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르네 데카르트 - 위키認容집 本文으로 移動

르네 데카르트

위키認容집 - 引用 모음집.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 ( 프랑스語 : Rene Descartes , 라틴語 : Renatus Cartesius , 1596年 3月 31日 - 1650年 2月 11日) 프랑스의 代表的 近世哲學者이다.

出處 있음 [ 編輯 ]

《方法敍說》 [ 編輯 ]

  • 맨 처음에 한 생각 가운데 하나는, 많은 材料로 構成되고 여러 木工의 손으로 만들어진 作品에는 한 사람만이 만들어 낸 作品만큼의 完全性이 없다는 것이었다.
    • 第2部 方法의 主要 規則 (최명관 옮김)
  • 첫째는 내가 明證的으로 참되다고 안 것 外에는 어떤 것도 참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 卽 速斷과 偏見을 操心하여 避할 것. 그리고 疑心할 餘地가 조금도 없을 程度로 아주 明晳하고 아주 判明하게 내 精神에 나타나는 것 外에는 아무것도 判斷 속에 넣지 않을 것.
    둘째는 내가 감吐할 難題의 하나하나를 될 수 있는 대로 가장 잘 解決하기에 必要한 만큼 작은 部分으로 나눌 것.
    셋째는 順序를 따라 내 생각들을 이끌어 나아가되, 가장 單純하고 가장 알기 쉬운 것부터 始作하여 階段을 올라가듯 조금씩 위로 올라가, 가장 複雜한 것들에 對한 認識에까지 이를 것. 그리고 自然대로는 彼此 아무런 順序도 없는 것들 間에도 順序가 있는 듯이 斷定하고 나아갈 것.
    그리고 끝으로 하나도 빠뜨리지 않았다고 確信할 수 있을 程度로 完全한 枚擧(枚擧)와 全體에 걸친 通關(通觀)을 어디서나 行할 것.
    • 第2部 方法의 主要 規則 (최명관 옮김)
  • 첫째는 내 나라의 法律과 慣習에 服從하여 하나님의 恩寵으로 내가 어렸을 적부터 배워 온 宗敎를 한결같이 지키며, 다른 모든 일에서는 함께 살아가야 할 사람들 가운데 가장 총명한 사람들이 實生活에서 普通 받아들이고 있는 가장 穩健하고 가장 劇團에서 먼 意見들을 따라 스스로를 다스리는 것이었다.
    • 第3部 이 方法에서 나오는 道德의 規則 (최명관 옮김)
  • 내 둘째 格率은 行動에 있어서 될 수 있는 대로 가장 確固하고 家長 決然한 態度를 取하며, 또 아무리 의심스런 意見이라 하더라도 一旦 받아들이기로 決定했으면, 아주 確實한 것인 양 어디까지나 그것을 따르는 것이었다.
    • 第3部 이 方法에서 나오는 道德의 規則 (최명관 옮김)
  • 내 셋째 格率은 언제나 運命보다도 나를 이기며, 世界의 秩序보다는 오히려 내 欲望을 바꾸려고 努力하는 것이었다. 또 一般的으로 우리가 完全히 支配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생각밖에 없으므로, 우리의 外部의 것들에 關해서 最善을 다한 後에도 成功을 거두지 못한 모든 일은 우리에게 絶對로 不可能하다고 믿는 習慣을 붙이는 것이었다.
    • 第3部 이 方法에서 나오는 道德의 規則 (최명관 옮김)
  • 그러나 今方 그 뒤에, 그렇게 모든 것이 거짓이라고 생각하고 싶어 하는 동안에도 그렇게 생각하는 나는 반드시 어떤 무엇이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있다>라는 이 眞理는 아주 確固하고 確實하여, 懷疑論者들의 제아무리 터무니없는 上程(想定)들을 모두 합치더라도 흔들어 놓을 수 없음을 注目하고 나는 躊躇 없이 이것을 내가 찾고 있던 哲學의 第 1原理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判斷하였다.
    • 第4部 하나님 및 人間 靈魂의 現存의 證明 (최명관 옮김)
  • 나는 오늘날 아리스토텔레스를 따르는 사람들 中 가장 熱烈한 사람들이, 自然에 關해서 아리스토텔레스보다 더 많이 알지 못해도 그만큼만 알기만 해도 幸福하다고 믿으리라는 것을 確信하고 있다. 그들은 마치 나무에 달라붙어 있어서 나무보다 더 높이 올라가려고 하지는 않고, 꼭대기까지 기어오른 다음에는 가끔 다시 내려오는 담쟁이와 같다.
    • 第6部 自然探究를 전진시키는 데 必要한 것 (최명관 옮김)
  • 그들이 처음에는 쉬운 것들을 찾고, 조금씩 順序를 따라 좀 더 어려운 다른 것들로 나아감으로써 얻게 되는 習慣은 내 모든 가르침보다도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나 自身에 關해서 말하건대, 萬一 내가 젊었을 적에 그 後 내가 證明한 바 있는 모든 眞理를 배웠다면, 그리고 그 眞理들을 배우는 데 아무 힘도 들이지 않았다면, 아마 나는 그 밖의 다른 어떤 眞理도 알지 못했을 것이요, 또 적어도 새로운 眞理들을 찾아내려고 힘씀을 따라 언제나 그 眞理들을 찾는 데 있어 내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習慣과 熟鍊을 決코 얻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 第6部 自然探究를 전진시키는 데 必要한 것 (최명관 옮김)

《省察》 [ 編輯 ]

  • 내가 나 自身에게 어떤 것을 說得했다고 하면 確實히 나는 있었다. 그러나 누군지는 모르지만 아주 有能하고 아주 狡猾한 欺瞞者가 있어서, 온갖 재주를 부려 恒常 나를 속이고 있다. 그렇지만 그가 나를 속인다고 하면, 내가 있다는 것은 疑心할 餘地가 없는 일이다. 그가 마음껏 나를 속이게 하라. 그러나 내가 나 自身을 어떤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동안은 그는 決코 나를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게 할 수는 없다. 이리하여 여기 對해서 充分히 생각하고 모든 것을 注意 깊게 살펴보고 나서 다음과 같이 결론짓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있다, 나는 現存한다>라는 命題는 내가 이것을 말할 때마다 或은 精神에 依하여 把握할 때마다 必然的으로 참이라고.
    • 省察2 (최명관 옮김)

外部 링크 [ 編輯 ]

위키백과
위키百科
위키百科 에 이 글과 關聯된 資料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