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幼兒語' 잘 쓰면 子女 言語發達 도움" | Kizmom 뉴스

全體뉴스

Total News

"'幼兒語' 잘 쓰면 子女 言語發達 도움"

入力 2020-02-10 18:05:05 修正 2020-02-10 18:05:05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父母가 子女와 對話할 때 使用하는 '幼兒語'를 잘 活用하면 子女의 言語能力 發達에 實質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硏究 結果가 發表됐다.

3日(現地時間) 科學 專門誌 사이언스 데일리는 美國 워싱턴大學校 學習 및 腦科學 硏究所(I-LABS)가 美國國立科學院會報(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最新號에 發表한 論文을 報道했다.

論文에서 硏究팀이 말하는 '幼兒語'(parentese)란, 아무 意味가 없는 아이의 옹알이를 模寫하는 말하기 方式(baby talk)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父母가 實際 單語를 單純한 文法으로 組合해 誇張된 語調로 말하는 方式의 말하기를 일컫는다. 이런 말하기는 아이가 듣기에 즐겁고 親密하게 다가오며, 아이들로 하여금 옹알이의 形態로라도 父母와 交流하게 만드는 效果가 있다.

硏究에는 48個의 家庭이 實驗集團으로 參與했다. 硏究팀은 實驗集團 各 家庭의 子女가 6, 10, 14個月이 되는 時點에 '幼兒語' 驅使法을 父母 各自에게 詳細히 코치했다. 이때 硏究팀은 '對話 주고받기'(converstional turns) 等 다양한 對話法을 敎育하고 其他 여러가지 指針과 피드백을 提供했다.

그리고는 아이가 6, 10, 14, 18個月이 되는 時點에 特殊 製作한 마이크를 各 實驗集團 父母 및 子女에 着用시키고, 이틀에 걸쳐 그들의 對話 樣相을 全部 錄音했다. 그런 뒤 이들 子女의 言語能力을, 코치를 받지 않았던 一般 家庭 子女들의 言語能力과 比較해 보았다.

그 結果 實驗集團의 父母는 코칭 直後 '幼兒語'(parentese)의 使用이 增加했으며 子女들 亦是 發火(vocalization) 試圖가 漸次 더 增加했다. 特히 14~18個月 사이에는 對話 주고받기(conversational turns)와 子女의 發火가 劇的으로 增加했다. 더 나아가 實驗集團 子女들은 '바나나(banana)'나 '牛乳(milk)'와 같은 實際 單語의 使用이 一般 家庭 子女에 비해 두 倍 자주 나타났다. 또한 父母에게 設問을 통해 알아본 結果 實驗集團의 子女는 實驗 막바지에 約 100個의 單語를 使用한 反面, 比較集團의 子女는 60餘 單語를 使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硏究를 이끈 패트리샤 컬 워싱턴大學校 言語科學科 敎授는 이番 硏究에 對해 "幼兒語(parentese)가 이와 같은 效果를 낼 수 있는 理由는 아기의 頭腦에 社會的 刺戟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幼兒語 特有의 높은 音과 느린 拍子가 社會的 相互作用을 誘發하고 子女의 反應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說明했다.

그는 이어 "言語란 種의 生存에 반드시 必要한 社會的 疏通을 可能케 하는 道具로 發展해왔다. 이番 硏究에서는 父母의 言語 使用 및 社會的 疏通 試圖가 어떻게 아이로 하여금 옹알이를 使用해 反應하게 만드는지, 그리고 그 옹알이 反應이 어떻게 單語가 되고 다시 文章이 되어 사람 間 疏通 技術을 익히게 만드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방승언 키즈맘 記者 earny@kizmom.com
入力 2020-02-10 18:05:05 修正 2020-02-10 18:05:05

#言語發達 , #子女 , #言語敎育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轉載 및 再配布 禁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