 系譜 [ 編輯 ]

唯識派-系譜

唯識說(唯識說)은 비스반두 以後 印度의 思想界에 있어서 대단히 優勢하게 되어 많은 學者를 輩出하였으며 여러 가지 異常한 學派(異流)를 성립시켰다. 아상가. 바스반두에서 由來한 硬式口供(境識俱空)을 主張하는 眞實唯識說(眞實唯識說)은 印度에서는 無償唯識派(無相唯識派)라고 呼稱된다. 이는 賑濟三藏(眞諦三藏, 499∼590)에 依해 中國에 傳播되어 攝論宗(攝論宗)으로 發展하였다. 이에 對하여 一旦 式(識)의 存在를 認定하는 立場, 卽 경공心兪(境空心有)의 方便唯識說(方便唯識說)은 有償唯識派(有相唯識派)가 主張한 것으로서, 디그나가(Dignaga 陳那·域龍)에서 始作하여 無性(無性)을 거쳐 호법(護法 530∼561)에 이르러 大成하였다. 이는 玄奘 三藏(玄裝三藏)에 依해 中國·韓國에 傳해져 法相宗(法相宗)李 되었다. 디그나가는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等을 咀嚼하였다. 그는 知識根據로서 直接知覺(直接知覺)과 推論(推論)과의 두 種類만은 承認하면서, 直接知覺은 分別(分別)을 떠난 것이어서 內容이 없는 것이지만, 推論의 作用이 가(加)해짐으로써 具體的인 知識으로서 成立한다고 한다. 또 普遍(普遍)의 存在를 否認하여, 그것은 타자(他者)의 排除(排除)에 依하여 否定的으로 구상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主張하였다. 따라서 참뜻으로 말하는 個別자란 作用의 어느 瞬間에 不過하다고 한다. 그는 '신인명(新因明)'을 確立하였다. 샨카라스바民(Sankarasvamin)의 <人命입鄭理論(因明入正理論)>(玄裝譯)은 그 入門書(入門書)인데, 中國·韓國에서는 人命(因明)의 根本 全的(根本典籍)으로서 많이 硏究되었다. 디그나가의 論理思想은 다르마키르티(Dharmakirti, 法稱, 650?)에 依해서 더 한層 細密한 것으로 되었다. 그에 依하면 各 瞬間이 勝의(勝義)에 있어서 어떤 것이다. 우리는 各 瞬間의 連續으로서 意識의 흐름을 上程(想定)하여 個人의 思惟에 依하여 구상된 것에 不過한 것이라고 한다. 그는 또 論據 그 自體로부터 引渡되어 나오는 推論과 結果를 論據로 하는 推論과를 區別하였다.

如來藏史上 [ 編輯 ]

如來藏思想

如來藏思想은 唯識說(唯識說)과 비슷한 思想이지만, 大乘佛敎의 一部 哲學者들이 이 如來藏思想을 가르쳤다. 凡夫(凡夫)의 마음속에 있는 如來(如來)가 될 수 있는 可能性을 '如來藏(如來藏)'이라고 한다. 이 觀念에 立脚하여 衆生의 迷惑과 五角(悟覺)李 成立하는 까닭을 說明하는 思想傾向이 나타났다. 그 代表的인 著作인 <大乘起信論(大乘起信論)>은 馬鳴(馬鳴)의 著作이라고 하고 있으나, 아마도 5世紀의 것이 아닌가 한다. 그것은 大勝(大乘)에 對한 正當한 믿음(信)을 일으키는 것을 目標로 하고 있다.

密敎 [ 編輯 ]

密敎

원시佛敎 敎團에 있어서는 世俗的인 呪術密法(呪術密法)을 行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大乘佛敎(大乘佛敎)는 部分的으로는 그 呪術密法을 받아들였다. 大乘經典(大乘經典) 속에는 많은 陀羅尼(陀羅尼)가 說해지고 있다. 4世紀頃부터는 州法(呪法)만을 說하는 獨立된 經典(經典)李 製作되었다(<孔雀王呪經)> 2卷, <護諸童子陀羅尼經> 等). 이와 같은 주구(呪句)를 眞言(眞言 만트라)이라고 한다. 進言陀羅尼(眞言陀羅尼)를 主唱하고, 그것에 依해서 마음을 統一하여 제존(諸尊)을 供養(供養)하는 일이 高調됨과 同時에, 이를 어떻게 念誦(念誦)하며 어떻게 供養해야 할 것인가를 規定하는 方法도 漸次로 發達하였다. 方形(方形) 또는 原形(圓形)의 土壇(土壇)을 쌓고, 제존(諸尊)을 여기에 安置하여 供養祭祀를 行하였다. 그 單(壇)을 曼陀羅(曼茶羅)라고 하였으나 뒤에는 大日如來(大日如來)를 中心으로 한 제존(諸尊)을 配置한 圖畫(圖畵)를 曼陀羅(曼茶羅)라고 하였다. 제존에 對하여 많은 引繼(印契)가 說明되었다. 引繼(印契 印相)는 불(佛)·菩薩(菩薩)·堤川(諸天)의 內症(內證)·本署(本誓)를 校時(敎示)시키는 外傷(外相)이나, 때로는 平地(平指)의 人(印)을 말한다. 이와 같은 密酒(密呪)의 遂行이 <華嚴經(華嚴經)> 哲學과 結付하여 그 基礎 위에 建設된 組織的인 宗敎體系(宗敎體系)가 祕密佛敎(秘密佛敎 密敎)이다. 改造(開祖)는 勇猛(勇猛 나가르주나 600 ?)이라고 이른다. <大日經(大日經)>(7世紀의 中葉에 西南 印度에서 成立)에서 말하는 曼陀羅(曼茶羅)를 胎藏界曼陀羅(胎藏界曼茶羅)라고 하고, <金剛頂經(金剛頂經)>(7世紀 末에 東南 印度에서 成立)에서 말하는 曼陀羅(曼茶羅)를 金剛界曼陀羅(金剛界曼茶羅)라고 한다. 密敎(密敎)는 팔라 王朝(藥 750∼1199)의 統治下에서 더욱 盛行하였다. 密敎에 있어서는 根本불(根本佛)을 大日如來(大日如來大毘盧遮那佛)라고 부른다. 從前의 여러 佛敎는 釋尊의 가르침이지만 密敎는 大日如來의 가르친 바다. 從來의 大乘佛敎와는 相異하다는 點에서 스스로 '金剛乘(金剛乘)'이라고 하였다. 祕密敎團인 것을 標榜하여 閉鎖的이며 特有의 複雜한 儀禮(儀禮)를 발달시켰다. 사람들은 社(師)의 아래서 가르침을 받지 않으면 안 된다. 비의(秘儀)에 관계되는 儀式을 '官庭(觀頂)'이라고 한다. 諸佛(諸佛) 제존(諸尊)뿐 아니라 從來의 佛敎에서 말하지 않았던 많은 明王(明王)과 佛敎 外의 諸神(諸神)·제성자(諸聖者)도 亦是 大日如來의 나타남이라고 解釋한다. 그런가 하면 많은 民間信仰을 攝取하여 그 趣旨를 直觀的으로 標示하기 위하여 大曼陀羅(大曼茶羅)를 構成한다. 衆生은 本來 佛性(佛性)을 구유(具有)하고 있기 때문에 제존을 廉(念)하고 陀羅尼(陀羅尼)를 外高, 密敎의 特別한 儀式에 參與하면 容易하게 구경(究竟)의 境地에 到達하여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한다(卽身成佛). 따라서 人間의 煩惱 情慾은 克服抑壓될 것이 아니고 尊重되어야 할 것이라고 한다.

左도 密敎 [ 編輯 ]

左道密敎

煩惱를 肯定하는 思想은 當時의 俗信(俗神)에 對한 妥協과 서로 關聯, 卑劣하고 外遷(猥賤)韓 儀禮를 導入할 危險性이 있었다. 一部의 密敎道(密敎徒)는 男女의 性的結合을 絶對視하는 탄트라의 宗敎의 影響을 받아서 <左道密敎)>를 성립시켰다. 그 創始者는 인도라富티이(8세기)라고 하는데, 9世紀 以後 特히 盛行하였다.

末期의 佛敎 [ 編輯 ]

末期-佛敎

佛敎의 最後段階에 있어서는 世界原因으로서의 原初불(原初佛)의 信仰이 나타났다. 거기는 힌두敎의 維新論的(有神論的) 見解의 影響이 顯著하다. 이 信仰은 네팔 및 티베트에 傳하여졌다. 또 마찬가지로 左道密敎(左道密敎)의 變形(變形)으로서의 沙下쟈勝(乘)李 나타났다. 아름다운 處女에 對한 愛情이 解脫에의 길이라는 等의 말을 한다. 回敎(回敎) 侵入 後에 詩輪(時輪) 탄트라가 成立하였다(약 1027∼1087). 回敎가 印度를 席卷하였으므로 그것을 撲滅하기 위하여 佛敎徒가 비시누, 시바와의 聯合軍을 形成한 것이라고 한다. 1203年에 密敎의 根本度量人 비크라마쉴라 寺院(寺院)李 回敎徒의 軍隊에 破壞되고 僧尼(僧尼)가 곳곳에서 殺戮되었다. 그와 함께 印度에서 佛敎는 急激히 衰滅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