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가톨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가톨릭

普遍敎會의 傳統을 의미하는 用語

가톨릭 ( 英語 : Catholic )은 普遍敎會 의 傳統을 의미하는 用語이다. 共通的, 普遍的, 普遍된, 공번적, 一般的, 널리 알려진 等의 뜻을 가진 單語로 코이네 그리스어 形容詞 '카톨리코스'( 그리스어 : Καθολικ?? )에서 由來했으며, 基督敎 (그리스도교)에서 '敎會'와 함께 主로 使用해 왔다. 本來 예수 그리스도 를 告白하고, 사도 들이 傳한 福音을 따르고 聖經 普遍公議會 敎理를 지키는 敎會를 일컫는 用語다. 이를 따르는 敎會는 가톨릭교회로 부르며, 韓國語의 다른 單語인 普遍敎會 와 意味가 같다. 個別 敎會가 敎會이기 爲해서 지니는 普遍的 形象을 普遍敎會라 한다. 天主敎會 正敎會 , 改新敎會 等 거의 모든 敎團은 스스로가 가톨릭 敎會, 卽 普遍敎會 의 傳統을 따른다고 主張한다.

神學的으로는 예수 그리스도 福音 , 聖經 을 바탕으로 基督敎의 單一性, 普遍性, 거룩함, 使徒들의 傳統을 따르며 普遍公議會 의 信仰告白을 受容하는 正統 敎會의 普遍性을 가리키는 말이다. 어떤 地域의 한 敎會가 神學的으로 正統的 信仰을 지녔다고 主張한다면, 그 地域 敎會 안에는 普遍 敎會의 傳統과 모습이 있어야 한다.

普遍敎會의 傳統

編輯

일찍이 1世紀 人物인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가 假現說 二段과의 區分을 위해 이 用語를 使用하였다. 11世紀 敎會 大分裂 以後에도 西方敎會 東方敎會 에서 서로 初代敎會에서 내려온 悠久한 正統性을 强調하는 用語로도 使用하며, 가장 重要한 要素의 하나로 여긴다. [1] 그리스도교의 모든 敎團은 '가톨릭' 用語를 1世紀부터 現在까지 예수 그리스도가 設立한 基督敎 自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卽 '가톨릭'은 自身들의 敎會의 正統性을 나타내며 本質을 指稱하는 가장 適切한 表現이라는 實際的 意味로 가톨릭 卽 普遍이라는 名稱을 그리스도 의 福音을 따르는 모든 敎會 가 使用한다. 西方敎會나 東方敎會 時期에도 相互使用하였고, 正敎會나 天主敎會, 改新敎會度 自身 敎壇의 正統性을 主張할 때 使用한다.

모든 基督敎 敎團을 위한 用語

編輯

東方敎會 東方正敎會 도 가톨릭 傳統의 敎會임을 主張하며, 西方敎會 改新敎會 도 가톨릭 傳統의 敎會임을 主張한다. 西方敎會의 天主敎會 亦是 가톨릭 傳統의 敎會임을 主張한다. 여기서 普遍敎會의 信仰이 무엇인가에 對한 立場은 서로 다르지만, 各 敎團은 各自가 생각하는 普遍敎會의 信仰을 스스로가 가지고 있다고 主張하며 믿는다.

類似한 原理로, 거의 모든 그리스도교 敎團은 스스로를 가톨릭(普遍), 以外에도 '오토독스'(Orthodox, 正統)하고, '에반젤리컬'(Evangelical, 福音的)하다고 主張한다. 그리고 同時에 該當 語彙들은 通商 特定한 敎團에게 集中的으로 使用하기도 한다. '正統'이나 '오토독스'는 東方正敎會를 强調하여 使用하고, '福音的'이나 '에반젤리컬'은 改新敎會를 强調할 때 使用하며, '가톨릭'은 天主敎를 强調하며 使用하는 式이다. 하지만, 모든 傳統的 敎會는 正統的이고 福音的이며, 普遍的이다. 어느 敎壇이든 自身들이 오토독스이고 에반젤리컬이고 가톨릭이라고 主張할 수 있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그리스도로부터 이어오는 使徒傳承의 重要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