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계(書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계 ( )

目次
關聯 情報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일본과 내왕한 공식외교문서.
目次
正義
조선시대 일본과 내왕한 공식외교문서.
내용

朝鮮에서는 國王 名義로 日本의 幕府將軍(幕府將軍)에게 國서(國書)를 作成하였다. 그리고 그 밖에 대마도주(對馬島主)나 幕府의 官吏들에게는 禮曹參判 또는 參議·佐郞 等 相對方의 職位에 따라 그에 相應한 職名으로 書契가 作成되었다.

이 文書는 그 規模나 格式이 定해져 있어 嚴格하게 지켜야만 했다. 國書의 境遇 稠疊(周帖)의 길이는 2隻4寸, 너비는 5寸5푼이고, 매妾에 4行씩 썼다. 겉의 오른便에 ‘奉書(奉書)’라고 쓰고, 왼便에는 ‘일본국大軍殿下(日本國大君殿下)’라고 썼다.

처음에는 日本國王이라 썼는데, 1636年(仁祖 14) 大軍으로 하였다. 1711年(肅宗 37)에 一時 國王으로 썼다가 그 뒤 다시 大軍으로 썼다. 鳳(奉)字는 일(日)字와 나란히 쓰고, 서(書)는 下(下)字와 나란히 썼다.

마주 붙인 中間 部分에 ‘朝鮮國王星輝謹封(朝鮮國王姓諱謹封)’이라 쓰고, 글字를 띄어 쓴 곳에는 위정이德(爲政以德)이라고 새긴 御印(御印)을 찍었다. 또한, 成果 휘를 쓴 곳에도 모두 이것을 찍었다.

안에 쓰는 法式은 三貼(三帖) 가운데 2行에서부터 ‘朝鮮國王 星輝 奉書’라고 쓰고, 四妾 한가운데 平行으로 日本국大軍傳하라고 썼다.

兆(朝)와 日(日), 서(書)와 下(下)를 나란히 쓰고, 다른 서계도 이와 같이 하였다. 五첩은 平行에서 始作해 事緣을 쓰고 끝에는 ‘不備(不備)’라고 썼다. 前에는 ‘不宣(不宣)’이라고 썼는데 관백의 이름을 被害 不備로 쓴 것이다.

그리고 加强(家康) 以後의 관백의 이름字인 강충광강길선수中繼從弟(康忠光綱吉宣秀重繼宗齊) 等의 字는 쓰지 않았다. 平行으로 某年모일(某年某日)이라 쓰고 말첩(末帖) 한가운데 2行에서부터 朝鮮國王 星輝를 쓰되 連月과 나란히 썼으며, 다른 서계도 이와 같이 하였다.

國書를 담는 箱子는 銀으로 裝飾하고, 붉은 漆을 올린 위에 金으로 龍을 그렸다. 箱子 안의 國書는 紅短甲補(紅緞甲褓)로 싸고, 밖의 箱子는 紅蕉甲補(紅?甲褓)로 쌌는데 모두 金으로 龍을 그렸다.

한便, 將軍 以外 대마도주나 幕府 官吏에게 보낸 서계도 大槪 國書의 樣式과 같았는데, 그 길이는 2隻 4寸, 너비는 5寸 5푼이고, 매첩 4行씩이었다.

對象 人員은 처음에는 執政(執政) 4人, 奉行(奉行) 6人에게만 보냈는데, 1682年(肅宗 8) 執政 1人, 執事 3人, 서경윤(西京尹)·近視(近侍) 各各 1人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1719年 다시 바뀌어 執政과 近視·서경윤 各各 1人에게만 書契를 보냈다.

格式은 國書와 거의 같고 相對의 職位에 따라 보내졌다. 例를 들면 執政에게는 禮曹參判, 대마도주에게는 參議, 萬宋元(萬松院)·이정암(以町庵)·護行長老(護行長老)에게는 佐郞의 이름으로 作成하였다.

그리고 書契와 함께 恒常 相對의 職位에 따른 膳物目錄[別幅]李 添附되었다. 또한, 日本側에 對한 回答國서(回答國書)와 回答書界(回答書契)의 樣式도 定해져 있었다. 이들 書契를 통해 兩國間에 주고받은 外交 文書의 形態나 內容을 알 수 있다.

參考文獻

『朝鮮王朝實錄(朝鮮王朝實錄)』
『通文館志(通文館志)』
『增正交隣志(增正交隣志)』
『朝鮮前期對日交涉史硏究』(이현종, 韓國硏究院, 1964)
『近世韓日關係詞』(손승철, 강원대학교出版部, 1987)
關聯 미디어 (2)
? 본 項目의 內容은 關係 分野 專門家의 推薦을 거쳐 選定된 執筆者의 學術的 見解로, 韓國學中央硏究院의 公式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 事實과 다른 內容, 主觀的 敍述 問題 等이 提起된 境遇 事實 確認 및 補完 等을 위해 該當 項目 서비스가 臨時 中斷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公共著作物로서 公共누리 制度에 따라 利用 可能합니다. 百科事典 內容 中 글을 引用하고자 할 때는
   '[出處: 項目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出處 表記를 하여야 합니다.
? 單, 미디어 資料는 自由 利用 可能한 資料에 個別的으로 公共누리 標示를 附着하고 있으므로, 이를 確認하신 後 利用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著作權
撮影地
主題語
寫眞크기