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 읽어주는 방글라데시 유튜버, 韓國도 방글라데시도 왁자지껄! 하지만...

위키뉴스

【2020年 10月 5日】


유튜브가 알려준 特異한 채널 [ 編輯 ]

2020年 9月頃부터 방글라데시 의 유튜버 그룹 팀 아짐키야 (英語: Team Azimkiya)가 韓國에서 話題가 되고 있다. 單純히 要請을 받고, 韓國語를 가르치는 듯이 읽어주는 形式의 映像을 올리는데, 이렇게 單純하고도 特異한 形式의 映像이 人氣를 끌어 하루에 5千名에서 1萬名 꼴의 빠른 速度로 購讀者 數가 올라가고 있었다. 購讀者 數는 記事 作成 時點으로, 大略 27萬名으로 確認되었다. 8月의 千名 單位 購讀者에 비하면 異例的인 速度로 購讀者 數가 늘어난 것이다.

이들이 올리는 映像의 內容을 仔細히 풀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15달러, 韓國 돈으로 大略 17000원 程度의 값을 누군가가 支拂하면서 짧은 韓國語 文章을 읽어달라는 要請을 한다. 그럼 팀 아짐키야는 依賴人이 要請한 文章을 映像으로 만든다. 映像의 內容은 나무가 우거진 숲과 같은 곳에서 學生으로 보이는 사람들 몇 名이 알 수 없는 文章을 외치면서 뛰어다니며 놀다가 가장 나이가 있어보이는 사람 한 名이 들어온다. 그는 先生님 役割을 하며 韓國語가 적힌 漆板을 갖고온다. 곧이어 學生들 役割을 하는 登場人物들은 하던 일을 멈추고, 先生님 役割을 하는 사람에게 視線을 集中한다. 先生님은 韓國語 文章을 읽고, 學生들도 團體로 따라 말한다. 이렇게 韓國語를 읽어주는 것을 몇 回 反復한다. 萬若 映像이 끝난다면, 신나는 노래가 背景音樂으로 깔리기 始作하고, 登場人物들은 춤을 추는 것으로 映像은 幕을 내린다.

이것이 팀 아짐키야의 大體的인 映像 內容이다. 누구나 依賴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뜬금없는 말들이 나오기도 한다. "대머리 깎아라" 라든지, "軍隊 간다" 라는 表現이 나오기도 하고, 辱說이 적힌 內容도 存在한다. 코로나19 汎流行 때문에, 한 番은 "코로나 이겨내자" 라는 文句를 읽는 映像을 업로드하기도 했었다. 以後 인터뷰에서는 "아짐키야" 라는 單語와 映像 草飯部에 學生들이 뛰어 놀면서 외치는 單語에 對해서는 뜻이 없다고 밝혔다.

팀 아짐키야는 韓國人들의 큰 關心을 받아 感謝함을 表現했으며, 〈獨島는 우리땅〉과 같은 文章을 읽는 것을 업로드하기도 했었다. 以後 持續的으로 "韓國의 親舊" 等의 韓國에 對한 好意的인 視線을 담은 映像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이러한 映像들은 純全히 無料로 製作한 것이어서 많은 韓國人 누리꾼들의 好評을 받았다.

팀 아짐키야의 人氣가 韓國의 人種差別이라는 見解가 提示되다 [ 編輯 ]

그러나 많은 韓國人들이 이들의 行動이 재미있다면서 웃고, 韓國語를 읽는 모습을 보며 좋아하고 팀 아짐키야도 좋아하는 서로서로가 利得을 보는 共生 關係라고 해도 遜色없지만, 이것이 一種의 人種差別 이라는 것에 對한 意見이 있다. 語訥한 發音으로 韓國語를 읽는다는 것이 웃기고 재미있다고 느끼는 것은 이들이 開發途上國 國家 出身이며, 어두운 皮膚色을 가진 사람들이 原始人들이 입고 올 것 같은 차림으로 돌아다니는 內容의 映像을 올리기 때문에 재미있어한다는 것이다. 反面 大部分의 韓國人들은, 白人이 語訥한 發音과 띄엄띄엄 읽는 水準으로 韓國語를 驅使하면, 單純히 韓國에 對해 關心을 가진다 라거나, 그냥 아무렇게나 말하는 等의 韓國어스럽地圖 않은 "엉터리 韓國語"를 使用하면 人種差別이라고 느낀다. 이 現象을 一種의 언더독 效果 라고 하는데, "弱者는 선하다" 라는 前提를 基本으로 하고 이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좋은 마음에서 생기는 一種의 色眼鏡이라는 것이다.

한便으로는 畵面 너머로 사람들이 原始人처럼 行動하는 것을 즐기는 것 自體가 人間 動物園 의 復活이라는 批判이 存在한다. 오마이뉴스의 김민준 記者는 "單純히 '깜둥이', '니그로'와 같은 差別的인 單語를 써야만 人種差別이 成立되는 것이 아니라, 나와 다른 사람에게 특정한 視線이나 期待感을 過하게 갖는 것도 問題가 될 수 있다" 라고 指摘하였다. 單純히 다른 人種을 비웃고 까내리는 것 만이 아니라, 會社員을 뽑을 때, 특정한 國籍이나 특정한 人種의 사람만이 效率이 잘 나올 것이라면서 社員을 뽑는 行爲와 같은 無條件的으로 우러러 보는 行爲 亦是 人種差別의 갈래 中 하나인 것이다.

한때 大韓民國에서 流行했던 流行語 中에 黑人들을 讚揚하려는 目的을 담은 單語 "黑型" 이라는 單語가 流行했는데, 이 流行語는 實際 當事者들인 黑人들이 가장 부담스러워 한 單語 中 하나였다. 오늘날 韓國은 儼然히 先進國으로 認識되는 나라이며, 이제부터라도 他國이나 다른 人種에 對한 認識을 改善해야 할 次例인 것으로 보인다.

關聯 記事 [ 編輯 ]

出處 [ 編輯 ]

*김연진. “ 돈 내면 한글 메시지 읽어주던 유튜버들이 特別히 ‘無料’로 製作한 映像 (ko) ”, 《에포크타임스》, 2020年 9月 17日 作成. 2020年 10月 5日 確認 出處는 있으나, 非信賴性이 剛한 資料

기사 공유하기
記事 共有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