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 오스트레일리아 및 周邊 島嶼 原住民 土着語 를 가리킨다. 死語 가 된 것을 包含해 約 290~363個의 言語가 있었으며 [1] 30餘 個의 魚族 및 孤立語로 나뉜다. 이 言語들 間의 關係는 現在로서 明確하지 않으나 最近 數十 年間 많은 硏究가 進行되었다. 태즈메이니아 言語 西部 토레스 海峽어 를 包含시켜 말할 때도 있는데, [2] 後者는 오스트레일리아의 主要 魚族인 파마늉아어족 에 屬하지만 前者는 나머지 오스트레일리아 言語들과의 關係가 明確하지 않다.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 大部分은 파마늉아어족 에 屬하며 나머지는 便宜上 ‘비(非)파마늉아어족 言語’라 부른다.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의 區分. 파마늉아어족 (軟褐色)과 그 밖의 言語(겨자色과 灰色).
濠洲 地域別 原住民 言語 使用 人口의 比率 (2011年 人口調査)

18世紀 끝 무렵 250餘 個가 넘는 原住民 集團이 있었으며, 이와 비슷한 數의 言語 方言 들이 存在했다. [2] 21世紀 첫 무렵 現在 150餘 個 未滿의 原住民 言語만이 남아 있으며, 如前히 어린이들에게 傳授되고 있는 13個 言語를 除外하면 모두 死滅 危機 에 處해 있다. 살아남은 言語들은 大部分 외딴 地域에 分布한다. 이는 過去 오스트레일리아 政府가 저지른 原住民 文化와 말을 抹殺하려는 暴力, 强制 移住, 强制 不妊, 父母로부터 어린이 隔離 政策 따위의 結果이다. 現在는 이러한 政策이 公式的으로 모두 사라졌으며 西部沙漠어 ( 앨리스스프링스 西部의 沙漠地域 言語), 칼라우라가우야어 ( 토레스 海峽 ) 및 北部의 一部 言語들은 살아남았다. 一部 共同體에서는 二重言語 敎育이 成功的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앨리스스프링스 周邊에서는 白人 敎師들에게 현지어를 배우는 것이 義務化되어 原住民 父母들이 子女가 英語를 배우지 않는다고 不平하기도 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 가운데 가장 話者가 많은 曰피리어 , 무린파타어 , 티위어 의 境遇 1,000~3,000名 假量의 話者가 있다.

태즈메이니아 原住民 의 言語는 記錄되기 以前에 오스트레일리아 植民 初期 白人들의 攻擊으로 死滅 하였다. 이들은 마지막 氷河期 때 本土로부터 떨어져 나왔으며 約 1萬2千 年 동안 바깥 世上과 끊어져 있었다. 이 言語에 對해 알려진 바는 너무 적어서 分類가 不可能하나, 오스트레일리아 本土 言語와 音聲學 敵으로 비슷했던 것으로 보인다.

特徵

編輯

같은 祖上 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인지 아니면 오랜 接觸 때문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言語들은 言語類型學 敵으로 비슷하며 많은 語彙 와 獨特한 音韻論 敵 特徵을 共有한다. 오스트레일리아 大陸 全體를 하나의 言語同調臺 라고 볼 수 있다.

많은 오스트레일리아 言語가 共有하는 社會言語學 敵 特徵은 이른바 回避 使用驛 의 使用이다. 回避 使用驛은 丈母와 사위 等 特定한 近親이 周邊에 있을 때 使用하는 使用驛 인데, 文法은 日常言語와 같지만 語彙 는 日常言語와 다르며 매우 制限的이다. 또한 오랜 哀悼 成人式 期間 동안 말하는 것이 禁忌 인 境遇가 많고 이에 따라 여러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手話 가 생겨났다.

形態通史的 整列 面에서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는 大部分 陵格-絶對格 言語 이다. 이 境遇 分列 陵格性 을 보이는 境遇가 많은데, 代名詞 (또는 1人稱과 2人稱)는 主格-待擊 體系를 따르고 一般名詞 (또는 3人稱)는 陵格-絶對格 體系를 따르는 言語가 흔하다. 어떤 言語는 有情名詞 냐 아니냐에 따라 分裂 陵格性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어떤 言語에서는 主格-待擊 패러다임과 陵格-絶對格 패러다임 사이에 끼인 人稱(例를 들어 2人稱 또는 3人稱 人間名士)에서 三分法 性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卽 自動詞의 主語·他動詞의 주어·타동사의 目的語인 境遇를 모두 다르게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카야딜드어 처럼 完全한 主格-待擊 言語도 몇몇 있다.

音素 目錄

編輯

母音 體系는 /i, u, a/ 세 個의 母音으로 된 境遇가 많다. 母音의 장단 을 區分하기도 한다. 몇몇 言語에서는 /u/ 가 원순성을 잃어 [i, ?, a] 가 되기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言語는 有聲音 無聲音 이 對立하지 않는 境遇가 많다. 卽 하나의 音素가 語頭에서는 [p] 로 소리나지만 於中에서는 [b] 로 소리나는 式이다. 로마字 國際 音聲 記號 로 表記할 때에도 有聲音과 無聲音을 區分하지 않는 境遇가 많다. 또한 [h] 를 包含해 摩擦音 音素가 없는 言語가 많다. 摩擦音 音素가 있는 境遇 大槪 比較的 最近에 破裂音 의 弱化로 생겨난 것으로, [s] 같은 齒擦音 보다는 [ð] 처럼 齒擦音이 아닌 境遇가 흔하다.

또다른 特徵은 設定音 調音 位置 가 많다는 點이다. 거의 모든 言語에 音素로서든 變異音 으로서든 네 가지 設定音 位置가 있다. 네 가지 位置는 혀끝의 模樣이 뾰족하냐 납작하냐, 혀의 位置가 앞이냐 뒤냐에 따라 區別된다. 여기에 더해 兩脣音 軟口蓋音 이 있지만, 口蓋垂音 聲門音 은 없다. 여섯 個 調音 位置에서 모두 破裂音 비음 이 나타나고, 어떤 言語는 네 個의 設定音 位置에서 모두 舌側音 이 나타난다. 이를 잘 보여주는 例가 칼카퉁우어 로, 兩脣音 /p m/ , 齒音 /t? n? l?/ , 齒莖音 /t n l/ , 捲舌音 /? ? ?/ , 硬口蓋音 /c ? ?/ , 軟口蓋音 /k ŋ/ 가 모두 나타난다. 野뉴訛語 는 여기에 더해 舌背 硬口蓋音 系列이 있으며, 일곱 個 調音 位置 모두에 비음, 破裂音, 先鼻音化 破裂音을 區分한다.

設定音 調音 位置
舌尖音 舌端音
齒莖音 [t?] 齒音 [t?]
捲舌音 [?] 硬口蓋音 [c]

칼라우라가우야어 는 이러한 一般化에 잘 들어맞지 않으며 이웃한 파푸아 制御 들과 비슷한 音素 目錄을 지녔다. 齒擦音 音素 /s~t?, z~d?/ 가 있고, 모든 障礙音 에 有·茂盛 對立이 있으며( /p b, t? d?, t d, s z, k g/ ), 鼻音의 調音 位置는 세 곳뿐이다( /m n ŋ/ ). 母音은 8種類가 있으며 장단을 區分한다( /i iː, e eː, a aː, ? ?ː, ? ?ː, o oː, ? ?ː, u uː/ ) 쿤젠어 와 이웃 言語들에는 그보다 南쪽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有氣音 ( /p?, t??, t?, c?, k?/ )과 無氣音 의 對立이 있다.

分類

編輯

內的 分類

編輯
 
濠洲 原住民 語族의 分布. 西쪽에서 東쪽 順으로:
  민디語族 (2個 領域)
  데일리 制御 (4個 語族)
  파마늉아어족 (3個 領域)

大部分의 오스트레일리아 言語는 파마늉아어족 에 屬한다. 大部分의 言語學者가 이를 認定하지만 로버트 딕슨 은 파마늉아어족을 認定하지 않는다는 點을 注目할 만하다. 파마늉아어족에 屬하지 않는 言語는 모두 北部 오스트레일리아에 分布하며 便宜上 ‘비(非)파마늉아어족 言語’로 부르지만 이들이 하나의 語族을 이룬다는 뜻은 아니다. 로버트 딕슨의 主張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言語들이 지난 4萬 年 동안 影響을 주고받은 結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오래된 系統的 關係와 地域的 效果를 區分하는 것은 不可能하며, 파마늉아어족조차 有效한 魚族이 아니라고 한다. [3]

그러나 딕슨의 이러한 主張을 받아들이는 學者는 거의 없다. 例를 들어 케네스 헤일 은 딕슨의 懷疑主義를 誤謬로 置簿하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比較 재구 의 方法을 매우 成功的으로 適用해 온 學者들에 對한 侮辱으로, 斷乎한 反駁을 必要로 한다”고 評하였다. [4] 헤일은 代名詞 體系와 文法의 補充法 을 證據로 提示했으며, 서로 3000km나 떨어져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東北海岸 케이프요크半島 의 中北部파마造語(pNMC)와 西海岸의 응아야타造語 間 規則的인 音韻 對應을 보이는 50餘個의 基礎語彙 同系語 目錄을 내놓아 파마늉아어족이 有效한 語族임을 뒷받침하였다. 헤일에 따르면 파마늉아어족은 인도유럽어족 만큼 오래되었다.

조애나 니콜스 의 提案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北部의 魚族들은 比較的 最近에 東南아시아 海洋 地域에서 移動해 왔고,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이 擴張하면서 東南아시아에서 사라진 것일 수도 있다. 萬若 그렇다면 파마늉아어족과 비파마늉아어족 間의 言語類型學 敵 差異를 說明할 수 있겠지만, 어떻게 單 하나의 語族만이 그토록 널리 퍼져 있는지는 說明이 되지 않는다. 니콜라스 에반스 의 提案에 따르면 파마늉아어족의 擴散은 오늘날 濠洲를 支配하는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親族 體系 等 애버리지니 文化의 擴散에 따라 나타났다고 한다.

2017年에 마크 하비와 로버트 메일해머는 파마늉아어족과 비파마늉아어족 言語의 名詞部類 接頭辭 體系를 分析함으로써 모든 오스트레일리아 言語의 祖上인 오스트레일리아造語(祖語)를 재구 할 수 있다고 主張하였다. 이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造語는 只今으로부터 約 12,000年 前에 오스트레일리아 北部에서 使用되었다. [5]

外的 分類

編輯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와 파푸아 制御 를 連結하려는 試圖가 오랫동안 있었으나 成功하지 못했다. 파푸아 制御 中에서도 特히 토레스 海峽 아라푸라해 에 接한 뉴기니섬 海岸의 言語들이 株 目標가 되었다. [6] 1986年에 윌리엄 폴리는 桐뉴기니고지어족 과 로버트 딕슨이 1980年에 發表한 오스트레일리아造語 사이의 語彙的 類似性을 指摘하였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人間이 살았던 大部分의 期間 동안 하나의 땅덩어리였고( 事後 大陸 ) 8,000年 前에야 토레스 海峽으로 갈라졌음을 考慮하면, 單一한 파푸아語族이나 오스트레일리아魚族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期待는 純眞한 생각이며, 보다 깊은 재구는 뉴기니와 濠洲 兩쪽의 言語들을 包含할 것이라고 믿었다. 한便 딕슨은 自身이 提示했던 오스트레일리아造語 假說을 撤回했다. [7]

魚族

編輯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는 約 30個의 魚族 및 孤立語로 나뉜다. [1] 이름 뒤의 물음標는 不確實한 分類를 뜻하고, 括弧 안 數字는 屬한 言語 數를 나타낸다. 死滅한 言語도 包含한다.

生存

編輯

유럽人과의 接觸 以前 濠洲의 人口와 言語 수 推定값으로부터, 約 250個 言語가 쓰였으며 話者 數는 各各 平均 3~4千 名이었으리라 斟酌할 수 있다. [8] 몇몇 言語는 植民 支配 數十 年 만에 사라졌다. 태즈메이니아 原住民 에 對한 文化 抹殺 이 惡名 높은 事例다. 태즈메이니아섬은 第4期 氷河期 가 끝날 때 濠洲 本土에서 分離되었으며 태즈메이니아 原住民은 約 12,000年 동안 바깥 世界와 斷絶된 채로 살았다. 클레어 보언 은 最近 電算系統學 硏究를 통해 12個의 태즈메이니아 言語가 存在했으며 濠洲 本土 言語와의 系統的 關係는 찾을 수 없다는 結果를 내놓았다. [9]

1990年에는 過去의 250個 言語 中 90個가 如前히 살아 있지만 老人들이 死亡함에 따라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推定이 나왔다. 2001年의 調査에 따르면 이 90個 言語 가운데 70%가 ‘深刻한 消滅 危機’에 處해 있으며, 아이들을 包含해 모든 나이帶에서 쓰이는 ‘强한’ 言語는 17個뿐이다. [10] 이런 趨勢로 보아, 言語 保全 努力에도 不拘하고 수많은 原住民 言語가 다음 世代 內로 사라지리라 豫想된다. 머잖은 未來에, 어쩌면 2050年이 되기 前에 모든 原住民 言語가 사라질 수도 있고 [11] 그러면 言語들이 담고 있던 文化的 知識도 함께 사라질 것이다. [12] AIATSIS에 따르면 2019年 基準으로 約 110個 原住民 言語가 남아 있고 그 中 如前히 아이들이 배우고 있는 言語는 13個뿐이다. [13]

도둑맞은 世代 時期에 原住民 아이들은 家族에게서 떨어져 敎育 施設에서 團體 生活을 했고 原住民 言語를 쓰면 罰을 받았다. 서로 알아듣지 못하는 言語들이 뒤섞이는 境遇가 많았고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英語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 이 唯一한 共通語 였다. 그 結果 原住民 言語의 世代間 傳承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原住民 言語들의 未來는 深刻한 打擊을 받았다. 오늘날 言語 轉移 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父母와 祖父母로부터 아이들에게로 言語 傳承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14] 不足 言語를 能熟하게 驅使하는 것은 어린이들의 民族的 正體性 形成에 肯定的 影響을 주며, [ 出處 必要 ] 아이들의 情緖的 安定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原住民의 言語 前이 現象을 되돌리면 原住民 靑少年의 自害와 自殺率이 낮아짐을 示唆하는 證據도 있다. [15]

各州

編輯
  1. Bowern 2011 .
  2. Walsh 1991 , 27쪽.
  3. Dixon 2002 , 48, 53쪽.
  4. O'Grady & Hale 2004 , 69쪽.
  5. Harvey & Mailhammer 2017 , 470?515쪽.
  6. Pereltsvaig 2017 , 278쪽.
  7. Dixon 2002 , xvii, xviii쪽.
  8. McConvell & Thieberger 2001 , 16쪽.
  9. Bowern 2012 , 4590, 4593쪽.
  10. McConvell & Thieberger 2001 , 17, 61쪽.
  11. Forrest 2017 , 1쪽.
  12. McConvell & Thieberger 2001 , 96쪽.
  13. AIATSIS (2019). “Indigenous Australian Languages” .  
  14. Forrest 2017 .
  15. Hallett, Chandler & Lalonde 2007 , 392?399쪽.

外部 링크

編輯

參考 文獻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