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팔리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팔리어

宗敎的으로 萬 쓰이는 死語

팔리어 ( ???? )는 인도아리아어群 프라크리트어 에 屬하는 言語이다. 팔리어는 聖戰어 (聖典語)라는 뜻이다.

팔리어
????( IPA : [paːli] )
使用 國家 東南아시아 여러나라(宗敎的으로 萬 쓰이는 死語)
文字 固有文字 없음
言語 系統 인도유럽어족
 印度이란語派
  인도아리아어群
   프라크리트魚群
    팔리어
言語 富豪
ISO 639-1 pi
ISO 639-2 pli
ISO 639-3 pli 팔리어

佛敎의 創始者인 붓다 의 說法이 팔리어로 口傳되다가 記錄되어서, 佛敎 硏究에 매우 重要한 言語일뿐만 아니라, 上座部 佛敎 에서는 現在에도 實際 宗敎 活動에 使用하는 주된 言語이다.

팔리어는 固有 文字가 없기 때문에 時代와 地域에 따라 各其 다른 文字로 記錄되었다. 上座部 佛敎 電波에 따라 싱할라어 , 泰國語 , 라오語 , 버마語 , 크메르語 等으로 記錄되었으며, 近代에는 西歐에서 로마字로 表記하였다. 이中 가장 오래된 싱할라어 寫本들을 優先視하며, 學術硏究에는 로마字 表記를 많이 使用한다.

基本的으로 死語化된 言語이지만, 佛敎 僧侶들 사이에서 宗敎的으로 使用되며, 現代 文明에서 만들어진 新造語도 飜譯되고 있다.

歷史

編輯

이름의 由來

編輯

팔리는 聖殿(聖典)이라는 意味로, 팔리어 佛經 주석서( A??hakath? )에 팔리 三藏 ( Tipi?aka ) 卽 原電을 의미하는 單語로 처음 登場한다. 三藏 에는 팔리라는 말이 없으므로, 註釋書가 쓰인 5~6世紀頃에 처음 쓰인 말로 推測한다. [1]

팔리가 言語를 의미하는 것으로 使用된 것은 18世紀末에 쓰여진 쭐라放社 ( Culla-va?sa 또는 C??a-va?sa , 小史)의 코테 王國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王國) 빠락까마바후( Parakkamab?hu , 싱할라어 : Parakramabahu ) 4歲(1410?~1467) 記事에서 처음 登場한다. 泰國 等地에 上座部 佛敎 가 傳播된 12~13世紀 頃부터 言語를 의미하는 말로 쓰인 것으로 推測한다. [2]

移轉 佛敎 文獻에서는 마가다어 ( Magadhi , M?gadha-nirutti , M?gadhika-bh?s? ) 또는 根本어( M?la-bh?s? , 根本語) 等으로 言及되었다. [3] [4] [5] 그런데 以後 프라크리트 文學 에 마가다御駕 使用되므로, 마가다語라는 表現은 使用하지 않는다. [6]

起源

編輯

팔리어의 起源은 正確히 밝혀져있지 않다. 마가다어 설, 公用語설, 코살라魚說, 아르다마街多語 설, 칼링가魚說, 마가다語와 피사챠어 混合설, 피사챠어설, 웃제니魚說, 印度 西部의 다른 言語라는 說 等이 있다. [7] 實際로 使用되지 않았던 言語로 보는 觀點도 있다. [8]

가장 傳統的인 解釋은 마가다국 마가다어 였다는 說이다. 그런데 팔리어는 프라크리트 文學 의 마가다語와 共通的인 言語 特性도 있지만 또 다른 點도 많다. [9]

佛敎와의 關係

編輯

팔리어가 現在까지 使用되고 프라크리트어 中에서도 豐富한 資料가 남은 것은 佛敎 經典이 팔리어로 記錄되어있기 때문이다.

붓다 가 팔리어로 說法을 한 것이 그대로 남은 것으로 看做하지만, 紀元前 3世紀頃 現在의 스리랑카 에 佛敎가 傳해져 싱할라어 로 記錄하기 以前에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 수 있는 資料가 없다. 그래서 팔리어의 起源에 對한 여러 가지 說들이 나왔으며, 마찬가지로 붓다가 어떤 말로 說法을 했는지 正確히 알 수는 없다.

佛敎 經典은 以後 部派佛敎 時代 를 지나며 팔리어 以外의 다른 言語로도 記錄되었다. 프라크리트어 로 쓰여진 《 蕁麻빠다 》와 산스크리트語 로 쓰여진 《 마하바스투 ( 산스크리트語 : Mah?vastu , 大事)》가 남아있다.

現代의 팔리어

編輯

팔리어는 僧侶들 間의 意思 疏通과 便紙 等에 現在도 使用된다. [10]

新造語

編輯

近代 文明에 對한 新造語도 만들어지고 있다.

  • ?k?sa-y?na 飛行機(空車)
  • ?yo-y?na 汽車(鐵車)

다른 言語와의 關係

編輯

산스크리트語와의 關係

編輯

베다 산스크리트語

編輯

팔리어 語彙의 相當數가 베다 산스크리트語 에서 變形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傳統的인 觀點이고,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共通 祖語(祖語)에서 由來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反對로 變化가 없는 語彙의 境遇 팔리어쪽의 祖語가 산스크리트語에 影響을 미친 것으로 推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베다 산스크리트語와의 類似性 때문에, 팔리어가 苦戰 산스크리트語 보다 이른 時期에 成立된 것으로 보며, 프라크리트어 中에서도 高層(古層)에 屬하는 것으로 分類한다. [11]

傳統的으로 팔리어 學習은 산스크리트語 學習과 分離되어 있었지만, 現代의 學習者나 硏究者들은 산스크리트語와의 관련지어서 學習하고 意味를 推論하는 境遇가 많다.

佛敎 산스크리트語

編輯

팔리어는 固有의 文字가 없기 때문에, 산스크리트語의 文字로도 記錄되었다. 特히 後代에 팔리어 佛敎 經典이 산스크리트語로 飜譯되면서 같은 語彙가 매우 많아졌다. 그래서 佛敎 用語에서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語가 混用되기도 한다.

地域的 特性上 팔리어의 산스크리트語 表記는 매우 頻繁하게 이루어졌으며, 두 言語의 音價 는 거의 一對一 對應하는 것으로 取扱된다. 現在에도 팔리어 表記에 산스크리트語 文字를 使用하는 境遇가 있으며, 漢譯(漢譯) 佛經은 산스크리트語판을 底本으로 한 것이 많아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를 함께 硏究하기도 한다.

以後 反對로 佛敎 산스크리트語의 特性이 팔리어에 流入되기도 한다. [12]

音韻

編輯

一般的으로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音價는 一對一로 對應하는 것으로 보는데, 팔리어가 산스크리트語보다 音韻의 數가 적다.

산스크리트語의 母音 ? , ? , ? (팔리어에서는 子音 表記法), ? (베다 산스크리트語 限定), ai , au 가 팔리어에는 없다. 複母音 ai , au 는 빨리어 e , o 가 되는 境遇가 많으며, ? , ? , ? 는 그밖의 母音으로 바뀐다.

산스크리트語 子音 ? , ? , ? 가 팔리어에는 없다. ? , ? s 또는 ch 로 바뀌며, ? 는 省略되거나 다른 音으로 變한다. [13]

反面 팔리어에만 있는 子音 ? 는 산스크리트語 ? 로 變換된다. [14]

자이나교와의 關係

編輯

자이나교의 經典이 記錄된 프라크리트어 中에서 아르다마街디어 (Ardha-M?gadh?) 또는 半(半) 마가다어 가 팔리어와 類似하다. 아르다마街디어 亦是 固有의 文字가 없기 때문에, 팔리어와 마찬가지로 時期와 地域에 따라 여러 文字로 記錄되었다.

이런 形式的, 內容的 類似性 때문에 西歐에서는 初期에 佛敎와 자이나교를 같은 宗敎로 여기기도 하였고, 팔라性前協會 ( The Pali Text Societry )는 設立 初期에 팔리어 佛敎 經典 以外에 자이나교 經典을 함께 出刊하려고 試圖하기도 했었다.

마가다語와의 關係

編輯

泰國語와의 關係

編輯

佛敎와 함께 泰國에 流入된 팔리어와 산스크리트語는 宗敎 뿐만 아니라 各種 指名, 人命 等에도 廣範하게 影響을 미쳤으며, 造語法과 音韻, 甚至於 泰國語 文法 自體에도 많은 影響을 주었다. [15]

音韻

編輯

빨리어는 모음 8個, 子音 33個로 이루어져 있으며, 一般的인 順序는 다음과 같다.

  • a ? i ? u ? e o k kh g gh ? c ch j jh n ? ?h ? ?h ?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 v s h ?

? 을 모음 뒤, 子音 앞에 두기도 하며, ? 을 맨뒤에 두는 境遇도 있다.

  • a ? i ? u ? e o ? k kh g gh ? c ch j jh n ? ?h ? ?h ?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 v s h
  • a ? i ? u ? e o k kh g gh ? c ch j jh n ? ?h ? ?h ?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v s h ? ?

산스크리트語 順序대로 쓴 後, 없는 字母는 빼고 빨리어 字母는 뒤에 追加하는 境遇도 있다.

  • a ? i ? u ? e o ? k kh g gh ? c ch j jh n ? ?h ? ?h ?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v s h ?

홀소리

編輯
傳說 中說 후설
高母音 i, iː u, uː
中母音 e(/?,?eː/) a(/?/) o(/?,?oː/)
低母音

닿소리

編輯
純音 齒音 · 齒莖音 捲舌音 後齒莖音 · 硬口蓋音 軟口蓋音 聲門音
비음 m n ? ?
破裂音 / 破擦音 茂盛 無氣音 p t ?(/? ? ?/) c(/?t??/) k
無聲 有氣音 ph(/? p? ?/) th(/? t? ?/) ?h(/? ?? ?/) ch(/?t???/) kh(/? k? ?/)
儒城 無氣音 b d ?(/? ? ?/) j(/?d??/) ?
儒城 有氣音 bh(/? b? ?/) dh(/? d? ?/) ?h(/? ?? ?/) jh(/?d???/) gh(/? ?? ?/)
摩擦音 s h
流音 v(/???/) l r(/???/)
半母音 y(/?j?/)

펠드下위스 表記法

編輯

펠드下위스( 네덜란드語 : Fran Velthuis )가 1991年   에 산스크리트語 데바나가리 文字 를 入力하기 위해 만든 入力法인데, 入力이 어려운 빨리어 로마字 表記를 나타내는 데도 一般的으로 使用한다. [16]

빨리어 로마字 表記 펠드下위스 表記
? aa
? ii
? uu
? "n
n ~n
? .t
?h .th
? .d
?h .dh
? .n
? .l
? .m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15쪽.
  2.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15쪽.
  3. http://www.budsas.org/ebud/ebsut059.htm
  4. http://www.haeinji.org/contents/?pgv=v&cno=4204&wno=192
  5.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15쪽.
  6.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16쪽.
  7.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33~41쪽.
  8.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45쪽.
  9.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41~44쪽.
  10.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32쪽.
  11. http://haeinji.danah.kr/contents/index.html?contents=search_result_view&st_array=9&st_remnant=&st_page=1&search_part=2&category_no=146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2.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32쪽.
  13.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50쪽.
  14. 水野弘元 지음, 김형준 옮김, 《팔리어 文法》(서울: 演技史), 2001, 50쪽.
  15. 안종량, 〈팔리어와 산스크리트語가 泰國語에 끼친 影響〉(《韓國泰國學會論叢》 17-2號), 2011, 203~204쪽.
  16. http://www.tipitaka.net/pali/paliload.php?page=velthu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