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예안(禮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예안 ( )

目次
關聯 情報
인문지리
지명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異稱
이칭
매곡현(買谷縣), 선곡(善谷)
目次
正義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내용

本來 高句麗의 매곡현(買谷縣)이었는데, 新羅가 이 地域을 차지한 뒤 景德王 때 選曲(善谷)으로 고쳐 內領軍(奈靈郡: 只今의 榮州)의 영현으로 하였다. 高麗 太祖 때 星州 이능선(李能宣)李 歸順하였으므로 瘞安으로 고쳐 軍으로 昇格시켰다.

1018年(玄宗 9) 吉州(吉州: 只今의 安東)의 任內(任內)로 하였다가 禑王 때 軍으로 獨立하였다. 恭讓王 때 監務를 設置하였으며, 1413年(太宗 13) 縣監을 두었다.

1895年(高宗 32) 예안군 읍내면이 되었다가 1914年 行政區域 改編 때 安東郡과 예안군이 倂合되면서 예안면으로 편입시켰다. 1995年 安東郡과 안동시가 統合되어 안동시가 되었다.

瘞安은 洛東江 上流의 盆地 地域으로 領地産(靈芝山)ㆍ倒産(陶山) 等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洛東江의 支流인 分强(?江)이 흐르고 있었다. 이 地域은 新羅 때 交通上ㆍ軍事上 매우 重要한 곳이었다.

東쪽으로는 義人(宜仁)을 지나 靑旗(靑杞)ㆍ營養(英陽)에 이르는 道路가, 北쪽으로는 榮州ㆍ奉化ㆍ財産(才山) 等을 連結하는 道路가 發達하였으며, 西쪽과 南쪽의 道路를 따라 安東과 醴泉에 갈 수 있었다.

高麗 때 倭寇의 잦은 侵入으로 被害가 컸으며, 鎭山인 領地産에는 酸性이, 그리고 西北쪽의 祿電算(祿轉山)에는 봉수施設이 있었다. 東쪽 10里 地點에는 退溪(退溪)골짜기와 도산書院이 있다.

瘞安의 地名由來는 예(禮)가 땅을 뜻하므로 ‘살기 좋은 便安한 곳’ 또는 ‘기름진 땅’이라는 뜻을 가진다. 예로부터 各種 農産物이 豐富하고 三災(三災)를 當하지 않는 곳이라 하였다.

參考文獻

『世宗實錄地理志(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新增東國輿地勝覽)』
『增補文獻備考(增補文獻備考)』
『慶尙道地理誌(慶尙道地理志)』
『大東輿地圖(大東輿地圖)』
『大東地志(大東地志)』
關聯 미디어 (4)
? 본 項目의 內容은 關係 分野 專門家의 推薦을 거쳐 選定된 執筆者의 學術的 見解로, 韓國學中央硏究院의 公式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 事實과 다른 內容, 主觀的 敍述 問題 等이 提起된 境遇 事實 確認 및 補完 等을 위해 該當 項目 서비스가 臨時 中斷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公共著作物로서 公共누리 制度에 따라 利用 可能합니다. 百科事典 內容 中 글을 引用하고자 할 때는
   '[出處: 項目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出處 表記를 하여야 합니다.
? 單, 미디어 資料는 自由 利用 可能한 資料에 個別的으로 公共누리 標示를 附着하고 있으므로, 이를 確認하신 後 利用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著作權
撮影地
主題語
寫眞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