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페이지를 파싱하기 어렵습니다. 中央시사매거진

大舶에는 理由가 있다

■ 서울대 優等 卒業

李氏의 本籍地는 서울 季冬으로 돼 있지만 出生地는 1952年 避難地 釜山 東萊였다. 아들 셋 中 막내. 大學敎授였던 父親(이희재·現在 83·美 LA居住)李 事業에 손을 댔다가 부도나는 바람에 집안이 쫄딱 亡했고, 聲樂家 김자경氏와 이화여대 聲樂科 同期生이었던 어머니(김경현·82)가 社會施設 等에서 피아노를 쳐주며 生活하던 때였다. 家族이 서울로 올라온 以後에도 繼續 生活이 어려워 4大門밖 山村(山村)이던 서울 종로구 부암동, 그러니까 세검정 쪽에 밀려나가 살아야 했다.

“大學院을 卒業할 때까지 노상 試驗의 連續이었어요. 청운초등학교를 들어갈 때도 試驗, 경복중·高에 入學할 때도 試驗, 大學도 試驗, 大學 卒業할 때도 공교롭게 우리 때부터 ‘卒業論文’制度가 생겨 苦生했어요. 留學갈 때도 試驗, 留學가서 大學院 碩士를 마칠 때도 그해부터 ‘卒業資格 英語論述試驗’이란 制度가 새로 導入돼 애를 먹었죠.”

경복중을 全校 4等으로 卒業했을 만큼 優秀學生이었지만 中3 때 손에 잡기 始作한 기타 때문에 경복고에 進學해서는 내리 3年, 班에서 10等 안팎을 맴도는 成跡에 머물렀다. 高校 2學年 때는 親舊와 함께 듀엣으로 校內 行事에서 기타를 치며 노래를 불러 人氣를 끄는 等 끼를 發揮하기도 했다. 平生 機械를 만지면서 살고 싶어 大學은 機械學科를 支援했다. (서울大) 工大 機械學科는 成績이 못 미쳐 農機械學科로 試驗을 쳤다.

試驗 直後 작은兄님의 親舊이던 백순진氏와 함께 듀엣을 結成, 포크기타를 들고 本格的으로 노래를 부르기 始作했다. 活動舞臺는 鳴動 YWCA의 靑개구리홀. 當代 이름을 날리던 양희은·송창식·윤형주·서유석氏 等 포크歌手들이 主로 모였던 곳이다. 노래에 專念하다보니 1學年 成跡은 거의 落第였다.

每日 付巖洞 집에서 서울대 敎養學部(當時 서울대 新入生들은 1年 동안 태릉에 있던 工大 캠퍼스에서 敎養學部를 마쳐야 했다)가 있던 泰陵까지 버스를 두番씩 갈아타고 通學했다. 그리고는 다시 鳴動에 나가 노래를 부르는 疲困한 生活이 繼續 됐다. 兄들이 軍隊를 막 除隊했거나 軍服務 中이었기 때문에 집안 生計를 막내인 그가 떠맡았다.

노래를 얼마나 熱心히 불렀는지 肺(肺)를 過度하게 쓴 탓에 1學年 겨울放學中 크리스마스날 저녁 市民會館에서 노래하던 李氏는 舞臺에서 픽 쓰러졌다. 대연각호텔에 불이 난 그날이었다. X레이 撮影 結果 肺 한쪽이 거의 망가진 狀態였고 惡性 肋膜炎이 겹쳤다. 只今도 그는 한쪽 肺가 찌그러져 肋膜과 붙어 있는 狀態다. 激한 運動도 하지 못한다.

2學年 休學, 그리고 防衛兵으로 1年 半, 除隊한 뒤 다시 2學年에 復學했다. 노래를 繼續 하기가 어려웠다. 防衛兵 時節부터 저녁에 라디오 音樂프로 ‘비바팝스’DJ를 맡아 進行했고 以後 除隊 및 卒業 할 때까지 主로 MC와 DJ로 活動했다. 未來에 무엇이 돼야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노래 말고 工夫에 沒頭해 當時 大學生들 사이에서 ‘稀罕한 點數’로 여겨질 만큼 드문 成績으로(2,3,4학년 내리 A+) 卒業할 수 있었다(실제로 그의 卒業張에는 ‘優等卒業’이라는 큼지막한 圖章이 찍혀 있다).

卒業 後에도 大學 專攻쪽이 아닌 演藝活動에 注力했다. 1979年과 80年 그는 放送局의 3個 쇼프로 MC로 바쁘게 뛰어다녔다. 그러나 그런 그를 ‘韓國을 脫出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事件이 發生했다. 1980年 新軍部의 言論統廢合 措置였다.
“文化쪽 立場에서 보면 民營放送을 더 늘려도 뭣할 판에 있던 것마저 없애버렸으니…. 그것을 보고는 ‘아, 이제 앞으로 우리나라에 文化의 暗黑時期가 오겠구나’하고 생각했죠. 그래서 外國으로 나가야 되겠다고 決心하게 됐어요.”

當時만 해도 그 또래 젊은이가 外國에 나갈 수 있는 方法은 儒學이 거의 唯一했다. 그때까지 演藝活動으로 벌어놓은 돈을 달러로 바꾸니 5萬달러. 父母님께 折半을 드리고 남은 2萬5,000달러를 學資金으로 그는 美國 留學길에 올랐다. 專攻은 ‘機械’에서 좀더 幅이 넓어진 工業經營學. 如前히 後날에 對해서는 ‘敎授가 돼야겠다’는 희뿌연 생각 뿐이었다. 音樂, 나아가 大衆文化 쪽은 事實上 抛棄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世界에서 가장 앞선 水準의 機械工學이 必要한 곳이 바로 美 航空宇宙局(NASA)이다. 機械工學道路서 內心 NASA 進出까지 꿈꾸면서 李氏는 그 姊妹大學이던 플로리다 技術大學(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에 支援했다. 그러나 英語가 母國語인 사람에게만 入學資格이 주어지는 까닭에 그는 캘리포니아州立大學院으로 옮겨 支援, 入學許可를 받았다. 專攻은 當時 美國 學生들 사이에서 脚光받기 始作하던 尖端 分野인 컴퓨터工學.

곧바로 大學院 授業을 받을 수는 없었고 一旦 大學院에 敵(籍)을 두고 2年 동안은 이 大學 學部(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CSUN) 講義를 들었다. 그런 後 大學院 工夫를 始作해 이윽고 1984年 겨울 碩士課程을 마쳤다.

83年 UCLA(캘리포니아州立大, LA)의 韓國學生會가 그에게 노래를 불러달라며 招請해 찾아간 자리에서 只今의 夫人 김지혜(39)氏를 만났다. 美國으로 移民을 가 大學에서 컴퓨터 그래픽을 專攻하던 2年生이었다. 그때 李氏의 나이는 滿31歲였고 지혜氏는 萬22歲, 나이差가 커 ‘良心上’선뜻 接近하기도 어려웠다. 어정쩡한 사이로 1年 동안 이래저래 마주치다 정들어 1984年初, 그러니까 智慧氏가 大學 3學年 때 둘은 結婚에 골인했다.

4年 가운데 마지막 1年은 빚쟁이로 工夫해야 했다. 가지고 갔던 돈이 다 떨어졌기 때문이었다. 함께 노래를 했던 백순진氏로부터 1,000萬원, 美國에서 事業하던 親舊로부터 1,000萬원을 빌렸다. 게다가 結婚까지 했기 때문에 生活은 그만큼 더 어려워졌다.

어느날 갑자기 韓國에 있는 줄 알았던 아버지와 어머니가 불쑥 李氏 夫婦가 生活하던 學校 寄宿舍 房門을 열고 들어오셨다. 막내아들이 經濟的 어려움에 處했을 것을 斟酌하고 서울 집을 팔고는 아예 美國으로 건너온 것이었다. 네 食口는 버뱅크의 작은 아파트 하나를 얻어 살았다. 還甲을 훨씬 넘긴 老齡에도 不拘하고 아버지는 남의 집 잔디깎기 勞動으로 품을 팔아가면서 數萬氏가 碩士課程을 마칠 때까지 네食口의 生計를 맡았다.

그렇게 工夫를 繼續했으면 우리는 오늘 音盤企劃者, 또는 大衆文化 事業家로서의 이수만 代身 의젓한 ‘컴퓨터工學 敎授 이수만’을 만나게 됐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周邊 現實은 그의 가슴 속에 줄곧 또아리를 틀고 있던 音樂에 對한 未練을 자꾸 되살아나게 했다. 그의 얘기를 들어보면 오늘날 그에게 찾아온 ‘連鎖 大박’은 이미 그때부터 ‘準備’됐던 것임을 斟酌케 한다.

“美國에서 M─ TV(音樂 專用TV)가 復興하는 것을 보면서 ‘아, 이제 音樂이 오디오時代에서 비주얼時代로 옮겨가는구나’하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뮤직비디오도 한창 擴散됐고요. 더욱이 그때 音樂을 選好하는 層의 年齡帶가 漸漸 낮아지는 現象도 發見했어요. 그래서 ‘돌아가 저런 傾向으로 비즈니스를 벌이면 成功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면서 차츰 歌手, 音樂, 文化라는 것이 하나의 巨大한 ‘産業’으로 눈에 들어오는 거예요. 그때만 해도 留學을 갔다온 사람이 音樂, 文化産業 쪽으로 뛰어드는 境遇는 거의 없었으니 稀少性도 保障되고요. 제가 줄곧 몸담아왔던 大衆 文化쪽으로 돌아가야겠다고 마음 먹었어요. 歸國後 어떤 方向으로 活動할 것인가도 그림을 그렸고요.”

그러나 마음속 ‘그림’은 좋아도 手中에 돈이 없었다. 當場 歸國해 生計를 꾸릴 日부터 걱정할 판이었으니까. 일이 되려고 그랬을까. 마침 韓國의 MBC 放送局에서 FM프로그램의 進行을 맡아달라는 連絡이 왔다. 李氏로서는 마다할 理由가 하나도 없었다. 1985年 5月 大學院 卒業狀과 碩士學位만 가지고 그는 韓國을 떠난 지 4年餘만에 歸國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